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장세, OECD 중위권…성장률 하락에도 순위는 2단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OECD 중 15위·G20 중 5위 전망
세계경제 동반둔화 속 OECD 성장률 2.3→1.7% 예상
정책팀 = 한국의 지난해 경제 성장세가 주요 선진국 가운데서는 중위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성장률은 전년보다 0.7%포인트 하락했지만 OECD 내 순위는 오히려 두 계단 상승할 가능성이 커졌다.
세계 경제 동반 둔화 속에 아이슬란드·터키 등이 급격한 경제 위기를 겪은 것과 비교하면 2%대 성장세를 지켜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비교한 결과 지난해 한국의 성장률(2.0%)이 36개국 중 15위에 해당할 전망이다.
이는 OECD가 지난해 10월 내놓은 2019년 회원국 성장률 전망치에 한국, 독일 등 지금까지 발표된 국가별 GDP 실적·속보치를 반영한 것이다.
즉, OECD의 전망이 그대로 실현될 경우의 순위다.
2018년도에는 성장률이 2.7%로 올해보다 높았음에도 공동 17위에 머물렀지만, 이번에는 2계단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세계 경제가 동반 둔화 현상을 겪었고 OECD 평균 성장률 역시 2.3%에서 1.7%로 하락할 전망이지만, 한국의 성장세 둔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던 영향이다.
OECD 성장률 상위권에는 동유럽 국가들을 포함한 유럽 국가들이 주로 포진할 것으로 보인다.
성장세가 가장 강한 국가는 아일랜드로, OECD는 지난해 아일랜드의 경제 성장률이 5.6%에 이를 것으로 봤다.
이는 2017년 8.1%, 2018년 8.3%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OECD 회원국 가운데서는 가장 탄탄한 성장세다.
헝가리가 4.8%로, 폴란드(4.3%)를 제치고 2위를 차지하고 리투아니아(3.6%), 룩셈부르크(3.3%), 에스토니아(3.2%), 슬로베니아(3.1%), 이스라엘(3.1%)의 성장률이 모두 3%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인 선진국인 미국의 성장률이 2.3%로, 전년(2.9%)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여전히 2%대 유지 전망이 지배적이다.
성장률은 오는 30일 발표될 예정이다.
국가별 두드러지는 순위 변화를 살펴보면 2018년 공동 4위(4.8%)였던 아이슬란드의 실질 성장률이 0.8%로 급락해 공동 31위에 그쳤다.
아이슬란드는 지난해 관광 산업 부진 속에 저가 항공사 '와우 에어'가 파산하면서 경제에 큰 타격을 입었다.
터키는 2018년 2.8%에서 지난해 0.3%로 주저앉을 것으로 보인다.
2018년 4분기와 2019년 1분기 GDP가 연속 감소하며 기술적 경기 후퇴에 진입했다.
하반기에는 미국과의 갈등 고조와 인플레이션 속에 경제가 어려움을 겪었다.
OECD 중 한국과 더불어 유일한 아시아 국가인 일본 경제의 경우 1.0% 성장이 예상된다.
일본 GDP는 다음달 중순 발표될 예정이다.
한국과 유사한 제조업 중심 수출국인 독일은 지난해 성장률이 0.6%로 집계돼 전년 대비 반 토막 났다.
