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지방자치] 시민이 정책 제안하면 시장이 답변…'대전시소' 성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온라인 1만4천명 방문, 542건 제안…교통 분야 116건 가장 많아
'일회용 플라스틱 없는 하루 지정' 안건은 시민 토론 후 정책 실행 단계 "시소처럼 균형을 맞춰 양쪽 의견을 들어볼 수 있어요.
"
지난해 11월 한 달간 온라인 시민 소통 공간인 '대전시소' 에서 '일회용 플라스틱(비닐·컵) 없는 하루를 지정하면 어떨까요?'를 주제로 찬반 투표가 진행됐다.
시민 435명이 참여해 그중 426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시민들은 '공공기관부터 솔선수범해 가정·학교·기업으로 확산할 필요가 있다'거나 '한 달에 한 번이나 특정 행사에 1회용품 안 쓰는 하루를 지정하자'라는 등의 의견을 달았다.
대전시 자원순환과장은 "일회용 플라스틱 없는 하루를 정해, 다각적인 1회용품 줄이기 캠페인 등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는 답변을 올렸다.
담당 부서는 현재 정책으로 실행하기 위해 세부적인 계획을 세우고 있다.
대전시소에 접수된 시민 제안이 공식적인 정책으로 추진되는 것이다.
이처럼 시민이 제안한 정책에 시장이 직접 답변하는 온라인 플랫폼인 대전시소가 공론장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시범 운영 시작 후 7개월 만에 방문자 수 1만4천명을 기록했다.
제안은 542건이 접수됐다.
페이지뷰는 10만1천회에 이른다.
시민과 소통을 확대하려고 도입한 정책이 성과를 내는 것이다.
시소는 '시민 소통'의 약자다.
시민 누구나 대전시소 홈페이지(http://www.daejeon.go.kr/seesaw)에 들어가 직접 정책을 제안할 수 있다.
이 제안에 30일 동안 200명이 공감하면 공론장이 열리고 '시민토론' 후보가 된다.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토론 의제 선정단'이 토론 후보 가운데 토론이 필요한 정책을 선별한다.
토론이 시작되고 30일 안에 시민 2천명 이상이 참여하면 허태정 시장이 직접 답변한다.
이후 제안 실행 과정도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토론 후보가 되지 않더라도 제안 후 20일 동안 20명의 공감을 얻은 정책은 관련 부서가 수용 여부와 실현 가능성 등을 따진다.
홈페이지 '대전시가 제안합니다' 코너에서는 정책을 만들기 전 시민 의견을 묻는다.
시정 주요 이슈와 정책 쟁점 사항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지방선거에서 대전시소를 공약으로 제시했던 허 시장은 "시민의 일방적인 정책 제안이 아니고, 시와 시민 간 소통, 시민과 시민 사이 공론이 가능한 시민공론장을 만든 것"이라며 "시민 누구나 참여해 좋은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정책으로 이어지는 시민참여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시소에서는 '일회용 플라스틱(비닐·컵) 없는 하루' 제안뿐만 아니라 대전시 수돗물 브랜드인 '이츠수'의 이름을 변경할지, 갑천 호수공원 공간 활용 건에 대한 시민 의견도 수렴했다.
청년들에게 자율적 예산 편성 권한을 부여할지, 대전 여행 명소는 어디인지에 대한 토론도 이어졌다.
시민들의 제안은 교통 분야가 116건(21.4%)으로 가장 많았고, 도시주택 104건(19.2%), 환경 85건(15.7%), 복지 66건(12.2%) 순으로 분석됐다.
버스정류장·횡단보도 설치, 주차 문제, 호수공원 체험 시설 설치, 놀이 공간 조성, 쓰레기 불법 투기를 막기 위한 쓰레기통 설치 등 시민 삶과 직결된 다양한 제안이 쏟아졌다.
집단 민원과 갈등 상황 등에 대한 시민 의견도 대전시소에서 수렴한 뒤 정책 결정에 반영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시민 참여를 끌어올리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시는 전용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유튜브 등을 활용해 더 많은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연말에는 좋은 제안을 선정, 시상한다.
