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늘어난 경제활동인구 중 92%는 60세 이상 고령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성 노동도 10년 새 20만2천명 늘어…취업 증가율은 하락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및 일자리 확대 방안 고민할 때" 부산·울산·경남지역 경제활동인구가 고령층과 여성을 중심으로 10년 새 큰 폭으로 늘었지만 노동 수요는 되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가 2일 내놓은 '동남권 고용 구조 변화와 향후 과제' 연구 보고서를 보면 지난 10년간 이 지역 경제활동인구는 34만4천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층이 31만5천명으로 전체 증가분의 92%를 차지했다.
15∼29세 청년층과 30∼59세 중장년층은 각각 4천명과 2만3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된 데 기인한 것으로 연구소는 분석했다.
부산·울산·경남지역 고령화율은 2011년 11.2%에서 지난해에는 16.4%까지 상승했고 이 추세라면 2024년에는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 경제활동인구의 증가 폭이 컸다.
여성 경제활동인구는 2010년 155만5천명에서 지난해 175만7천명으로 20만2천명이 늘었는데 같은 기간 남성 경제활동인구는 14만2천명 느는 데 그쳤다.
이처럼 노동 공급은 늘어나는데 수요는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자 수 증가율은 2011년 2.2%에서 지속해서 하락해 지난해에는 0.5%까지 떨어졌다.
반면 실업률은 2010년 초 3%를 밑돌았지만 지난해에는 3.8%까지 치솟았다.
산업별로 보면 2013∼2019년 제조업 취업자 수는 8.5% 감소했는데 서비스업은 7.8% 늘었다.
조선업을 비롯한 동남권 주력산업의 부진에 따른 구조조정 등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연구소는 분석했다.
연구소는 일자리 감소와 고실업 상태가 지속하면 구직을 포기하거나 훈련 부족 등으로 경기 회복 이후에도 위축된 고용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 이력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고용 안정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노사 협력과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외에도 직무교육, 취업지원 확대 등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백충기 BNK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주력 제조업 부진에 따른 고용 감소 현상이 장기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확대 방안에 관한 사회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및 일자리 확대 방안 고민할 때" 부산·울산·경남지역 경제활동인구가 고령층과 여성을 중심으로 10년 새 큰 폭으로 늘었지만 노동 수요는 되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가 2일 내놓은 '동남권 고용 구조 변화와 향후 과제' 연구 보고서를 보면 지난 10년간 이 지역 경제활동인구는 34만4천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층이 31만5천명으로 전체 증가분의 92%를 차지했다.
15∼29세 청년층과 30∼59세 중장년층은 각각 4천명과 2만3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된 데 기인한 것으로 연구소는 분석했다.
부산·울산·경남지역 고령화율은 2011년 11.2%에서 지난해에는 16.4%까지 상승했고 이 추세라면 2024년에는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 경제활동인구의 증가 폭이 컸다.
여성 경제활동인구는 2010년 155만5천명에서 지난해 175만7천명으로 20만2천명이 늘었는데 같은 기간 남성 경제활동인구는 14만2천명 느는 데 그쳤다.
이처럼 노동 공급은 늘어나는데 수요는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자 수 증가율은 2011년 2.2%에서 지속해서 하락해 지난해에는 0.5%까지 떨어졌다.
반면 실업률은 2010년 초 3%를 밑돌았지만 지난해에는 3.8%까지 치솟았다.
산업별로 보면 2013∼2019년 제조업 취업자 수는 8.5% 감소했는데 서비스업은 7.8% 늘었다.
조선업을 비롯한 동남권 주력산업의 부진에 따른 구조조정 등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연구소는 분석했다.
연구소는 일자리 감소와 고실업 상태가 지속하면 구직을 포기하거나 훈련 부족 등으로 경기 회복 이후에도 위축된 고용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 이력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한 고용 안정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노사 협력과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외에도 직무교육, 취업지원 확대 등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백충기 BNK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주력 제조업 부진에 따른 고용 감소 현상이 장기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확대 방안에 관한 사회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