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권 이낙연 독주…야권서는 "지지 정치인 없음"이 38%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권서는 이낙연, 이재명, 김부겸 순
야권서는 홍준표, 유승민, 안철수 혼전 양상
야권서는 홍준표, 유승민, 안철수 혼전 양상
차기 대권주자 지지율 여론조사에서 이낙연 국회의원 당선인이 독주 체제를 구축했다. 야권에서는 지난 대선에 후보로 나섰던 홍준표 당선인, 유승민 의원, 안철수 전 대표 3인방이 혼전 양상인 가운데, '지지하는 대권주자가 없다'는 응답이 38%나 나왔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에 의뢰해 지난 27~28일 이틀간 조사해 29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여권에서 가장 적합한 차기 정치지도자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4.1%가 이낙연 당선인을 선택했다. 차점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16.1%)를 세 배 가까이 앞섰다.
김부겸 의원(4.4%)·박원순 서울특별시장(2.8%)·김경수 경남도지사(1.1%) 등이 뒤를 이었으며 "적합한 차기 정치지도자가 없다"는 응답은 19.1%였다.
민주당 지지층에 한정 지어보면 이낙연 당선인은 68.2%의 지지를 받아 더욱 압도적이었다. 이어 이재명 지사 17.0%, 박원순 시장 3.4%, 김부겸 의원과 김경수 지사는 1.4% 순이었다.
야권의 차기 정치 지도자를 묻는 질문에는 홍준표 당선인 13.0%, 유승민 의원 10.4%, 안철수 전 대표 10.2%로 지난 대선후보 3인방이 오차 범위 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다만 "적합한 차기 정치 지도자가 없다"는 응답도 38.0%에 달했다. 황교안 전 대표는 8.1%, 김세연 의원은 4.9%로 뒤를 이었다.
통합당 지지층으로 한정해서 살펴보면, 홍준표 당선인(25.3%)과 황교안 전 대표(24.1%)가 오차범위 내 각축전 양상이었다. 이어 안철수 전 대표 9.7%, 유승민 의원 8.2%, 김세연 의원 4.1%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7~28일 전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100% RDD 자동응답방식으로 진행했다. 전체 응답률은 5.1%로 최종 1074명(가중 1000명)이 응답했다. 표본은 올해 2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기준에 따른 성·연령·권역별 가중값 부여(셀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ocm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에 의뢰해 지난 27~28일 이틀간 조사해 29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여권에서 가장 적합한 차기 정치지도자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4.1%가 이낙연 당선인을 선택했다. 차점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16.1%)를 세 배 가까이 앞섰다.
김부겸 의원(4.4%)·박원순 서울특별시장(2.8%)·김경수 경남도지사(1.1%) 등이 뒤를 이었으며 "적합한 차기 정치지도자가 없다"는 응답은 19.1%였다.
민주당 지지층에 한정 지어보면 이낙연 당선인은 68.2%의 지지를 받아 더욱 압도적이었다. 이어 이재명 지사 17.0%, 박원순 시장 3.4%, 김부겸 의원과 김경수 지사는 1.4% 순이었다.
야권의 차기 정치 지도자를 묻는 질문에는 홍준표 당선인 13.0%, 유승민 의원 10.4%, 안철수 전 대표 10.2%로 지난 대선후보 3인방이 오차 범위 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다만 "적합한 차기 정치 지도자가 없다"는 응답도 38.0%에 달했다. 황교안 전 대표는 8.1%, 김세연 의원은 4.9%로 뒤를 이었다.
통합당 지지층으로 한정해서 살펴보면, 홍준표 당선인(25.3%)과 황교안 전 대표(24.1%)가 오차범위 내 각축전 양상이었다. 이어 안철수 전 대표 9.7%, 유승민 의원 8.2%, 김세연 의원 4.1%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7~28일 전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100% RDD 자동응답방식으로 진행했다. 전체 응답률은 5.1%로 최종 1074명(가중 1000명)이 응답했다. 표본은 올해 2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기준에 따른 성·연령·권역별 가중값 부여(셀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o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