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찾아 수도권으로…코로나 사태 이후 인구유입 2배↑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지방 인구의 수도권 유입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충격에 상대적으로 일자리가 많은 수도권으로 청년층 인구가 몰린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6일 발표한 `지역 고용 리뷰`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확산한 올해 3∼4월 수도권 유입 인구는 2만7천500명으로, 작년 동기(1만2천800명)의 2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하기 전인 올해 1∼2월만 해도 수도권 유입 인구(2만8천200명)는 작년 동기(2만6천100명)보다 8.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도권 유입 인구는 1∼2월은 입학과 취업 등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가 3∼4월에는 뚝 떨어지는 패턴을 보이는데 올해는 3∼4월에도 수도권 유입세가 꺾이지 않았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상호 고용정보원 지역일자리지원팀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며 "불황기에는 상대적으로 고용 상황이 덜 나쁜 수도권으로 인구 이동이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로 대량 실업이 발생하자 연간 수도권 유입 인구가 1998년 9천명에서 2002년 21만명으로 급증한 것도 이를 보여주는 사례라는 게 이 팀장의 설명이다.

지난 3∼4월 인구 이동 현황을 시·도별로 보면 인구 유입이 발생한 곳은 경기(4만2천300명)와 세종(1천명) 2곳뿐이었다. 서울은 1만500명이 유출됐다.

이 팀장은 "세종의 인구 유입 규모도 작년보다는 감소했다"며 "사실상 모든 인구 이동이 경기도로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는 올해 3∼4월 수도권 유입 인구 가운데 20∼24세가 1만1천900명, 25∼29세가 8천800명에 달했다. 20대가 수도권 유입 인구의 75.5%를 차지한 것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수도권의 인구 쏠림 현상이 심화함에 따라 `인구 소멸` 위험에 빠진 지역도 늘었다.

올해 5월 기준으로 전국 시·군·구 228곳 가운데 소멸 위험 지역은 105곳으로, 작년 동기(93곳)보다 12곳 증가했다.

소멸 위험 지역은 20∼2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눈 소멸 위험 지수가 0.5 미만인 곳으로, 저출산·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으로 볼 수 있다.

이번에 소멸 위험 지역에 새로 포함된 시·군·구 중에는 부산 서구, 인천 동구, 대구 서구도 포함됐다. 이 팀장은 "광역 대도시 내 낙후 지역들이 소멸 위험 지역에 추가됐다"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