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직장인 빚 1천243만원, 47%↑…"'영끌' 작년부터 시작된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건 이상' 대출자 평균 빚 1억1천만원…숙박·음식점업 연체율 1위
20대 이하 직장인 1인당 평균 대출액이 1천243만원으로 1년 새 46.8% 증가했다.
3건 넘게 대출을 받은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1억1천431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4.4% 늘었다.
대출잔액 기준 연체율은 숙박 및 음식점업 임금근로자가 1.31%로 가장 높았다.
29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이 담긴 '2019년 일자리 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 결과를 발표했다.
◇ 평균대출액 4천245만원…20대 이하 가파르게 증가
지난해 12월 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잠정치)은 4천245만원, 중위 대출액은 4천만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7.1%(281만원), 12.4%(440만원) 늘었다.
평균 대출은 임금근로자 개개인이 은행 또는 비은행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대출 잔액의 합을 전체 임금근로자 수로 나눈 값이다.
중위 대출은 임금근로자를 개인대출 잔액 순으로 줄 세웠을 때 가운데 위치한 사람의 개인대출 잔액이다.
임금근로자의 연체율(대출잔액 기준)은 0.56%로 전년과 같았다.
연령대로 보면 젊은 직장인의 대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29세 이하의 평균 대출액은 1천243만원으로 전년보다 46.8%(396만원) 올랐다.
30대는 5천616만원으로 14.0%(691만원) 늘었다.
29세 이하와 30대에서 가장 많이 늘어난 대출은 모두 주택 외 담보대출(85.8%, 20.4%)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주택 외 담보대출에는 부동산, 학자금, 전세자금 대출 등이 포함되는데 직관적으로 볼 때 29세 이하의 경우 학자금 대출이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밝혔다.
또 "소위 젊은 층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 추세가 지난해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 통계 작업에서는 이들의 대출액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평균 대출 액수로만 보면 40대가 6천20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30대(5천616만원), 50대(5천134만원)도 평균을 웃돌았다.
이어 60대(3천313만원), 70세 이상(1천495만원), 29세 이하(1천243만원) 순이었다.
연체율은 70세 이상(0.84%), 60대(0.82%), 50대(0.72%) 순이었고, 30대(0.38%)가 가장 낮았다.
주택 특성별로는 아파트 거주자의 평균 대출액이 5천139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연립·다세대(3천371만원), 오피스텔 및 기타(3천236만원), 단독주택(2천805만원) 순이었다.
1년 전보다 오피스텔 및 기타 거주자의 평균 대출이 16.5%로 가장 많이 올랐다.
◇ '대출 3건 이상' 평균 대출 1억1천…4.4%↑
소득 3천만∼5천만원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5천70만원으로 1년 만에 12.6%(566만원) 늘었다.
3천만원 미만과 5천만∼7천만원도 각각 8.3% 증가했다.
소득 3천만원 미만 임금근로자의 연체율은 1년 전보다 0.10%포인트 감소한 0.77%였지만, 다른 소득 구간과 비교하면 여전히 가장 높았다.
대출잔액이 1천만∼3천만원인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이 1년 전보다 1.3% 증가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대출잔액이 3억원 이상인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은 1.5% 감소했다.
대출을 3건 이상 받은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1억1천431만원으로 1년 새 4.4%(483만원) 증가했다.
1건인 경우 4천507만원(7.5%↑), 2건인 경우 8천320만원(4.7%↑)이었다.
연체율은 3건 이상이 0.70%로 가장 높았다.
대기업에 종사하는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6천688만원으로 중·소기업 임금근로자(3천368만원)의 2배였다.
연체율은 중·소기업 임금근로자가 0.91%, 대기업 임금근로자 0.26%였다.
기업 종류별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정부·비법인단체(4천910만원), 회사법인(4천780만원), 회사이외법인(4천615만원), 개인 기업체(2천321만원) 순이었다.
종사자 규모별로 보면 300인 이상(5천584만원), 50∼300명 미만(3천950만원), 50인 미만(3천367만원) 순이었다.
산업별의 경우 금융·보험업(8천590만원)이 가장 많았다.
