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거리두기도 '방역의 한 모습'…경각심 늦춰선 안 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 일문일답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3일 "'생활 속 거리두기'(생활방역)도 방역의 한 모습"이라며, "방역을 무시한다거나 감염병 확산에 대한 경각심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 차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6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체계를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정부가 지난 3월 22일부터 시행해 온 '사회적 거리두기'는 오는 5일로 종료된다.
박 차장은 "지난 3개월간 솔선수범해 방역지침을 지켜 주셨듯, 생활 속 거리두기 체계에서도 방역지침을 잘 지켜달라"고 재차 당부했다.
다음은 박 차장과 취재진의 일문일답.
-- 1차, 2차, 3차 '사회적 거리두기'의 성적을 어떻게 평가하나.
▲ 5일까지 3차례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있었다.
1차, 2차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큰 방역 효과를 거뒀다고 생각한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전에는 1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100여 명에 가까웠지만, 3월 22일에 1차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작한 뒤 3월 29일부터 4월 11일까지는 신규 확진자 수가 70명대로 내려왔다.
2차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작한 뒤 4월 12일부터 28일 사이에는 1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16명으로 줄었고, 3차 거리두기 기간인 4월 29일부터 어제까지는 7명으로 줄어들었다.
신규 확진자 수 감소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과라고 판단한다.
집단발병 건수와 감염경로를 확인할 수 없는 사례도 현저하게 줄었다.
이 역시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나온 것이라고 보고 있다.
-- 생활 속 거리두기 전환 결정을 하면서 부처,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이견은 없었나.
▲ 생활 속 거리두기 전환은 중앙방역대책본부과 중앙사고수습본부 등 방역을 책임을 지는 기관에서 주로 맡았다.
관계부처들과 수차례 협의했다.
지자체와는 매일 중대본 회의에서 직접 의견을 나누고 있고 의견을 충분히 수렴했다.
-- 정부가 생활방역의 실효성을 높일 방안을 제시하지 않아서, 생활방역이 구호에 그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 방역당국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거리두기를 생활에서 실천하는 데 힘든 부분이 있을 것이다.
'이상'과 '현실'의 충돌이다.
어느 한쪽 편을 들 수는 없고, 생활을 영위하면서도 방역이 가능한 최선의 방안을 찾아가자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생활 속 거리두기로 넘어가면서 상황별로 세부지침을 만들었지만, 이는 전문가들의 중지를 모아 만든 것이다.
지속가능한 방법이 있으면 적용해 나가겠다.
'2m 간격'을 유지하기 힘든 경우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칸막이를 하는 등 다른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 등교는 언제부터, 어떤 방식으로 가능할까.
▲ 등교 시기와 구체적인 방법, 절차는 교육부에서 준비하고 있다.
감염병 위기 단계가 여전히 '심각'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를 조정하는 것을 염두에 두면서 등교에 대해 발표할 것으로 기대한다.
-- 감염병 위기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에서 하향 조정할 계획이 있나.
▲ 방대본이나 중수본은 국내 상황을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조정 지표'는 감염원이 확인되지 않은 감염 사례 수와 1일 신규 확진자 수다.
특히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 연휴 기간에 많은 이동이 있었기 때문에 이 기간 신규 환자 발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
지난달 30일 WHO(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긴급위원회에서 국제 공중 보건 위기 상황을 현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했는데, 이 점도 참고하려고 한다.
/연합뉴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3일 "'생활 속 거리두기'(생활방역)도 방역의 한 모습"이라며, "방역을 무시한다거나 감염병 확산에 대한 경각심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 차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6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체계를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정부가 지난 3월 22일부터 시행해 온 '사회적 거리두기'는 오는 5일로 종료된다.
박 차장은 "지난 3개월간 솔선수범해 방역지침을 지켜 주셨듯, 생활 속 거리두기 체계에서도 방역지침을 잘 지켜달라"고 재차 당부했다.
다음은 박 차장과 취재진의 일문일답.
-- 1차, 2차, 3차 '사회적 거리두기'의 성적을 어떻게 평가하나.
▲ 5일까지 3차례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있었다.
1차, 2차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큰 방역 효과를 거뒀다고 생각한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전에는 1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100여 명에 가까웠지만, 3월 22일에 1차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작한 뒤 3월 29일부터 4월 11일까지는 신규 확진자 수가 70명대로 내려왔다.
2차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작한 뒤 4월 12일부터 28일 사이에는 1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16명으로 줄었고, 3차 거리두기 기간인 4월 29일부터 어제까지는 7명으로 줄어들었다.
신규 확진자 수 감소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과라고 판단한다.
집단발병 건수와 감염경로를 확인할 수 없는 사례도 현저하게 줄었다.
이 역시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나온 것이라고 보고 있다.
-- 생활 속 거리두기 전환 결정을 하면서 부처,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이견은 없었나.
▲ 생활 속 거리두기 전환은 중앙방역대책본부과 중앙사고수습본부 등 방역을 책임을 지는 기관에서 주로 맡았다.
관계부처들과 수차례 협의했다.
지자체와는 매일 중대본 회의에서 직접 의견을 나누고 있고 의견을 충분히 수렴했다.
-- 정부가 생활방역의 실효성을 높일 방안을 제시하지 않아서, 생활방역이 구호에 그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 방역당국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거리두기를 생활에서 실천하는 데 힘든 부분이 있을 것이다.
'이상'과 '현실'의 충돌이다.
어느 한쪽 편을 들 수는 없고, 생활을 영위하면서도 방역이 가능한 최선의 방안을 찾아가자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생활 속 거리두기로 넘어가면서 상황별로 세부지침을 만들었지만, 이는 전문가들의 중지를 모아 만든 것이다.
지속가능한 방법이 있으면 적용해 나가겠다.
'2m 간격'을 유지하기 힘든 경우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칸막이를 하는 등 다른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 등교는 언제부터, 어떤 방식으로 가능할까.
▲ 등교 시기와 구체적인 방법, 절차는 교육부에서 준비하고 있다.
감염병 위기 단계가 여전히 '심각'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를 조정하는 것을 염두에 두면서 등교에 대해 발표할 것으로 기대한다.
-- 감염병 위기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에서 하향 조정할 계획이 있나.
▲ 방대본이나 중수본은 국내 상황을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조정 지표'는 감염원이 확인되지 않은 감염 사례 수와 1일 신규 확진자 수다.
특히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 연휴 기간에 많은 이동이 있었기 때문에 이 기간 신규 환자 발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
지난달 30일 WHO(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긴급위원회에서 국제 공중 보건 위기 상황을 현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했는데, 이 점도 참고하려고 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