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구 절반 수도권 거주…3분의 1은 '나 혼자 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 인구 절반이 수도권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인구 비중이 50%대에 진입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일반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최초로 30%를 넘었다.
28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의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4개 기관과 400여 대학의 주민등록부, 외국인등록부, 건축물대장, 학적부 등 25종의 행정자료를 활용해 현장조사 없이 집계한 '등록센서스' 방식이다.
반면 수도권 밀집도는 늘어나는 추세다. 서울·경기·인천 인구는 2589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50%를 차지했다. 국내 인구 절반이 수도권에 모여 산다는 의미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00년 46.3%에서 꾸준히 늘어나는 중이다.
인구 증가율은 도시별로 희비가 갈렸다. 전년에 비해 인구 증가율이 제일 큰 광역지방자치단체는 세종이었다. 신도시가 형성 중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년 대비 인구 증가율은 8.2%에 달한다. 경기(1.5%) 제주(1.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세종과 인접한 대전은 전년 대비 인구가 0.8%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부산(-0.7%) 대구(-0.6%) 등도 인구가 전년보다 줄었다.
반면 0~14세 유소년 인구는 631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2.6%에 그쳤다. 전년(648만명)보다 줄었다.
중위연령은 43.7세로 전년보다 0.6세 늙었다. 중위연령이란 전체 가구주를 연령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장 가운데 있는 가구주의 나이를 말한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노년부양비도 늘어나는 추세다. 2019년 노년부양비는 21.5로 나타났다. 2000년 10.2에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노년인구 부양비는 고령인구를 생산연령인구(15세 이상 64세 미만)로 나뉜 뒤 100을 곱한 값이다. 청장년층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년층 인구 수를 의미한다.
일반가구 2034만 가구 중 아파트에서 거주하는 가구는 1041만 가구로 51.1%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39만 가구 늘었다. 비중은 1%포인트 증가했다.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전체의 31%인 631만 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0만 가구 줄었고 비중 역시 1.1%포인트 감소했다.
아파트 거주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75.5%) 광주(66.3%) 등이었다. 가장 늦은 곳은 제주(25.7%)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11월 1일 기준 국내 총 가구는 2089만 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에서 수도권에 거주하는 가구는 1029만 가구로 49.3%를 차지했다.
가구원 수 규모별로 가구를 나눠보면 1인 가구가 30.2%로 가장 많았다. 1인 가구 비중이 처음으로 30%대를 기록했다. 뒤 이어 2인 가구(27.8%), 3인 가구(20.7%), 4인 가구(16.2%), 5인 이상 가구(5.0%) 순이었다. 20대의 1인 가구가 2018년 102만 가구에서 2019년 112만 가구로 가장 크게 늘었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광역지방자치단체는 대전(33.7%)이었다. 경기는 26.3%로 가장 낮았다.
정책수요와 사회변화상을 반영해 조사항목도 바꾼다. 올해는 소화기, 화재경보기 등의 안전용품을 조사하고 최근 급격히 증가한 1인 가구 관련해 1인 가구 사유와 혼자 산 기간 등도 조사할 계획이다.
또 사회적 취약계층들을 위한 활동제약자의 돌봄 현황도 조사한다. 반려동물 관련 문항도 포함될 예정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국민들이 PC나 모바일, 전화 등 언제 어디서든 비대면 방식으로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 "여러 정책의 근거가 될 인구주택총조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28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의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4개 기관과 400여 대학의 주민등록부, 외국인등록부, 건축물대장, 학적부 등 25종의 행정자료를 활용해 현장조사 없이 집계한 '등록센서스' 방식이다.
인구 수 증가폭 역대 최저
2019년 11월 1일 기준 한국에 거주하는 총 인구는 5178만명이다. 외국인을 포함한 숫자다. 전년에 비해 15만명(0.3%) 증가했다. 2017년(0.3%)과 함께 역대 최저 증가폭이다.반면 수도권 밀집도는 늘어나는 추세다. 서울·경기·인천 인구는 2589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50%를 차지했다. 국내 인구 절반이 수도권에 모여 산다는 의미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00년 46.3%에서 꾸준히 늘어나는 중이다.