이혜영 주무관은 "대전시소는 함께 소통하고 대화하는 일이 시소놀이와 같다는 취지로 만들었다"며 "시민과 시정을 이어주는 좋은 소통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 홈페이지나 SNS 계정 간편인증을 통해 접속하면 참여할 수 있다"며 "SNS와 유튜브 등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을 통해 대전시소를 알리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일회용 플라스틱 없는 하루 지정' 안건은 시민 토론 후 정책 실행 단계 "시소처럼 균형을 맞춰 양쪽 의견을 들어볼 수 있어요.
"
지난해 11월 한 달간 온라인 시민 소통 공간인 '대전시소' 에서 '일회용 플라스틱(비닐·컵) 없는 하루를 지정하면 어떨까요?'를 주제로 찬반 투표가 진행됐다.
시민 435명이 참여해 그중 426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시민들은 '공공기관부터 솔선수범해 가정·학교·기업으로 확산할 필요가 있다'거나 '한 달에 한 번이나 특정 행사에 1회용품 안 쓰는 하루를 지정하자'라는 등의 의견을 달았다.
대전시 자원순환과장은 "일회용 플라스틱 없는 하루를 정해, 다각적인 1회용품 줄이기 캠페인 등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는 답변을 올렸다.
담당 부서는 현재 정책으로 실행하기 위해 세부적인 계획을 세우고 있다.
대전시소에 접수된 시민 제안이 공식적인 정책으로 추진되는 것이다.
이처럼 시민이 제안한 정책에 시장이 직접 답변하는 온라인 플랫폼인 대전시소가 공론장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시범 운영 시작 후 7개월 만에 방문자 수 1만4천명을 기록했다.
제안은 542건이 접수됐다.
페이지뷰는 10만1천회에 이른다.
시민과 소통을 확대하려고 도입한 정책이 성과를 내는 것이다.
시소는 '시민 소통'의 약자다.
시민 누구나 대전시소 홈페이지(http://www.daejeon.go.kr/seesaw)에 들어가 직접 정책을 제안할 수 있다.
이 제안에 30일 동안 200명이 공감하면 공론장이 열리고 '시민토론' 후보가 된다.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토론 의제 선정단'이 토론 후보 가운데 토론이 필요한 정책을 선별한다.
토론이 시작되고 30일 안에 시민 2천명 이상이 참여하면 허태정 시장이 직접 답변한다.
이후 제안 실행 과정도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토론 후보가 되지 않더라도 제안 후 20일 동안 20명의 공감을 얻은 정책은 관련 부서가 수용 여부와 실현 가능성 등을 따진다.
홈페이지 '대전시가 제안합니다' 코너에서는 정책을 만들기 전 시민 의견을 묻는다.
시정 주요 이슈와 정책 쟁점 사항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지방선거에서 대전시소를 공약으로 제시했던 허 시장은 "시민의 일방적인 정책 제안이 아니고, 시와 시민 간 소통, 시민과 시민 사이 공론이 가능한 시민공론장을 만든 것"이라며 "시민 누구나 참여해 좋은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정책으로 이어지는 시민참여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시소에서는 '일회용 플라스틱(비닐·컵) 없는 하루' 제안뿐만 아니라 대전시 수돗물 브랜드인 '이츠수'의 이름을 변경할지, 갑천 호수공원 공간 활용 건에 대한 시민 의견도 수렴했다.
청년들에게 자율적 예산 편성 권한을 부여할지, 대전 여행 명소는 어디인지에 대한 토론도 이어졌다.
시민들의 제안은 교통 분야가 116건(21.4%)으로 가장 많았고, 도시주택 104건(19.2%), 환경 85건(15.7%), 복지 66건(12.2%) 순으로 분석됐다.
버스정류장·횡단보도 설치, 주차 문제, 호수공원 체험 시설 설치, 놀이 공간 조성, 쓰레기 불법 투기를 막기 위한 쓰레기통 설치 등 시민 삶과 직결된 다양한 제안이 쏟아졌다.
집단 민원과 갈등 상황 등에 대한 시민 의견도 대전시소에서 수렴한 뒤 정책 결정에 반영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시민 참여를 끌어올리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시는 전용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유튜브 등을 활용해 더 많은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연말에는 좋은 제안을 선정, 시상한다.
이혜영 주무관은 "대전시소는 함께 소통하고 대화하는 일이 시소놀이와 같다는 취지로 만들었다"며 "시민과 시정을 이어주는 좋은 소통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 홈페이지나 SNS 계정 간편인증을 통해 접속하면 참여할 수 있다"며 "SNS와 유튜브 등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을 통해 대전시소를 알리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