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률 감독 "알다가도 모르겠는 게 사랑이고 그게 현실이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2번째 장편 영화 '후쿠오카'
제문(윤제문 분)은 헌책방 단골손님 소담(박소담 분)의 뜬금없는 제안에 함께 후쿠오카로 향한다.
그곳에는 28년 전 '순이'를 동시에 사랑했던 해효(권해효 분)가 작은 술집을 운영 중이다.
후쿠오카는 순이의 고향이고, 제문이 하는 헌책방도 사실 순이가 좋아했던 곳이다.
28년 전 일로 여전히 앙금이 남아 투덕거리는 해효와 제문을 소담은 재밌다는 듯, 한심하다는 듯 바라본다.
세 사람의 여행은 꿈인 듯 상상인 듯 이어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21일 시사회가 취소되고 소규모로 취재진과 만난 장률 감독은 열두번째 장편 '후쿠오카'를 사랑 영화라고 소개했다.
장 감독은 "남녀의 사랑이 이뤄져 행복하게 사는 것도 사랑의 하나지만, 대부분 이뤄지지 않는 것도, 사랑을 넘어 증오로 세월을 보내는 것도 다 사랑"이라며 "이걸 우리 삶에서 어떻게 대하고 소화해 내야 하는가가 큰 사랑의 주제"라고 말했다.
영화를 보는 관객은 혼란스러울 수 있다.
후쿠오카에 간 소담은 일본 사람에게 한국말을 하지만 일본 사람은 그 말을 알아듣고 일본어로 답한다.
일본어를 모른다는 소담도 상대의 말을 이해한다.
해효는 서점 주인 할아버지를 분명 며칠 전에 봤는데 서점을 물려받은 손녀는 할아버지가 몇 년 전 돌아가셨다고 말하고, 처음 일본에 온 소담에게는 얼마 전 두고 가지 않았느냐며 인형을 건네준다.
누군가의 꿈일 수도, 상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면 그제야 수긍이 가는 설정들이다.
"현실은 어떤 영화보다 모호하고, 사랑은 알다가도 모르겠는 거잖아요.
보통 영화에서 어떤 캐릭터가 정해지면 그걸 쫓아가는데 사실 현실은 그렇지 않아요.
영화가 어떠해야 한다는 것도 서로의 착각일 수 있죠. 저는 어렵게 말하는 걸 싫어하고, 솔직하게 현실을 얘기해요.
"
장 감독은 중국 옌볜에서 태어난 재중 동포 2세다.
중문학 교수에 소설가 출신이라는 독특한 이력으로 마흔 살에 영화감독으로 데뷔해 베네치아와 칸 영화제 등에서 인정받은 거장이다.
탈북자의 현실을 무섭도록 냉정하게 담았던 '두만강'(2011) 이후 한국으로 이주해 만든 '경주'(2014), '군산:거위를 노래하다'(2018) 등의 작품은 상대적으로 가벼워 보이기도 한다.
장 감독은 "공간이 바뀌어서 그런 것 같다"며 "2011년 강의 때문에 한국에 와서 살면서 삶이 변했다.
예전의 내 삶보다 폭이 많이 좁아졌는데, 현실의 삶이 좁아지니 상상을 많이 하게 된 것 같다"고 했다.
'후쿠오카'는 10년 넘게 장 감독의 영화를 꾸준히 소개해 왔던 후쿠오카 영화제와의 인연으로 시작된 작품이다.
도쿄와는 다른 개방적이고 정겨운 분위기가 마음에 들었고, 장 감독의 영화에 종종 등장하는 윤동주 시인도 중요한 연결고리다.
옌볜에서 태어나 평양과 서울에서 공부하다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숨진 윤동주 시인은 장 감독 본인의 동선, 정체성과도 겹치다 보니 많은 생각을 안겨주는 도시일 수밖에 없다.
'경주'와 '군산'에 연달아 출연한 박해일에 이어 이번에는 박소담이 '군산'에 이어 두 번째로 장 감독의 영화에 함께했다.
장 감독은 "한번 작품을 같이 하고 저 친구가 궁금하다 싶으면 한 번 더 하게 된다"며 "박소담과도 기회가 있으면 또 같이하자고 했는데, 요즘은 예의상 하는 말이라는 걸 알지만, 예전에는 다 약속으로 생각했고 약속으로 밀어붙였다"며 웃었다.
제문이 '또라이'라고 부르는 소담은 극 중 21살이지만 교복을 입고 다닌다.
40대 후반 혹은 50대 초반인 두 남자와 스스럼없이 어울리며 불쑥 사라졌다 다시 불쑥 되돌아오고, 유치하게 싸우는 두 남자에게 가장 그럴듯한 말을 툭 던지기도 한다.
장 감독은 "보통 사람의 시선을 볼 때 이상하다 싶은 사람이 있는데, 어떤 인연으로 한동안 그 사람을 알게 되면 저 사람보다 내가 더 이상하구나, 내가 너무 눈치를 보는구나 싶을 때가 있다.
눈치를 잘 보지 않는 사람에게 눈길이 간다"고 했다.
"제 성장 과정에서 서점은 너무 중요한 공간이었고, 모든 생각과 감정을 그 공간에서 키웠어요.
서점에 자주 오는 사람들끼리는 동지감도 생기잖아요.
옛날 공간과 정서에 빠진 사람은 지금 세상과 소통에 문제가 있고, 제가 그래요.
피시방이 아닌 헌책방에 오는 젊은 사람이 그 사이를 이어주지 않을까 싶었죠."
