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대기업, 세계시장서 입지 넓혔지만, 수익성 개선은 숙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연 '포브스 2천대 기업' 분석…韓기업 수 美·中·日·英 이어 5위
韓반도체 등 6대 제조업 영업이익률 5.4%…해외기업 평균 9.4%보다 낮아
글로벌 2천대 기업에 속하는 한국 기업 숫자가 미국, 중국, 일본, 영국에 이어 5번째로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8년 전과 비교하면 2계단 올라간 것이다.
다만, 한국 기업의 업종별 영업이익률은 글로벌 기업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수익성 개선이 과제로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6일 발표한 '2011, 2019년 포브스 글로벌 2천대 기업 분석' 자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포브스가 2011년 2천대 기업 평가를 위한 업종 기준을 새롭게 바꿔 분석 시점을 2011년으로 잡았다고 설명했다.
한경연 자료에 따르면 미국 경제매체 포브스가 선정한 2천대 기업 가운데 한국 기업은 2011년 61개에서 2019년 62개로 1개 많아졌다.
한국 순위는 2011년 7위에서 2019년에 프랑스와 캐나다를 제치고 5위로 올라섰다.
2011년 2천대 기업은 미국(536개)이 가장 많았고 일본(260개), 중국(167개), 영국(86개), 프랑스·캐나다(67개), 한국(61개), 인도(57개), 독일(54개) 등 순이었다.
2019년 순위는 여전히 미국(575개)이 1위였으나 중국(309개)이 일본(223개)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이어 영국(82개), 한국(62개), 인도·프랑스(57개), 캐나다(56개), 독일(53개) 순이다.
2천대 기업에 속한 한국 기업은 많아졌지만, 수익성은 해외기업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천대 기업 중 한국이 속한 업종 23개의 영업이익률이 해외기업 평균보다 높은 업종은 4개에 불과했다.
작년 기준 제약·바이오 업종 한국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27.4%로 한국을 제외한 해외기업 평균인 8.1%를 크게 웃돌았다.
종합 및 전문 금융서비스 업종 15.8%(해외평균 12.0%), 화장품·생활용품 10.1%(해외평균 9.7%), 광업 및 비철금속 7.7%(해외평균 6.9%)로 한국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이 높았다.
하지만, 한국 주력산업인 반도체를 비롯한 대표 제조업 6개 업종의 영업이익률 평균은 5.4%로, 해외기업 평균(9.4%)보다 낮았다.
한국기업이 속한 유틸리티(-0.9%), 백화점·할인마트(-0.8%), 항공서비스(-1.5%) 업종은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해 플러스 수익을 거둔 해외기업과 대조됐다.
한경연은 "에너지, 유통·항공 분야는 물론 반도체 등 주력 산업에서도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한경연은 신산업 진출을 통한 성장 동력 확보도 우리 경제의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포브스 2천대 기업이 속한 57개 업종 중 한국 기업이 포함된 업종 23개는 전체의 40%에 불과해 미국(55개), 일본(45개), 중국(43개)의 절반 수준으로 업종 다양성이 부족하다고 한경연은 지적했다.
한경연은 한국 대표 기업의 시가총액이 동종 업계 해외기업에 비해 규모가 크게 작다며 "한국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작년 한국의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 시가총액(2천724억달러)은 세계 1위 애플(9천613억달러)의 28.3%, 한국 자동차 업계 1위 현대자동차 시총(312억달러)은 글로벌 최대 자동차 기업 도요타(1천766억달러)의 17.7% 수준이라고 한경연은 부연했다.
/연합뉴스
韓반도체 등 6대 제조업 영업이익률 5.4%…해외기업 평균 9.4%보다 낮아
글로벌 2천대 기업에 속하는 한국 기업 숫자가 미국, 중국, 일본, 영국에 이어 5번째로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8년 전과 비교하면 2계단 올라간 것이다.
다만, 한국 기업의 업종별 영업이익률은 글로벌 기업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수익성 개선이 과제로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6일 발표한 '2011, 2019년 포브스 글로벌 2천대 기업 분석' 자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포브스가 2011년 2천대 기업 평가를 위한 업종 기준을 새롭게 바꿔 분석 시점을 2011년으로 잡았다고 설명했다.
한경연 자료에 따르면 미국 경제매체 포브스가 선정한 2천대 기업 가운데 한국 기업은 2011년 61개에서 2019년 62개로 1개 많아졌다.
한국 순위는 2011년 7위에서 2019년에 프랑스와 캐나다를 제치고 5위로 올라섰다.
2011년 2천대 기업은 미국(536개)이 가장 많았고 일본(260개), 중국(167개), 영국(86개), 프랑스·캐나다(67개), 한국(61개), 인도(57개), 독일(54개) 등 순이었다.
2019년 순위는 여전히 미국(575개)이 1위였으나 중국(309개)이 일본(223개)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이어 영국(82개), 한국(62개), 인도·프랑스(57개), 캐나다(56개), 독일(53개) 순이다.
2천대 기업에 속한 한국 기업은 많아졌지만, 수익성은 해외기업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천대 기업 중 한국이 속한 업종 23개의 영업이익률이 해외기업 평균보다 높은 업종은 4개에 불과했다.
작년 기준 제약·바이오 업종 한국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27.4%로 한국을 제외한 해외기업 평균인 8.1%를 크게 웃돌았다.
종합 및 전문 금융서비스 업종 15.8%(해외평균 12.0%), 화장품·생활용품 10.1%(해외평균 9.7%), 광업 및 비철금속 7.7%(해외평균 6.9%)로 한국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이 높았다.
하지만, 한국 주력산업인 반도체를 비롯한 대표 제조업 6개 업종의 영업이익률 평균은 5.4%로, 해외기업 평균(9.4%)보다 낮았다.
한국기업이 속한 유틸리티(-0.9%), 백화점·할인마트(-0.8%), 항공서비스(-1.5%) 업종은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해 플러스 수익을 거둔 해외기업과 대조됐다.
한경연은 "에너지, 유통·항공 분야는 물론 반도체 등 주력 산업에서도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한경연은 신산업 진출을 통한 성장 동력 확보도 우리 경제의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포브스 2천대 기업이 속한 57개 업종 중 한국 기업이 포함된 업종 23개는 전체의 40%에 불과해 미국(55개), 일본(45개), 중국(43개)의 절반 수준으로 업종 다양성이 부족하다고 한경연은 지적했다.
한경연은 한국 대표 기업의 시가총액이 동종 업계 해외기업에 비해 규모가 크게 작다며 "한국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작년 한국의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 시가총액(2천724억달러)은 세계 1위 애플(9천613억달러)의 28.3%, 한국 자동차 업계 1위 현대자동차 시총(312억달러)은 글로벌 최대 자동차 기업 도요타(1천766억달러)의 17.7% 수준이라고 한경연은 부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