정보통신업(6천79만원·11.1%↑),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3천100만원·9.2%↑), 숙박 및 음식점업(1천487만원·9.1%↑)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연체율은 숙박 및 음식점업(1.31%), 건설업(1.16%), 부동산업(1.08%) 순으로 높았다.
/연합뉴스
3건 넘게 대출을 받은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1억1천431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4.4% 늘었다.
대출잔액 기준 연체율은 숙박 및 음식점업 임금근로자가 1.31%로 가장 높았다.
29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이 담긴 '2019년 일자리 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 결과를 발표했다.
◇ 평균대출액 4천245만원…20대 이하 가파르게 증가
지난해 12월 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잠정치)은 4천245만원, 중위 대출액은 4천만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7.1%(281만원), 12.4%(440만원) 늘었다.
평균 대출은 임금근로자 개개인이 은행 또는 비은행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대출 잔액의 합을 전체 임금근로자 수로 나눈 값이다.
중위 대출은 임금근로자를 개인대출 잔액 순으로 줄 세웠을 때 가운데 위치한 사람의 개인대출 잔액이다.
임금근로자의 연체율(대출잔액 기준)은 0.56%로 전년과 같았다.
연령대로 보면 젊은 직장인의 대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29세 이하의 평균 대출액은 1천243만원으로 전년보다 46.8%(396만원) 올랐다.
30대는 5천616만원으로 14.0%(691만원) 늘었다.
29세 이하와 30대에서 가장 많이 늘어난 대출은 모두 주택 외 담보대출(85.8%, 20.4%)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주택 외 담보대출에는 부동산, 학자금, 전세자금 대출 등이 포함되는데 직관적으로 볼 때 29세 이하의 경우 학자금 대출이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밝혔다.
또 "소위 젊은 층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 추세가 지난해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 통계 작업에서는 이들의 대출액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평균 대출 액수로만 보면 40대가 6천20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30대(5천616만원), 50대(5천134만원)도 평균을 웃돌았다.
이어 60대(3천313만원), 70세 이상(1천495만원), 29세 이하(1천243만원) 순이었다.
연체율은 70세 이상(0.84%), 60대(0.82%), 50대(0.72%) 순이었고, 30대(0.38%)가 가장 낮았다.
주택 특성별로는 아파트 거주자의 평균 대출액이 5천139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연립·다세대(3천371만원), 오피스텔 및 기타(3천236만원), 단독주택(2천805만원) 순이었다.
1년 전보다 오피스텔 및 기타 거주자의 평균 대출이 16.5%로 가장 많이 올랐다.
◇ '대출 3건 이상' 평균 대출 1억1천…4.4%↑
소득 3천만∼5천만원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5천70만원으로 1년 만에 12.6%(566만원) 늘었다.
3천만원 미만과 5천만∼7천만원도 각각 8.3% 증가했다.
소득 3천만원 미만 임금근로자의 연체율은 1년 전보다 0.10%포인트 감소한 0.77%였지만, 다른 소득 구간과 비교하면 여전히 가장 높았다.
대출잔액이 1천만∼3천만원인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이 1년 전보다 1.3% 증가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대출잔액이 3억원 이상인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은 1.5% 감소했다.
대출을 3건 이상 받은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1억1천431만원으로 1년 새 4.4%(483만원) 증가했다.
1건인 경우 4천507만원(7.5%↑), 2건인 경우 8천320만원(4.7%↑)이었다.
연체율은 3건 이상이 0.70%로 가장 높았다.
대기업에 종사하는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6천688만원으로 중·소기업 임금근로자(3천368만원)의 2배였다.
연체율은 중·소기업 임금근로자가 0.91%, 대기업 임금근로자 0.26%였다.
기업 종류별 임금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은 정부·비법인단체(4천910만원), 회사법인(4천780만원), 회사이외법인(4천615만원), 개인 기업체(2천321만원) 순이었다.
종사자 규모별로 보면 300인 이상(5천584만원), 50∼300명 미만(3천950만원), 50인 미만(3천367만원) 순이었다.
산업별의 경우 금융·보험업(8천590만원)이 가장 많았다.
정보통신업(6천79만원·11.1%↑),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3천100만원·9.2%↑), 숙박 및 음식점업(1천487만원·9.1%↑)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연체율은 숙박 및 음식점업(1.31%), 건설업(1.16%), 부동산업(1.08%) 순으로 높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