[표] 2019년 OECD·G20 회원국 성장률 전망 및 발표치
(단위 = %)
┌────┬──────────────┬─────────────────┐
│ 순위 │ OECD │ G20 │
├────┼─────────┬────┼─────────┬───────┤
│ 1 │ 아일랜드 │ 5.6 │ 중국 │ 6.1 │
├────┼─────────┼────┼─────────┼───────┤
│ 2 │ 헝가리 │ 4.8 │ 인도 │ 5.8 │
├────┼─────────┼────┼─────────┼───────┤
│ 3 │ 폴란드 │ 4.3 │ 인도네시아 │ 5.0 │
├────┼─────────┼────┼─────────┼───────┤
│ 4 │ 리투아니아 │ 3.6 │ 미국 │ 2.3 │
├────┼─────────┼────┼─────────┼───────┤
│ 5 │ 룩셈부르크 │ 3.3 │ 한국 │ 2.0 │
├────┼─────────┼────┼─────────┼───────┤
│ 6 │ 에스토니아 │ 3.2 │ 호주 │ 1.7 │
├────┼─────────┼────┼─────────┼───────┤
│ 7 │ 슬로베니아 │ 3.1 │ 캐나다 │ 1.5 │
├────┼─────────┼────┼─────────┼───────┤
│ 8 │ 이스라엘 │ 3.1 │ 유럽연합 │ 1.4(EC) │
├────┼─────────┼────┼─────────┼───────┤
│ 9 │ 뉴질랜드 │ 2.7 │ 프랑스 │ 1.3 │
├────┼─────────┼────┼─────────┼───────┤
│ 10 │ 체코 │ 2.6 │ 영국 │ 1.2 │
├────┼─────────┼────┼─────────┼───────┤
│ 11 │ 슬로바키아 │ 2.5 │ 러시아 │ 1.1 │
├────┼─────────┼────┼─────────┼───────┤
│ 12 │ 미국 │ 2.3 │ 일본 │ 1.0 │
├────┼─────────┼────┼─────────┼───────┤
│ 13 │ 라트비아 │ 2.3 │ 브라질 │ 0.8 │
├────┼─────────┼────┼─────────┼───────┤
│ 14 │ 칠레 │ 2.2 │ 사우디 │ 0.8(WB) │
├────┼─────────┼────┼─────────┼───────┤
│ 15 │ 한국 │ 2.0 │ 독일 │ 0.6 │
├────┼─────────┼────┼─────────┼───────┤
│ 16 │ 스페인 │ 2.0 │ 남아공 │ 0.5 │
├────┼─────────┼────┼─────────┼───────┤
│ 17 │ 포르투갈 │ 1.9 │ 터키 │ 0.3 │
├────┼─────────┼────┼─────────┼───────┤
│ 18 │ 덴마크 │ 1.8 │ 멕시코 │ 0.2 │
├────┼─────────┼────┼─────────┼───────┤
│ 19 │ 그리스 │ 1.8 │ 이탈리아 │ 0.2 │
├────┼─────────┼────┼─────────┼───────┤
│ 20 │ 호주 │ 1.7 │ 아르헨티나 │ -3.1 │
├────┼─────────┼────┼─────────┴───────┤
│ 21 │ 네덜란드 │ 1.7 │ │
├────┼─────────┼────┤ │
│ 22 │ 오스트리아 │ 1.5 │ │
├────┼─────────┼────┤ │
│ 23 │ 캐나다 │ 1.5 │ │
├────┼─────────┼────┤ │
│ 24 │ 스웨덴 │ 1.4 │ │
├────┼─────────┼────┤ │
│ 25 │ 핀란드 │ 1.3 │ │
├────┼─────────┼────┤ │
│ 26 │ 프랑스 │ 1.3 │ │
├────┼─────────┼────┤ │
│ 27 │ 벨기에 │ 1.3 │ │
├────┼─────────┼────┤ │
│ 28 │ 영국 │ 1.2 │ │
├────┼─────────┼────┤ │
│ 29 │ 노르웨이 │ 1.1 │ │
├────┼─────────┼────┤ │
│ 30 │ 일본 │ 1.0 │ │
├────┼─────────┼────┤ │
│ 31 │ 스위스 │ 0.8 │ │
├────┼─────────┼────┤ │
│ 32 │ 아이슬란드 │ 0.8 │ │
├────┼─────────┼────┤ │
│ 33 │ 독일 │ 0.6 │ │
├────┼─────────┼────┤ │
│ 34 │ 터키 │ 0.3 │ │
├────┼─────────┼────┤ │
│ 35 │ 이탈리아 │ 0.2 │ │
├────┼─────────┼────┤ │
│ 36 │ 멕시코 │ 0.2 │ │
└────┴─────────┴────┴─────────────────┘
중국, 인도 등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주요 20개국(G20) 중에서 한국의 순위는 5위로 예상된다.
G20 중 성장률 1위 국가는 중국이다.
지난해 성장률은 이미 6.1%로 집계됐다.
인도와 인도네시아도 각각 5.8%, 5.0%의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그 밖에도 호주(1.7%), 캐나다(1.5%), 유럽연합(EU·1.4%), 프랑스(1.3%), 영국(1.2%), 러시아(1.1%), 일본 등이 1%대의 성장세를 유지하겠지만, 한국 성장세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OECD의 각국 전망에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은행(WB) 전망, 유럽연합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전망을 더해 비교한 것이다.
