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가능성에 대응 '고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염수가 임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추진
일본이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오염수의 방류를 추진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해군도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선 것으로 12일 확인됐다.
해군은 최근 '방사능 오염수가 해군 임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연구 용역을 공고했다.
해군은 연구의 목적에 대해 "작전 해역에서 방사능 오염수가 우리 군의 작전에 끼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연구를 통해 대비책 수립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변국이 다량의 방사능 오염수를 방류했을 때를 상정해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 용역에 해군이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군 측은 연구 제안서 등에서 방류 가능 '주변국'이 어디인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정황상 주로 일본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오염수의 처분 방법을 놓고 최근 지역 주민이나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 행사를 잇따라 열고 있지만, 사실상 해양 방류 방안으로 정해 놓고 형식적인 절차를 밟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숀 버니 독일사무소 수석 원자력 전문가는 지난해 열린 간담회에서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10만t을 태평양에 방류하면 동해의 방사성 물질도 증가할 것"이라며 "동해까지 (유입에) 약 1년이 소요된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해군 측은 "작전 해역 내 방사능 오염수 방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다량의 방사능 오염수가 방류됐을 시에 작전 해역에 미칠 환경 영향에 대한 연구 사례가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해수가 방사능에 오염된 상태에서 생활용수나 장비 냉각수로 활용되는 경우나 나아가 장병이 해수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 군의 판단이다.
해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 "오염수 방류 대응 매뉴얼을 더 구체화하기 위한 취지"라며 "특정 국가에 대응한 연구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해군은 최근 '방사능 오염수가 해군 임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연구 용역을 공고했다.
해군은 연구의 목적에 대해 "작전 해역에서 방사능 오염수가 우리 군의 작전에 끼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연구를 통해 대비책 수립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변국이 다량의 방사능 오염수를 방류했을 때를 상정해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 용역에 해군이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군 측은 연구 제안서 등에서 방류 가능 '주변국'이 어디인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정황상 주로 일본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오염수의 처분 방법을 놓고 최근 지역 주민이나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 행사를 잇따라 열고 있지만, 사실상 해양 방류 방안으로 정해 놓고 형식적인 절차를 밟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숀 버니 독일사무소 수석 원자력 전문가는 지난해 열린 간담회에서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 110만t을 태평양에 방류하면 동해의 방사성 물질도 증가할 것"이라며 "동해까지 (유입에) 약 1년이 소요된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해군 측은 "작전 해역 내 방사능 오염수 방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다량의 방사능 오염수가 방류됐을 시에 작전 해역에 미칠 환경 영향에 대한 연구 사례가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해수가 방사능에 오염된 상태에서 생활용수나 장비 냉각수로 활용되는 경우나 나아가 장병이 해수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 군의 판단이다.
해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 "오염수 방류 대응 매뉴얼을 더 구체화하기 위한 취지"라며 "특정 국가에 대응한 연구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