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해체 수순…이찬열 탈당·당무거부 당직자 대거 해임(종합2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손학규 "이찬열, 한국당 공천 제안받았다고 해"…김관영·주승용도 해임
당권파까지 등 돌려…집단탈당 사태 가능성
'20석→19석' 원내교섭단체 붕괴…창당 2년만에 붕괴될 듯 손학규 대표의 진퇴 문제로 극심한 내홍을 거듭해온 바른미래당이 공중분해 될 위기에 처했다.
손 대표의 최측근으로 불려온 3선의 이찬열(경기 수원갑) 의원이 4일 탈당을 선언했다.
나아가 손 대표는 이날 오전 당 회의에 불참하거나 당부를 거부해온 김관영·주승용 지명직 최고위원, 임재훈 사무총장, 장진영 당대표 비서실장, 이행자 사무부총장 등 주요 당직자들을 무더기 해임했다.
이들 역시 손 대표의 측근 또는 당권파로 분류돼 왔다.
이행자 부총장은 이에 반발해 이날 탈당계를 냈다.
비당권파인 유승민계와 안철수계가 시차를 두고 이탈한 데 이어 그동안 손 대표 쪽에 서온 당권파들이 일제히 등을 돌린 것으로, 바른미래당이 붕괴 수순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바른미래당은 지난 2018년 2월 안철수 전 의원이 이끌어온 국민의당 일부와 유승민 의원을 중심으로 한 바른정당이 합쳐 출범했다.
2년 만에 사실상 '당 해체'로 접어든 셈이다.
이날 해임된 한 당직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손 대표가 전화를 걸어와 '그동안 수고하셨다.
짐을 덜어주겠다'며 해임을 통보했다"고 전했다.
임 총장 등 당직자들은 안철수 전 의원의 탈당 이후 손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며 지난 3일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했고, 손 대표는 "복귀하지 않으면 적절한 대응을 할 것"이라며 경고했다.
이어 손 대표는 이들의 당무 거부 의사를 확인, 하루 만에 당직에서 해임했다.
김관영·주승용 최고위원은 올해 들어 의정보고 등을 이유로 최고위원회의 등에 참석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손 대표는 공석이 된 주요 당직에 원외위원장들을 임명할 계획으로, 일부 위원장들에게는 선임 관련 통지가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손 대표는 오는 5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직자 해임 등 전반적인 당내 상황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앞서 이찬열 의원은 이날 오전 배포한 탈당선언문에서 "저는 오늘 바른미래당을 떠나 동토의 광야로 떠나겠다"며 "피도 눈물도 없고,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 되는 비정한 정치판이지만 의리와 낭만이 있는 정치를 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제 한계인 것 같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2009년 재·보궐선거에서 손 대표의 전폭적인 지지에 힘입어 국회에 입성했고 3선을 하는 동안 손 대표와 운명을 함께 해왔다.
특히 지난 2016년 10월 손 대표와 함께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했으며, 정치권에서 대표적인 '손학규계'로 통한다.
이 의원은 당분간 무소속으로 활동하다가 자유한국당으로 당적을 옮길 것으로 보인다.
손 대표는 통화에서 "이 의원이 지난주 전화를 걸어와 '한국당으로부터 공천을 주겠다는 제안이 있었다'면서 탈당 의사를 밝혔다.
시기를 조금 늦춰달라고도 했지만, 그쪽(한국당)과 이야기가 된 것이 있다고 했다"며 "정치인이 국회의원을 하겠다는데 그 길을 막을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손 대표와 가장 가까운 인사로 불린 이 의원의 사퇴가 소속 의원들의 '무더기 탈당'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당내 상당수 의원은 손 대표가 퇴진하지 않으면 집단 탈당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의원의 탈당으로 바른미래당 의석수는 20석에서 19석으로 줄었다.
이로써 바른미래당은 원내 교섭단체(20석 이상) 지위를 잃었다.
이와 함께 바른미래당 당직자들은 손 대표에게 당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요구했다.
사실상 손 대표의 퇴진을 압박한 것으로도 해석되는 대목으로, 손 대표가 이를 거부할 경우 당직자들의 집단행동도 예상된다.
당 사무처 부서장들은 이날 "당 대표가 당의 화합 속에 작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정상화해줄 것을 요청한다"며 "당 대표가 살신성인으로 이루어낸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마저 당의 분열과 갈등 앞에서는 총선 승리에 기여할 수 없다는 것이 자명해지고 있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손 대표에게 전달했다.
