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美 부양책 진전·경제지표 호조에 '상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다우 0.54%·나스닥 0.19% 상승
미국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22일(현지시간) 기업 실적과 경제 지표 호조에 힘입어 상승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추가 부양책에 대한 기대도 이어졌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2.84포인트(0.54%) 오른 28,363.66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7.93포인트(0.52%) 상승한 3,453.49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1.31포인트(0.19%) 상승한 11,506.01에 장을 마감했다.
투자심리는 전기자동차 기업 테슬라 등의 실적 호조와 실업 지표 회복세에 주목했다.
장 초반만 해도 재정 부양책 협상이 여전히 안갯속이라는 인식에 다우지수는 장중 한때 170포인트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 민주당 소속인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부양책 협상에 대해 "거의 다 왔다"고 언급한 점이 지수 상승에 무게를 실었다.
펠로시 의장은 "우리가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면 이 대화에 5초도 쓰지 않았을 것"이라며 "진지한 시도이며, 양측 모두 합의에 도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다만 펠로시 의장은 양측이 주·지방 정부 자금 지원 등 일부 주요 사안에 대해서는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인정하며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가 코로나19 부양책 조기 처리 움직임에 반대하고 있어 대선 전 부양책이 나올 가능성은 희박해지고 있다.
기업 실적과 경제 지표 호전 소식이 증시 상승세에 힘을 실었다.
테슬라는 3분기 사상 최대의 매출을 기록했고, 전기차 매출 확대에 힘입어 5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코카콜라와 AT&T, 다우, CSX도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내놨다.
8월 후반 이후 80만~90만명에서 정체됐던 미국 실업보험청구자 수가 70만명대를 기록한 점도 투자심리 안정에 도움이 됐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실업보험청구자수는 전주보다 5만5000명 감소한 78만7000명(계절 조정치)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 87만5000명보다 적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2.84포인트(0.54%) 오른 28,363.66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7.93포인트(0.52%) 상승한 3,453.49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1.31포인트(0.19%) 상승한 11,506.01에 장을 마감했다.
투자심리는 전기자동차 기업 테슬라 등의 실적 호조와 실업 지표 회복세에 주목했다.
장 초반만 해도 재정 부양책 협상이 여전히 안갯속이라는 인식에 다우지수는 장중 한때 170포인트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 민주당 소속인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부양책 협상에 대해 "거의 다 왔다"고 언급한 점이 지수 상승에 무게를 실었다.
펠로시 의장은 "우리가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면 이 대화에 5초도 쓰지 않았을 것"이라며 "진지한 시도이며, 양측 모두 합의에 도달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다만 펠로시 의장은 양측이 주·지방 정부 자금 지원 등 일부 주요 사안에 대해서는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인정하며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가 코로나19 부양책 조기 처리 움직임에 반대하고 있어 대선 전 부양책이 나올 가능성은 희박해지고 있다.
기업 실적과 경제 지표 호전 소식이 증시 상승세에 힘을 실었다.
테슬라는 3분기 사상 최대의 매출을 기록했고, 전기차 매출 확대에 힘입어 5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코카콜라와 AT&T, 다우, CSX도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내놨다.
8월 후반 이후 80만~90만명에서 정체됐던 미국 실업보험청구자 수가 70만명대를 기록한 점도 투자심리 안정에 도움이 됐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실업보험청구자수는 전주보다 5만5000명 감소한 78만7000명(계절 조정치)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 87만5000명보다 적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