/연합뉴스
세계경제 동반둔화 속 OECD 성장률 2.3→1.7% 예상
정책팀 = 한국의 지난해 경제 성장세가 주요 선진국 가운데서는 중위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성장률은 전년보다 0.7%포인트 하락했지만 OECD 내 순위는 오히려 두 계단 상승할 가능성이 커졌다.
세계 경제 동반 둔화 속에 아이슬란드·터키 등이 급격한 경제 위기를 겪은 것과 비교하면 2%대 성장세를 지켜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비교한 결과 지난해 한국의 성장률(2.0%)이 36개국 중 15위에 해당할 전망이다.
이는 OECD가 지난해 10월 내놓은 2019년 회원국 성장률 전망치에 한국, 독일 등 지금까지 발표된 국가별 GDP 실적·속보치를 반영한 것이다.
즉, OECD의 전망이 그대로 실현될 경우의 순위다.
2018년도에는 성장률이 2.7%로 올해보다 높았음에도 공동 17위에 머물렀지만, 이번에는 2계단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세계 경제가 동반 둔화 현상을 겪었고 OECD 평균 성장률 역시 2.3%에서 1.7%로 하락할 전망이지만, 한국의 성장세 둔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던 영향이다.
OECD 성장률 상위권에는 동유럽 국가들을 포함한 유럽 국가들이 주로 포진할 것으로 보인다.
성장세가 가장 강한 국가는 아일랜드로, OECD는 지난해 아일랜드의 경제 성장률이 5.6%에 이를 것으로 봤다.
이는 2017년 8.1%, 2018년 8.3%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OECD 회원국 가운데서는 가장 탄탄한 성장세다.
헝가리가 4.8%로, 폴란드(4.3%)를 제치고 2위를 차지하고 리투아니아(3.6%), 룩셈부르크(3.3%), 에스토니아(3.2%), 슬로베니아(3.1%), 이스라엘(3.1%)의 성장률이 모두 3%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인 선진국인 미국의 성장률이 2.3%로, 전년(2.9%)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여전히 2%대 유지 전망이 지배적이다.
성장률은 오는 30일 발표될 예정이다.
국가별 두드러지는 순위 변화를 살펴보면 2018년 공동 4위(4.8%)였던 아이슬란드의 실질 성장률이 0.8%로 급락해 공동 31위에 그쳤다.
아이슬란드는 지난해 관광 산업 부진 속에 저가 항공사 '와우 에어'가 파산하면서 경제에 큰 타격을 입었다.
터키는 2018년 2.8%에서 지난해 0.3%로 주저앉을 것으로 보인다.
2018년 4분기와 2019년 1분기 GDP가 연속 감소하며 기술적 경기 후퇴에 진입했다.
하반기에는 미국과의 갈등 고조와 인플레이션 속에 경제가 어려움을 겪었다.
OECD 중 한국과 더불어 유일한 아시아 국가인 일본 경제의 경우 1.0% 성장이 예상된다.
일본 GDP는 다음달 중순 발표될 예정이다.
한국과 유사한 제조업 중심 수출국인 독일은 지난해 성장률이 0.6%로 집계돼 전년 대비 반 토막 났다.
