춘천성심병원 흡인성 폐렴 예측 AI 모델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년간 입원환자 데이터 토대로 예측 정확도 높여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은 국내 최초로 연하장애(삼킴장애)로 인한 흡인성 폐렴 발병 위험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하장애로 인한 흡인성 폐렴은 식도로 넘어가야 할 음식물이 기도를 통해 폐에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는 병원 입원환자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꼽히며,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에게 발병하면 심각한 원내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기관 내 삽관을 한 중환자실 입원환자와 면역력이 약한 노인 환자에게 치명적이다.
폐의 방어기전이 떨어져 입 안이나 위장에 있는 세균이 폐로 흡인되면서 폐렴에 걸리기 쉽기 때문이다.
이에 춘천성심병원은 최근 10년간 흡인성 폐렴 데이터 60만 건 가운데 흡인성 폐렴 단독으로 입원한 환자 6천500여 명의 데이터를 뽑아내 뒤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적용해 AI 모델을 개발했다.
AI 모델이 학습한 데이터 종류는 의식 수준과 구토·산소투여·탈수 여부, 복용 약물 등 20가지가 넘는다.
손종희 신경과 교수는 "기존에는 반복되는 뇌경색·치매·의식 저하 등 흡인성 폐렴 발생 위험을 높이는 임상적 상황만을 보고 대처할 수밖에 없었으나 AI 모델을 통해 실시간으로 발병 위험도를 확인하고, 질병 발생 전에 대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림대의료원은 춘천성심병원에서 개발한 이 AI 모델을 모든 병원에 도입해 입원환자의 진료에 사용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연하장애로 인한 흡인성 폐렴은 식도로 넘어가야 할 음식물이 기도를 통해 폐에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는 병원 입원환자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꼽히며,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에게 발병하면 심각한 원내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기관 내 삽관을 한 중환자실 입원환자와 면역력이 약한 노인 환자에게 치명적이다.
폐의 방어기전이 떨어져 입 안이나 위장에 있는 세균이 폐로 흡인되면서 폐렴에 걸리기 쉽기 때문이다.
이에 춘천성심병원은 최근 10년간 흡인성 폐렴 데이터 60만 건 가운데 흡인성 폐렴 단독으로 입원한 환자 6천500여 명의 데이터를 뽑아내 뒤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적용해 AI 모델을 개발했다.
AI 모델이 학습한 데이터 종류는 의식 수준과 구토·산소투여·탈수 여부, 복용 약물 등 20가지가 넘는다.
손종희 신경과 교수는 "기존에는 반복되는 뇌경색·치매·의식 저하 등 흡인성 폐렴 발생 위험을 높이는 임상적 상황만을 보고 대처할 수밖에 없었으나 AI 모델을 통해 실시간으로 발병 위험도를 확인하고, 질병 발생 전에 대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림대의료원은 춘천성심병원에서 개발한 이 AI 모델을 모든 병원에 도입해 입원환자의 진료에 사용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