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자금확보 여파로 3월 CP 발행 34% 급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달 발행규모 21조2천억원
증권사 마진콜·코로나19 충격에 유동성 확보 노력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국내 단기자금 시장의 불안이 지속하는 가운데 지난달 기업어음(CP) 발행금액이 전월보다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기업들의 CP 발행금액은 21조2천472억원으로 전월(15조8천375억원)보다 34.16%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증권사들의 발행금액이 크게 늘었다.
지난달 신한금융투자의 CP 발행금액은 1조3천억원으로 국내 기업 가운데 가장 많았다.
또 이는 전월(500억원) 발행금액의 26배로 증가한 것이다.
이어 한국투자증권(1조100억원), 미래에셋대우(1조원), 하나금융투자(6천50억원), 삼성증권(3천700억원) 등 증권사들이 지난달 CP 발행금액 상위권을 차지했다.
CP 발행금액이 급증한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 경색 우려에 증권사들이 CP 발행을 통한 선제적 자금 확보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증권사마다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유동성 확보에 나선 것이 영향을 미쳤다"며 "3월 중순 이후 단기자금 수요가 많아진 상황에서 CP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초단기물 위주의 자금 도입을 지양하고 1년 이내 단기물 등 유동성 다양화 차원에서 증권사들이 CP 발행을 늘렸다"고 설명했다.
일부 증권사의 경우 해외 주가연계증권(ELS)의 기초지수가 폭락하면서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이 대거 발생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일부 증권사를 중심으로 조 단위로 추정되는 마진콜이 발생했고, 이를 지불하기 위해 증권사들이 CP를 발행하면서 단기자금시장의 불안은 더 커졌다.
국내 증권사들에 대한 신용등급 하향 조정 움직임도 감지된다.
신용평가회사 무디스는 KB증권(A3), 한국투자증권(Baa2), 미래에셋대우(Baa2), NH투자증권(Baa1), 삼성증권(Baa2), 신한금융투자(A3) 등 국내 6개 증권사를 신용등급 하향 조정 검토 대상에 올렸다고 전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및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증권사들의 수익성, 자본 적정성, 자금 조달, 유동성을 압박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일반 기업 가운데는 정유사들의 CP 발행이 눈에 띄었다.
지난달 SK에너지와 현대오일뱅크의 발행금액은 각각 8천750억원, 7천800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월 대비 각각 236.54%, 73.33% 증가한 것이다.
SK에너지와 현대오일뱅크의 CP 발행금액이 늘어난 것은 유가 급락으로 인한 업황 부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최근 정유사들은 코로나19 여파로 항공기 원유 수요 등이 부진한 데다 정제마진도 마이너스(-)를 기록해 석유제품을 팔면 적자를 보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당장 현금 확보가 급한 정유사들이 CP 발행시장에서 대규모 단기자금 조달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등 정부의 시장 안정책이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가면서 CP 발행금액은 최근 들어 감소세를 보였다.
4월 첫 주(3월 30일∼4월 3일) CP 발행 금액은 4조635억원으로 전주의 5조8천582억원보다 30.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증권사 마진콜·코로나19 충격에 유동성 확보 노력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국내 단기자금 시장의 불안이 지속하는 가운데 지난달 기업어음(CP) 발행금액이 전월보다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기업들의 CP 발행금액은 21조2천472억원으로 전월(15조8천375억원)보다 34.16%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증권사들의 발행금액이 크게 늘었다.
지난달 신한금융투자의 CP 발행금액은 1조3천억원으로 국내 기업 가운데 가장 많았다.
또 이는 전월(500억원) 발행금액의 26배로 증가한 것이다.
이어 한국투자증권(1조100억원), 미래에셋대우(1조원), 하나금융투자(6천50억원), 삼성증권(3천700억원) 등 증권사들이 지난달 CP 발행금액 상위권을 차지했다.
CP 발행금액이 급증한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 경색 우려에 증권사들이 CP 발행을 통한 선제적 자금 확보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증권사마다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유동성 확보에 나선 것이 영향을 미쳤다"며 "3월 중순 이후 단기자금 수요가 많아진 상황에서 CP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초단기물 위주의 자금 도입을 지양하고 1년 이내 단기물 등 유동성 다양화 차원에서 증권사들이 CP 발행을 늘렸다"고 설명했다.
일부 증권사의 경우 해외 주가연계증권(ELS)의 기초지수가 폭락하면서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이 대거 발생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일부 증권사를 중심으로 조 단위로 추정되는 마진콜이 발생했고, 이를 지불하기 위해 증권사들이 CP를 발행하면서 단기자금시장의 불안은 더 커졌다.
국내 증권사들에 대한 신용등급 하향 조정 움직임도 감지된다.
신용평가회사 무디스는 KB증권(A3), 한국투자증권(Baa2), 미래에셋대우(Baa2), NH투자증권(Baa1), 삼성증권(Baa2), 신한금융투자(A3) 등 국내 6개 증권사를 신용등급 하향 조정 검토 대상에 올렸다고 전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및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증권사들의 수익성, 자본 적정성, 자금 조달, 유동성을 압박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일반 기업 가운데는 정유사들의 CP 발행이 눈에 띄었다.
지난달 SK에너지와 현대오일뱅크의 발행금액은 각각 8천750억원, 7천800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월 대비 각각 236.54%, 73.33% 증가한 것이다.
SK에너지와 현대오일뱅크의 CP 발행금액이 늘어난 것은 유가 급락으로 인한 업황 부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최근 정유사들은 코로나19 여파로 항공기 원유 수요 등이 부진한 데다 정제마진도 마이너스(-)를 기록해 석유제품을 팔면 적자를 보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당장 현금 확보가 급한 정유사들이 CP 발행시장에서 대규모 단기자금 조달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등 정부의 시장 안정책이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가면서 CP 발행금액은 최근 들어 감소세를 보였다.
4월 첫 주(3월 30일∼4월 3일) CP 발행 금액은 4조635억원으로 전주의 5조8천582억원보다 30.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