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자 1위, 마윈서 마화텅으로…3위는 40세 콜린 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니 마(마화텅)가 잭 마(마윈)를 제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중국 최고 부호 순위가 뒤바뀌었다. 소셜미디어(SNS), 게임, 클라우드 사업을 앞세운 텐센트(텅쉰) 주가가 급등하면서 마화텅 회장의 재산이 마윈 전 알리바바 회장의 재산보다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포브스 실시간 부호 순위에 따르면 마화텅 회장의 재산은 465억달러(약 57조1000억원)로, 마윈 재산 418억달러보다 47억달러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포브스가 작년 11월 정식으로 발표한 2019년 중국 부호 순위에서는 마윈과 마화텅 회장이 각각 1,2위를 차지했지만 이번에 순위가 역전된 것이다.
중국 최고 부호 순위 변화에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업계의 지각 변동이 큰 영향을 끼쳤다. 코로나19 확산이라는 특수 상황에서 텐센트 주가가 급등하면서 지분 8%가량을 보유한 마화텅 회장의 재산이 급증했다. 텐센트는 중국 최대 메신저 서비스인 위챗을 운영하고 있다.
14억 중국인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한 위챗은 알리페이와 더불어 양대 전자결제 서비스인 위챗페이를 포함한 수많은 다른 서비스와 연결해 시너지를 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위챗은 '건강 코드'라는 공공서비스와 연계되면서 더욱 큰 힘을 갖게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에서는 외국인을 포함해 스마트폰 앱의 '건강 코드'가 없으면 공공장소에 갈 수 없다. 건강 코드가 사실상 통행증 역할을 하는 셈이다. 텐센트 건강 코드 이용자는 9억명에 달한다.
텐센트의 캐시 카우인 게임 사업도 코로나19로 주목받고 있다. 또 텐센트가 작년 12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줌과 같은 다중 화상 회의 시스템인 '텐센트회의'는 이미 중국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를 확보한 화상 회의 시스템으로 정착했다.
마윈이 세운 알리바바 역시 코로나19 시대를 맞아 온라인 판매가 늘어나는 등 좋은 기회를 맞고 있다. 하지만 대주주인 일본 소프트뱅크가 보유 중인 알리바바 주식 140억달러어치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고, 최근에는 차기 회장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장판(蔣凡) 톈마오(天猫) 최고경영자(CEO)의 개인 스캔들까지 불거지는 등 악재가 이어져 주가가 약세다. 마윈은 현재 알리바바 이사회 구성원으로 지분 6%가량를 보유하고 있는 주요 주주다.
마화텅과 마윈에 이어 중국 최고 부자 3위는 전자상거래 업체 핀두오두오(PDD)의 콜린 황 창업자 겸 CEO다. 황 CEO는 나이 40세로, 재산은 257억달러로 집계됐다.
핀두오두오는 중국에서 알리바바와 JD닷컴(징둥닷컴)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모바일 앱 기반 전자상거래 업체다. 최근 공동 구매 기능으로 빠른 속도로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공동 구매는 물건을 선택한 뒤 친구나 가족에게 이를 권장하는 링크를 공유해 공동 구매자들이 늘어가면 가격이 낮아지는 구조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중국 최고 부호 순위가 뒤바뀌었다. 소셜미디어(SNS), 게임, 클라우드 사업을 앞세운 텐센트(텅쉰) 주가가 급등하면서 마화텅 회장의 재산이 마윈 전 알리바바 회장의 재산보다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포브스 실시간 부호 순위에 따르면 마화텅 회장의 재산은 465억달러(약 57조1000억원)로, 마윈 재산 418억달러보다 47억달러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포브스가 작년 11월 정식으로 발표한 2019년 중국 부호 순위에서는 마윈과 마화텅 회장이 각각 1,2위를 차지했지만 이번에 순위가 역전된 것이다.
중국 최고 부호 순위 변화에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업계의 지각 변동이 큰 영향을 끼쳤다. 코로나19 확산이라는 특수 상황에서 텐센트 주가가 급등하면서 지분 8%가량을 보유한 마화텅 회장의 재산이 급증했다. 텐센트는 중국 최대 메신저 서비스인 위챗을 운영하고 있다.
14억 중국인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한 위챗은 알리페이와 더불어 양대 전자결제 서비스인 위챗페이를 포함한 수많은 다른 서비스와 연결해 시너지를 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위챗은 '건강 코드'라는 공공서비스와 연계되면서 더욱 큰 힘을 갖게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에서는 외국인을 포함해 스마트폰 앱의 '건강 코드'가 없으면 공공장소에 갈 수 없다. 건강 코드가 사실상 통행증 역할을 하는 셈이다. 텐센트 건강 코드 이용자는 9억명에 달한다.
텐센트의 캐시 카우인 게임 사업도 코로나19로 주목받고 있다. 또 텐센트가 작년 12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줌과 같은 다중 화상 회의 시스템인 '텐센트회의'는 이미 중국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를 확보한 화상 회의 시스템으로 정착했다.
마윈이 세운 알리바바 역시 코로나19 시대를 맞아 온라인 판매가 늘어나는 등 좋은 기회를 맞고 있다. 하지만 대주주인 일본 소프트뱅크가 보유 중인 알리바바 주식 140억달러어치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고, 최근에는 차기 회장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장판(蔣凡) 톈마오(天猫) 최고경영자(CEO)의 개인 스캔들까지 불거지는 등 악재가 이어져 주가가 약세다. 마윈은 현재 알리바바 이사회 구성원으로 지분 6%가량를 보유하고 있는 주요 주주다.
마화텅과 마윈에 이어 중국 최고 부자 3위는 전자상거래 업체 핀두오두오(PDD)의 콜린 황 창업자 겸 CEO다. 황 CEO는 나이 40세로, 재산은 257억달러로 집계됐다.
핀두오두오는 중국에서 알리바바와 JD닷컴(징둥닷컴)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모바일 앱 기반 전자상거래 업체다. 최근 공동 구매 기능으로 빠른 속도로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공동 구매는 물건을 선택한 뒤 친구나 가족에게 이를 권장하는 링크를 공유해 공동 구매자들이 늘어가면 가격이 낮아지는 구조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