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통일부 학생 6만여명 조사…北 부정적평가 전년대비 증가
학생들, 북한·통일 정보 "수업보다 유튜브서 얻어"…교사들 "이념논쟁 부담"
"한반도 평화롭지 않다"는 초중고생 1년만에 15%→34%
문재인 정부 들어 개선되는 듯했던 남북 관계가 지난해 주춤하면서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도 다소 부정적으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통일부는 지난해 10∼11월 전국 초중고 598곳의 학생 6만6천42명·교사 3천817명을 대상으로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렇게 조사됐다고 11일 밝혔다.

전년도(2018년) 조사는 4·5·9월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과 6월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이후 시행됐었다.

북한을 '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대상'이라고 답한 학생이 2017년 41%에서 5.2%로 크게 줄어드는 등 학생들이 북한을 긍정적으로 본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지난해에는 2월에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되고 이후 북한이 열 차례 넘게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이런 영향으로 이번 조사에서는 북한을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는 답변이 늘어났다.

'현재 한반도가 얼마나 평화롭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2018년에는 "평화롭다"고 답한 학생이 더 많았으나, 1년 만에 학생들 인식은 "평화롭지 않다"로 급선회했다.

'평화롭지 않다'는 답변이 전년도 15.5%에서 33.7%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평화롭다'는 답변은 36.6%에서 19.0%로 17.6%포인트 감소했다.

'북한이 우리에게 어떠한 대상이냐'는 질문에서 '경계해야 하는 대상'(28.2%→35.8%), '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대상'(5.2%→8.1%)이라는 답변이 늘어났다.

반면 '협력해야 하는 대상'이라는 답변은 50.9%에서 43.8%로 1년 만에 7.1%포인트 줄어들었고, '도와줘야 하는 대상'이라는 답변도 12.1%에서 8.2%로 줄어들었다.

북한 주민에 대해서도 '경계해야 하는 대상'(6.1%→8.7%), '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대상'(1.6%→2.7%)이라는 답변이 늘어났다.

'도와줘야 하는 대상'(57.0%→51.5%)이라는 답변은 감소했다.

"한반도 평화롭지 않다"는 초중고생 1년만에 15%→34%
'평소에 북한 하면 어떤 이미지가 가장 먼저 떠오르느냐'는 질문에 '전쟁·군사'(31.8%), '독재·인물'(27.0%), '가난·빈곤'(8.0%) 등의 답변이 전년 대비 늘어났다.

'한민족·통일'(21.8%), '지원·협력'(1.6%) 등의 답변은 줄었다.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여전히 '필요하다'는 답변이 55.5%로 우세했으나, 비율은 전년 대비 7.5%포인트 감소했다.

'불필요하다'는 답변이 13.7%에서 19.4%로 늘었다.

'통일이 언제쯤 가능하겠느냐'는 질문에 2018년 조사 때는 '5∼10년 이내'(31.3%)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는데, 지난해 조사에서는 '10∼20년 이내'(29.3%)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통일이 불가능해 보인다는 답변이 전년도 9.6%에서 18.1%로 두 배 늘어났다.

학생들의 북한·통일 관련 인식이 그해 남북 관계 이슈에 따라 매년 뒤바뀌는 이유는 학생들이 학교 교육보다는 '유튜브'로 관련 정보를 얻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평소 북한 및 통일에 관한 정보를 주로 '유튜브·인터넷'(40.9%)에서 얻는다고 답했다.

학교 수업(28.6%)이나 교과서(7.4%)로 배운다는 답변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학교에서 북한·통일 관련 교육을 받고 통일에 대한 관심도가 어떻게 바뀌었느냐'는 질문에 '이전과 변화 없다'(47.3%)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교사들은 평화·통일교육이 잘 이뤄지지 않는 이유에 관해 '교육 시간 확보가 어렵다'(56.4%), '통일교육이 이념 논쟁의 대상이 될까 봐 부담스럽다'(43.6%), '교사의 전문성이 부족하다'(33.5%), '수업 자료가 부족하다'(29.2%) 등이라고 지적했다.

평화·통일교육 관련 연수를 받은 적 있느냐는 질문에 67.3%가 '없다'고 답했고, 받았다는 교사들도 66.4%가 온라인 연수만 받았다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