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상승폭 조금 줄었다, 지난달 0.32%…0.1%P 둔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감정원 '10월 주택가격'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가격 상승폭이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세 부담으로 고가 주택 거래량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 추석 연휴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경제 활동이 위축된 것도 한 요인으로 분석됐다.
한국감정원이 2일 발표한 ‘10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종합 매매가격 변동률은 9월 대비 0.32%를 기록했다.
전달 변동률(0.42%)보다 0.1%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이 변동률은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등 모든 주택 유형의 매매가를 조사한 값이다.
수도권은 0.43%에서 0.30%, 서울은 0.27%에서 0.16%, 경기는 0.60%에서 0.41%로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은 25개 구 전체의 오름폭이 축소됐다. 중랑구(0.27%) 노원구(0.22%) 등의 9억원 이하 중저가 단지는 여전히 강세였지만 서초구(0.09%) 강남구(0.07%) 송파구(0.06%) 등은 매수세가 줄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서울 강남권은 일부 중소형 아파트 가격을 제외하고 보유세 부담이 있는 고가 재건축 위주로 매수세가 위축됐다”고 말했다. 경기는 그간 상승폭이 높았던 하남 용인 광명 등을 위주로 상승폭이 둔화됐다.
지방도 0.41%에서 0.34%로 오름세가 완만해졌다. 부산 대구 울산 대전 광주 등 지방광역시(0.62%→0.55%)와 8개 도(0.21%→0.18%) 역시 전달보다 상승폭이 둔화됐다. 행정수도 이전 기대심리가 작용한 세종시는 지난달 1.43% 올라 전국에서 매매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상승폭은 전달(3.83%)의 절반 수준이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0.40% 올랐고, 연립주택과 단독주택은 각각 0.11%, 0.24%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9월 0.29%에서 지난달 0.11%로, 상승폭이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경기 지역 아파트값도 같은 기간 0.78%에서 0.50%로 오름폭이 감소했고 인천 변동률(0.24%)은 전달과 같았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은 “부동산 정책, 코로나19 사태 등 외부 환경이 불안정해 사람들이 섣불리 의사 결정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전반적으로 거래가 위축되면서 관망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한국감정원이 2일 발표한 ‘10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 종합 매매가격 변동률은 9월 대비 0.32%를 기록했다.
전달 변동률(0.42%)보다 0.1%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이 변동률은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등 모든 주택 유형의 매매가를 조사한 값이다.
수도권은 0.43%에서 0.30%, 서울은 0.27%에서 0.16%, 경기는 0.60%에서 0.41%로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은 25개 구 전체의 오름폭이 축소됐다. 중랑구(0.27%) 노원구(0.22%) 등의 9억원 이하 중저가 단지는 여전히 강세였지만 서초구(0.09%) 강남구(0.07%) 송파구(0.06%) 등은 매수세가 줄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서울 강남권은 일부 중소형 아파트 가격을 제외하고 보유세 부담이 있는 고가 재건축 위주로 매수세가 위축됐다”고 말했다. 경기는 그간 상승폭이 높았던 하남 용인 광명 등을 위주로 상승폭이 둔화됐다.
지방도 0.41%에서 0.34%로 오름세가 완만해졌다. 부산 대구 울산 대전 광주 등 지방광역시(0.62%→0.55%)와 8개 도(0.21%→0.18%) 역시 전달보다 상승폭이 둔화됐다. 행정수도 이전 기대심리가 작용한 세종시는 지난달 1.43% 올라 전국에서 매매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상승폭은 전달(3.83%)의 절반 수준이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0.40% 올랐고, 연립주택과 단독주택은 각각 0.11%, 0.24%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9월 0.29%에서 지난달 0.11%로, 상승폭이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경기 지역 아파트값도 같은 기간 0.78%에서 0.50%로 오름폭이 감소했고 인천 변동률(0.24%)은 전달과 같았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은 “부동산 정책, 코로나19 사태 등 외부 환경이 불안정해 사람들이 섣불리 의사 결정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전반적으로 거래가 위축되면서 관망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