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임금 일자리 43만개↑…코로나 여파에 2030 줄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통계청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제조업 ↓·보건사회복지 ↑
올해 1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가 43만개 늘었지만 30대 이하 일자리는 6만개 줄었다.
대신 60대 이상에서 전체 증가분의 약 60%인 30만여개의 일자리가 늘어났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 공공행정에서 일자리가 늘었지만 고용 비중이 큰 제조업에서는 감소했다.
27일 통계청의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2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는 1천867만6천개로 작년 동기 대비 42만8천개(2.3%) 늘었다.
다만 작년 4분기 일자리 증가폭(59만2천개)에는 못 미쳤다.
◇ 60대 이상 많이 늘어…30대와 20대 이하는 줄어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과 50대 일자리는 늘어난 반면 30대와 20대 이하는 줄었다.
60대 이상(234만1천개) 일자리는 25만3천개(12.1%) 늘었다.
전체 증가분의 59.1%를 차지했다.
60대 이상 일자리 가운데 지속일자리 비중은 64.3%, 신규채용일자리 비중은 35.7%였다.
50대(413만7천개)는 17만1천개(4.3%), 40대(465만2천개)는 6만4천개(1.4%) 각각 증가했다.
반면 30대(433만9천개)는 4만7천개(-1.1%), 20대 이하(320만7천개)는 1만3천개(-0.4%) 각각 줄었다.
20대 이하 임금근로 일자리가 줄어든 것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이 발표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처음이다.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대(24.9%), 30대(23.2%), 50대(22.2%), 20대 이하(17.2%), 60대 이상(12.5%) 순이었다.
김진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60대 이상에서 일자리가 계속 늘어나는 추세가 이어졌고 그동안 증가세였던 20대 이하 일자리가 감소세로 돌아섰다"며 "코로나19는 전체 일자리 증가폭 축소에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 보건·사회복지, 공공행정 증가…제조업 감소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202만1천개)에서 일자리가 15만6천개, 공공행정(120만9천개)에서 6만3천개 늘었다.
교육(120만6천개)은 5만3천개, 전문·과학·기술(87만6천개)은 5만개 증가했다.
반면 일자리 비중이 22.4%로 가장 큰 제조업은 418만4천개로 한 해 전보다 2만2천개 감소했다.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해 3분기 잠시 증가했으나 4분기 이후 감소세다.
조업 일자리는 섬유제품(-8천개), 고무·플라스틱(-6천개), 기타 기계·장비(-6천개) 등에서 줄어들었다.
작년 4분기 일자리가 5만5천개 늘어난 숙박·음식업은 코로나19 여파에 올해 1분기 8천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건설업(165만5천개)에서도 7천개 줄었다.
성별로는 남성(1천085만7천개) 일자리가 15만5천개(1.4%) 늘었고 여성(781만9천개)은 27만3천개(3.6%)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 남성 비중은 58.1%, 여성은 41.9%였다.
조직 형태별로는 회사 이외의 법인이 제공한 일자리가 16만4천개, 정부·비법인단체는 12만4천개, 회사법인은 12만1천개, 개인 기업체는 1만9천개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회사법인이 56.8%로 가장 많았고, 개인 기업체는 16.9%, 정부·비법인단체는 13.9%, 회사 이외의 법인은 12.3%의 일자리를 제공했다.
/연합뉴스
대신 60대 이상에서 전체 증가분의 약 60%인 30만여개의 일자리가 늘어났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 공공행정에서 일자리가 늘었지만 고용 비중이 큰 제조업에서는 감소했다.
27일 통계청의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2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는 1천867만6천개로 작년 동기 대비 42만8천개(2.3%) 늘었다.
다만 작년 4분기 일자리 증가폭(59만2천개)에는 못 미쳤다.
◇ 60대 이상 많이 늘어…30대와 20대 이하는 줄어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과 50대 일자리는 늘어난 반면 30대와 20대 이하는 줄었다.
60대 이상(234만1천개) 일자리는 25만3천개(12.1%) 늘었다.
전체 증가분의 59.1%를 차지했다.
60대 이상 일자리 가운데 지속일자리 비중은 64.3%, 신규채용일자리 비중은 35.7%였다.
50대(413만7천개)는 17만1천개(4.3%), 40대(465만2천개)는 6만4천개(1.4%) 각각 증가했다.
반면 30대(433만9천개)는 4만7천개(-1.1%), 20대 이하(320만7천개)는 1만3천개(-0.4%) 각각 줄었다.
20대 이하 임금근로 일자리가 줄어든 것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이 발표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처음이다.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대(24.9%), 30대(23.2%), 50대(22.2%), 20대 이하(17.2%), 60대 이상(12.5%) 순이었다.
김진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60대 이상에서 일자리가 계속 늘어나는 추세가 이어졌고 그동안 증가세였던 20대 이하 일자리가 감소세로 돌아섰다"며 "코로나19는 전체 일자리 증가폭 축소에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 보건·사회복지, 공공행정 증가…제조업 감소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202만1천개)에서 일자리가 15만6천개, 공공행정(120만9천개)에서 6만3천개 늘었다.
교육(120만6천개)은 5만3천개, 전문·과학·기술(87만6천개)은 5만개 증가했다.
반면 일자리 비중이 22.4%로 가장 큰 제조업은 418만4천개로 한 해 전보다 2만2천개 감소했다.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해 3분기 잠시 증가했으나 4분기 이후 감소세다.
조업 일자리는 섬유제품(-8천개), 고무·플라스틱(-6천개), 기타 기계·장비(-6천개) 등에서 줄어들었다.
작년 4분기 일자리가 5만5천개 늘어난 숙박·음식업은 코로나19 여파에 올해 1분기 8천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건설업(165만5천개)에서도 7천개 줄었다.
성별로는 남성(1천085만7천개) 일자리가 15만5천개(1.4%) 늘었고 여성(781만9천개)은 27만3천개(3.6%)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 남성 비중은 58.1%, 여성은 41.9%였다.
조직 형태별로는 회사 이외의 법인이 제공한 일자리가 16만4천개, 정부·비법인단체는 12만4천개, 회사법인은 12만1천개, 개인 기업체는 1만9천개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회사법인이 56.8%로 가장 많았고, 개인 기업체는 16.9%, 정부·비법인단체는 13.9%, 회사 이외의 법인은 12.3%의 일자리를 제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