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가격 폭등을 막고자 가격상한제를 도입한 이탈리아 정부가 마스크 품귀 현상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이탈리아 정부는 지난달 말 덴탈 마스크 공급가를 개당 50센트(유로화·약 664원)로 제한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소비자 가격은 61센트(809원)다.
이달 4일(현지시간)부터 시작된 단계적 봉쇄 완화에 앞서 마스크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한 가격 안정화 대책이었다.
하지만 이후 시중 약국 등에서 마스크를 구매하기가 더 어려워졌다고 한다.
상당수 약국은 마스크가 일시 품절됐다는 안내 문구를 내붙였다.
이는 일각의 사재기에 더해 손실을 우려하는 일부 약국의 판매 거부 행위와 공급 부족 등이 맞물리면서 벌어진 일로 분석되고 있다.
정부 가격에 한정적으로 공급된 50센트짜리 마스크는 진작에 동이 났고, 이미 비축된 물량은 창고에 꽁꽁 묶이면서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일부 약국을 비롯한 소매업자들은 행정명령 발효 이전 더 비싼 가격에 공급받은 마스크를 손해를 보며 팔 수 없다며 정부 가격을 거부하고 있다고 dpa 통신은 12일 전했다.
정부는 행정명령에 따른 손실을 보전해주겠다고 소매업자들을 설득했으나 마스크 품귀 현상은 쉽게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치밀한 사전 준비 없이 성급하게 가격 통제에 나서며 오히려 수급을 교란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책적 방향성은 옳으나 시기적으로 너무 늦었다고 지적도 있다.
약사 이익단체를 이끄는 마르코 코솔로는 13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비상 상황에서 정부의 마스크 가격 통제는 옳다"면서도 "일찍 도입됐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3월 7일께 정부에 가격 통제를 건의했지만 이후 시간이 한참 지난 지난달 28일에서야 정책이 도입됐다면서 "이미 시장이 궤도에 들어선 터라 정책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문제는 정부가 애초 예상한 대로 봉쇄 완화 이후 마스크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4일 일부 봉쇄 완화와 더불어 밀폐된 실내 공간과 대중교통 등에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방역 대책을 도입했다.
코로나19 확산 거점인 북부 롬바르디아와 베네토주 등 일부 지역의 경우 마스크 착용이 전면 의무화돼 외출하려면 반드시 마스크를 써야 한다.
마스크 수급 차질로 시민들의 불편과 불안만 커지는 상황이다.
마스크 공급의 병목 현상을 풀고자 마스크 공급가를 1유로(약 1천300원)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정부는 현재의 가격을 유지하며 대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