/연합뉴스
제문(윤제문 분)은 헌책방 단골손님 소담(박소담 분)의 뜬금없는 제안에 함께 후쿠오카로 향한다.
그곳에는 28년 전 '순이'를 동시에 사랑했던 해효(권해효 분)가 작은 술집을 운영 중이다.
후쿠오카는 순이의 고향이고, 제문이 하는 헌책방도 사실 순이가 좋아했던 곳이다.
28년 전 일로 여전히 앙금이 남아 투덕거리는 해효와 제문을 소담은 재밌다는 듯, 한심하다는 듯 바라본다.
세 사람의 여행은 꿈인 듯 상상인 듯 이어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21일 시사회가 취소되고 소규모로 취재진과 만난 장률 감독은 열두번째 장편 '후쿠오카'를 사랑 영화라고 소개했다.
장 감독은 "남녀의 사랑이 이뤄져 행복하게 사는 것도 사랑의 하나지만, 대부분 이뤄지지 않는 것도, 사랑을 넘어 증오로 세월을 보내는 것도 다 사랑"이라며 "이걸 우리 삶에서 어떻게 대하고 소화해 내야 하는가가 큰 사랑의 주제"라고 말했다.
영화를 보는 관객은 혼란스러울 수 있다.
후쿠오카에 간 소담은 일본 사람에게 한국말을 하지만 일본 사람은 그 말을 알아듣고 일본어로 답한다.
일본어를 모른다는 소담도 상대의 말을 이해한다.
해효는 서점 주인 할아버지를 분명 며칠 전에 봤는데 서점을 물려받은 손녀는 할아버지가 몇 년 전 돌아가셨다고 말하고, 처음 일본에 온 소담에게는 얼마 전 두고 가지 않았느냐며 인형을 건네준다.
누군가의 꿈일 수도, 상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면 그제야 수긍이 가는 설정들이다.
"현실은 어떤 영화보다 모호하고, 사랑은 알다가도 모르겠는 거잖아요.
보통 영화에서 어떤 캐릭터가 정해지면 그걸 쫓아가는데 사실 현실은 그렇지 않아요.
영화가 어떠해야 한다는 것도 서로의 착각일 수 있죠. 저는 어렵게 말하는 걸 싫어하고, 솔직하게 현실을 얘기해요.
"
장 감독은 중국 옌볜에서 태어난 재중 동포 2세다.
중문학 교수에 소설가 출신이라는 독특한 이력으로 마흔 살에 영화감독으로 데뷔해 베네치아와 칸 영화제 등에서 인정받은 거장이다.
탈북자의 현실을 무섭도록 냉정하게 담았던 '두만강'(2011) 이후 한국으로 이주해 만든 '경주'(2014), '군산:거위를 노래하다'(2018) 등의 작품은 상대적으로 가벼워 보이기도 한다.
장 감독은 "공간이 바뀌어서 그런 것 같다"며 "2011년 강의 때문에 한국에 와서 살면서 삶이 변했다.
예전의 내 삶보다 폭이 많이 좁아졌는데, 현실의 삶이 좁아지니 상상을 많이 하게 된 것 같다"고 했다.
'후쿠오카'는 10년 넘게 장 감독의 영화를 꾸준히 소개해 왔던 후쿠오카 영화제와의 인연으로 시작된 작품이다.
도쿄와는 다른 개방적이고 정겨운 분위기가 마음에 들었고, 장 감독의 영화에 종종 등장하는 윤동주 시인도 중요한 연결고리다.
옌볜에서 태어나 평양과 서울에서 공부하다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숨진 윤동주 시인은 장 감독 본인의 동선, 정체성과도 겹치다 보니 많은 생각을 안겨주는 도시일 수밖에 없다.
'경주'와 '군산'에 연달아 출연한 박해일에 이어 이번에는 박소담이 '군산'에 이어 두 번째로 장 감독의 영화에 함께했다.
장 감독은 "한번 작품을 같이 하고 저 친구가 궁금하다 싶으면 한 번 더 하게 된다"며 "박소담과도 기회가 있으면 또 같이하자고 했는데, 요즘은 예의상 하는 말이라는 걸 알지만, 예전에는 다 약속으로 생각했고 약속으로 밀어붙였다"며 웃었다.
제문이 '또라이'라고 부르는 소담은 극 중 21살이지만 교복을 입고 다닌다.
40대 후반 혹은 50대 초반인 두 남자와 스스럼없이 어울리며 불쑥 사라졌다 다시 불쑥 되돌아오고, 유치하게 싸우는 두 남자에게 가장 그럴듯한 말을 툭 던지기도 한다.
장 감독은 "보통 사람의 시선을 볼 때 이상하다 싶은 사람이 있는데, 어떤 인연으로 한동안 그 사람을 알게 되면 저 사람보다 내가 더 이상하구나, 내가 너무 눈치를 보는구나 싶을 때가 있다.
눈치를 잘 보지 않는 사람에게 눈길이 간다"고 했다.
"제 성장 과정에서 서점은 너무 중요한 공간이었고, 모든 생각과 감정을 그 공간에서 키웠어요.
서점에 자주 오는 사람들끼리는 동지감도 생기잖아요.
옛날 공간과 정서에 빠진 사람은 지금 세상과 소통에 문제가 있고, 제가 그래요.
피시방이 아닌 헌책방에 오는 젊은 사람이 그 사이를 이어주지 않을까 싶었죠."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