인구 증가율은 도시별로 희비가 갈렸다. 전년에 비해 인구 증가율이 제일 큰 광역지방자치단체는 세종이었다. 신도시가 형성 중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년 대비 인구 증가율은 8.2%에 달한다. 경기(1.5%) 제주(1.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세종과 인접한 대전은 전년 대비 인구가 0.8%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부산(-0.7%) 대구(-0.6%) 등도 인구가 전년보다 줄었다.
노인 비중 15% 넘어
고령화도 심화됐다.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775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5.5%를 차지했다. 노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15%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반면 0~14세 유소년 인구는 631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2.6%에 그쳤다. 전년(648만명)보다 줄었다.
중위연령은 43.7세로 전년보다 0.6세 늙었다. 중위연령이란 전체 가구주를 연령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장 가운데 있는 가구주의 나이를 말한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라 노년부양비도 늘어나는 추세다. 2019년 노년부양비는 21.5로 나타났다. 2000년 10.2에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노년인구 부양비는 고령인구를 생산연령인구(15세 이상 64세 미만)로 나뉜 뒤 100을 곱한 값이다. 청장년층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년층 인구 수를 의미한다.
일반가구 절반 이상 아파트에 산다
거주 유형별로 일반가구를 나눠보면 아파트에 사는 가구가 가장 많았다. 비중도 늘어나는 추세다. 일반가구는 전체 가구에서 외국인으로만 구성된 외국인가구와 요양시설 등 집단가구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일반가구 2034만 가구 중 아파트에서 거주하는 가구는 1041만 가구로 51.1%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39만 가구 늘었다. 비중은 1%포인트 증가했다.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전체의 31%인 631만 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0만 가구 줄었고 비중 역시 1.1%포인트 감소했다.
아파트 거주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75.5%) 광주(66.3%) 등이었다. 가장 늦은 곳은 제주(25.7%)인 것으로 조사됐다.
'나 혼자 산다' 1인 가구 비중 30.2%
인구가 전년 대비 0.3% 늘어난 데 그친 반면 가구 수는 1.9% 늘었다. 1인 가구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2019년 11월 1일 기준 국내 총 가구는 2089만 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에서 수도권에 거주하는 가구는 1029만 가구로 49.3%를 차지했다.
가구원 수 규모별로 가구를 나눠보면 1인 가구가 30.2%로 가장 많았다. 1인 가구 비중이 처음으로 30%대를 기록했다. 뒤 이어 2인 가구(27.8%), 3인 가구(20.7%), 4인 가구(16.2%), 5인 이상 가구(5.0%) 순이었다. 20대의 1인 가구가 2018년 102만 가구에서 2019년 112만 가구로 가장 크게 늘었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광역지방자치단체는 대전(33.7%)이었다. 경기는 26.3%로 가장 낮았다.
올해는 '혼자 사는 이유'도 조사한다
통계청은 5년 주기로 현장조사를 더한 인구주택총조사를 실시한다. 올해 인구주택총조사는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센서스와 함께 20% 현장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조사기간은 오는 10월 15일부터 11월 18일까지다.정책수요와 사회변화상을 반영해 조사항목도 바꾼다. 올해는 소화기, 화재경보기 등의 안전용품을 조사하고 최근 급격히 증가한 1인 가구 관련해 1인 가구 사유와 혼자 산 기간 등도 조사할 계획이다.
또 사회적 취약계층들을 위한 활동제약자의 돌봄 현황도 조사한다. 반려동물 관련 문항도 포함될 예정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국민들이 PC나 모바일, 전화 등 언제 어디서든 비대면 방식으로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 "여러 정책의 근거가 될 인구주택총조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