이들은 "타당과의 연대와 통합도 우리의 그릇이 견고하지 못하면 허사일 것"이라며 "책임 있는 당내 구성원들과 소통을 통해 당의 화합을 이루고 당의 정상화 단초를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당권파까지 등 돌려…집단탈당 사태 가능성
'20석→19석' 원내교섭단체 붕괴…창당 2년만에 붕괴될 듯 손학규 대표의 진퇴 문제로 극심한 내홍을 거듭해온 바른미래당이 공중분해 될 위기에 처했다.
손 대표의 최측근으로 불려온 3선의 이찬열(경기 수원갑) 의원이 4일 탈당을 선언했다.
나아가 손 대표는 이날 오전 당 회의에 불참하거나 당부를 거부해온 김관영·주승용 지명직 최고위원, 임재훈 사무총장, 장진영 당대표 비서실장, 이행자 사무부총장 등 주요 당직자들을 무더기 해임했다.
이들 역시 손 대표의 측근 또는 당권파로 분류돼 왔다.
이행자 부총장은 이에 반발해 이날 탈당계를 냈다.
비당권파인 유승민계와 안철수계가 시차를 두고 이탈한 데 이어 그동안 손 대표 쪽에 서온 당권파들이 일제히 등을 돌린 것으로, 바른미래당이 붕괴 수순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바른미래당은 지난 2018년 2월 안철수 전 의원이 이끌어온 국민의당 일부와 유승민 의원을 중심으로 한 바른정당이 합쳐 출범했다.
2년 만에 사실상 '당 해체'로 접어든 셈이다.
이날 해임된 한 당직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손 대표가 전화를 걸어와 '그동안 수고하셨다.
짐을 덜어주겠다'며 해임을 통보했다"고 전했다.
임 총장 등 당직자들은 안철수 전 의원의 탈당 이후 손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며 지난 3일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했고, 손 대표는 "복귀하지 않으면 적절한 대응을 할 것"이라며 경고했다.
이어 손 대표는 이들의 당무 거부 의사를 확인, 하루 만에 당직에서 해임했다.
김관영·주승용 최고위원은 올해 들어 의정보고 등을 이유로 최고위원회의 등에 참석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손 대표는 공석이 된 주요 당직에 원외위원장들을 임명할 계획으로, 일부 위원장들에게는 선임 관련 통지가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손 대표는 오는 5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직자 해임 등 전반적인 당내 상황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앞서 이찬열 의원은 이날 오전 배포한 탈당선언문에서 "저는 오늘 바른미래당을 떠나 동토의 광야로 떠나겠다"며 "피도 눈물도 없고,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 되는 비정한 정치판이지만 의리와 낭만이 있는 정치를 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제 한계인 것 같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2009년 재·보궐선거에서 손 대표의 전폭적인 지지에 힘입어 국회에 입성했고 3선을 하는 동안 손 대표와 운명을 함께 해왔다.
특히 지난 2016년 10월 손 대표와 함께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했으며, 정치권에서 대표적인 '손학규계'로 통한다.
이 의원은 당분간 무소속으로 활동하다가 자유한국당으로 당적을 옮길 것으로 보인다.
손 대표는 통화에서 "이 의원이 지난주 전화를 걸어와 '한국당으로부터 공천을 주겠다는 제안이 있었다'면서 탈당 의사를 밝혔다.
시기를 조금 늦춰달라고도 했지만, 그쪽(한국당)과 이야기가 된 것이 있다고 했다"며 "정치인이 국회의원을 하겠다는데 그 길을 막을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손 대표와 가장 가까운 인사로 불린 이 의원의 사퇴가 소속 의원들의 '무더기 탈당'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당내 상당수 의원은 손 대표가 퇴진하지 않으면 집단 탈당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의원의 탈당으로 바른미래당 의석수는 20석에서 19석으로 줄었다.
이로써 바른미래당은 원내 교섭단체(20석 이상) 지위를 잃었다.
이와 함께 바른미래당 당직자들은 손 대표에게 당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요구했다.
사실상 손 대표의 퇴진을 압박한 것으로도 해석되는 대목으로, 손 대표가 이를 거부할 경우 당직자들의 집단행동도 예상된다.
당 사무처 부서장들은 이날 "당 대표가 당의 화합 속에 작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정상화해줄 것을 요청한다"며 "당 대표가 살신성인으로 이루어낸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마저 당의 분열과 갈등 앞에서는 총선 승리에 기여할 수 없다는 것이 자명해지고 있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손 대표에게 전달했다.
이들은 "타당과의 연대와 통합도 우리의 그릇이 견고하지 못하면 허사일 것"이라며 "책임 있는 당내 구성원들과 소통을 통해 당의 화합을 이루고 당의 정상화 단초를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