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다시 고개드는 경제 불확실성 지수…작년말의 두 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불확실성 지수, 미중 갈등 고조된 작년 8월 이어 역대 2위
지난해 8월 정점을 찍은 이후 서서히 줄어들던 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다시 커지는 모양새다.
14일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EPU) 지수 홈페이지를 보면 올해 5월 한국의 이 지수는 428.82다.
이는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등 미·중 갈등이 극에 달한 지난해 8월(538.18)에 이어 1990년 통계 집계 이래 두 번째로 높은 값이다.
이 지수는 스콧 베이커 노스웨스턴대 부교수, 닉 블룸 스탠퍼드대 교수, 스티븐 데이비스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교수가 개발한 것으로, 언론 보도에서 경제나 무역 불확실성 관련 단어 혹은 청와대, 국회, 한국은행, 당국 등 정책 관련 단어가 쓰인 빈도를 바탕으로 산출된다.
경제 외에도 정치적인 여건도 포함한다는 게 특징이다.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지난해 9월 275.20으로 절반 가까이 낮아진 뒤 11월에는 239.36까지 낮아졌다.
코로나19가 확산하고 나서도 올해 2월 159.15까지 떨어졌으나 확산세가 완화하지 않자 3월 224.87, 4월 365.44로 오름세를 탔고 5월에 400선으로 올라섰다.
5월 지수는 코로나19 확산 직전인 작년 12월(257.89)과 비교하면 66.3%나 상승했다. 불확실성 지수는 시간이 갈수록 더 커질 공산이 크다.
코로나19 확산이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데다 미·중 갈등이 고착화 하는 조짐을 보이는 등 대외 여건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 확산이 멈추지 않으면 하반기에는 불확실성이 더 커질 것"이라며 "여기에 미중 갈등, 미국 대통령 선거, 한일 관계 등을 고려했을 때 불확실성이 증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최근 1년간 한국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 추이
┌────┬─────────┐
│ 연월│ 지수│
├────┼─────────┤
│ 2019.6│ 248.53│
├────┼─────────┤
│ 2019.7│ 316.86│
├────┼─────────┤
│ 2019.8│ 538.18│
├────┼─────────┤
│ 2019.9│ 275.20│
├────┼─────────┤
│ 2019.10│ 274.02│
├────┼─────────┤
│ 2019.11│ 239.36│
├────┼─────────┤
│ 2019.12│ 257.89│
├────┼─────────┤
│ 2020.1│ 255.23│
├────┼─────────┤
│ 2020.2│ 159.15│
├────┼─────────┤
│ 2020.3│ 224.87│
├────┼─────────┤
│ 2020.4│ 365.44│
├────┼─────────┤
│ 2020.5│ 428.82│
└────┴─────────┘
※ 자료 :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Economic Policy Uncertainty) 홈페이지
/연합뉴스
14일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EPU) 지수 홈페이지를 보면 올해 5월 한국의 이 지수는 428.82다.
이는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등 미·중 갈등이 극에 달한 지난해 8월(538.18)에 이어 1990년 통계 집계 이래 두 번째로 높은 값이다.
이 지수는 스콧 베이커 노스웨스턴대 부교수, 닉 블룸 스탠퍼드대 교수, 스티븐 데이비스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교수가 개발한 것으로, 언론 보도에서 경제나 무역 불확실성 관련 단어 혹은 청와대, 국회, 한국은행, 당국 등 정책 관련 단어가 쓰인 빈도를 바탕으로 산출된다.
경제 외에도 정치적인 여건도 포함한다는 게 특징이다.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지난해 9월 275.20으로 절반 가까이 낮아진 뒤 11월에는 239.36까지 낮아졌다.
코로나19가 확산하고 나서도 올해 2월 159.15까지 떨어졌으나 확산세가 완화하지 않자 3월 224.87, 4월 365.44로 오름세를 탔고 5월에 400선으로 올라섰다.
5월 지수는 코로나19 확산 직전인 작년 12월(257.89)과 비교하면 66.3%나 상승했다. 불확실성 지수는 시간이 갈수록 더 커질 공산이 크다.
코로나19 확산이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데다 미·중 갈등이 고착화 하는 조짐을 보이는 등 대외 여건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 확산이 멈추지 않으면 하반기에는 불확실성이 더 커질 것"이라며 "여기에 미중 갈등, 미국 대통령 선거, 한일 관계 등을 고려했을 때 불확실성이 증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최근 1년간 한국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 추이
┌────┬─────────┐
│ 연월│ 지수│
├────┼─────────┤
│ 2019.6│ 248.53│
├────┼─────────┤
│ 2019.7│ 316.86│
├────┼─────────┤
│ 2019.8│ 538.18│
├────┼─────────┤
│ 2019.9│ 275.20│
├────┼─────────┤
│ 2019.10│ 274.02│
├────┼─────────┤
│ 2019.11│ 239.36│
├────┼─────────┤
│ 2019.12│ 257.89│
├────┼─────────┤
│ 2020.1│ 255.23│
├────┼─────────┤
│ 2020.2│ 159.15│
├────┼─────────┤
│ 2020.3│ 224.87│
├────┼─────────┤
│ 2020.4│ 365.44│
├────┼─────────┤
│ 2020.5│ 428.82│
└────┴─────────┘
※ 자료 :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Economic Policy Uncertainty) 홈페이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