[표] 2019년 OECD·G20 회원국 성장률 전망 및 발표치
(단위 = %)
┌────┬──────────────┬─────────────────┐
│ 순위 │ OECD │ G20 │
├────┼─────────┬────┼─────────┬───────┤
│ 1 │ 아일랜드 │ 5.6 │ 중국 │ 6.1 │
├────┼─────────┼────┼─────────┼───────┤
│ 2 │ 헝가리 │ 4.8 │ 인도 │ 5.8 │
├────┼─────────┼────┼─────────┼───────┤
│ 3 │ 폴란드 │ 4.3 │ 인도네시아 │ 5.0 │
├────┼─────────┼────┼─────────┼───────┤
│ 4 │ 리투아니아 │ 3.6 │ 미국 │ 2.3 │
├────┼─────────┼────┼─────────┼───────┤
│ 5 │ 룩셈부르크 │ 3.3 │ 한국 │ 2.0 │
├────┼─────────┼────┼─────────┼───────┤
│ 6 │ 에스토니아 │ 3.2 │ 호주 │ 1.7 │
├────┼─────────┼────┼─────────┼───────┤
│ 7 │ 슬로베니아 │ 3.1 │ 캐나다 │ 1.5 │
├────┼─────────┼────┼─────────┼───────┤
│ 8 │ 이스라엘 │ 3.1 │ 유럽연합 │ 1.4(EC) │
├────┼─────────┼────┼─────────┼───────┤
│ 9 │ 뉴질랜드 │ 2.7 │ 프랑스 │ 1.3 │
├────┼─────────┼────┼─────────┼───────┤
│ 10 │ 체코 │ 2.6 │ 영국 │ 1.2 │
├────┼─────────┼────┼─────────┼───────┤
│ 11 │ 슬로바키아 │ 2.5 │ 러시아 │ 1.1 │
├────┼─────────┼────┼─────────┼───────┤
│ 12 │ 미국 │ 2.3 │ 일본 │ 1.0 │
├────┼─────────┼────┼─────────┼───────┤
│ 13 │ 라트비아 │ 2.3 │ 브라질 │ 0.8 │
├────┼─────────┼────┼─────────┼───────┤
│ 14 │ 칠레 │ 2.2 │ 사우디 │ 0.8(WB) │
├────┼─────────┼────┼─────────┼───────┤
│ 15 │ 한국 │ 2.0 │ 독일 │ 0.6 │
├────┼─────────┼────┼─────────┼───────┤
│ 16 │ 스페인 │ 2.0 │ 남아공 │ 0.5 │
├────┼─────────┼────┼─────────┼───────┤
│ 17 │ 포르투갈 │ 1.9 │ 터키 │ 0.3 │
├────┼─────────┼────┼─────────┼───────┤
│ 18 │ 덴마크 │ 1.8 │ 멕시코 │ 0.2 │
├────┼─────────┼────┼─────────┼───────┤
│ 19 │ 그리스 │ 1.8 │ 이탈리아 │ 0.2 │
├────┼─────────┼────┼─────────┼───────┤
│ 20 │ 호주 │ 1.7 │ 아르헨티나 │ -3.1 │
├────┼─────────┼────┼─────────┴───────┤
│ 21 │ 네덜란드 │ 1.7 │ │
├────┼─────────┼────┤ │
│ 22 │ 오스트리아 │ 1.5 │ │
├────┼─────────┼────┤ │
│ 23 │ 캐나다 │ 1.5 │ │
├────┼─────────┼────┤ │
│ 24 │ 스웨덴 │ 1.4 │ │
├────┼─────────┼────┤ │
│ 25 │ 핀란드 │ 1.3 │ │
├────┼─────────┼────┤ │
│ 26 │ 프랑스 │ 1.3 │ │
├────┼─────────┼────┤ │
│ 27 │ 벨기에 │ 1.3 │ │
├────┼─────────┼────┤ │
│ 28 │ 영국 │ 1.2 │ │
├────┼─────────┼────┤ │
│ 29 │ 노르웨이 │ 1.1 │ │
├────┼─────────┼────┤ │
│ 30 │ 일본 │ 1.0 │ │
├────┼─────────┼────┤ │
│ 31 │ 스위스 │ 0.8 │ │
├────┼─────────┼────┤ │
│ 32 │ 아이슬란드 │ 0.8 │ │
├────┼─────────┼────┤ │
│ 33 │ 독일 │ 0.6 │ │
├────┼─────────┼────┤ │
│ 34 │ 터키 │ 0.3 │ │
├────┼─────────┼────┤ │
│ 35 │ 이탈리아 │ 0.2 │ │
├────┼─────────┼────┤ │
│ 36 │ 멕시코 │ 0.2 │ │
└────┴─────────┴────┴─────────────────┘
중국, 인도 등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주요 20개국(G20) 중에서 한국의 순위는 5위로 예상된다.
G20 중 성장률 1위 국가는 중국이다.
지난해 성장률은 이미 6.1%로 집계됐다.
인도와 인도네시아도 각각 5.8%, 5.0%의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그 밖에도 호주(1.7%), 캐나다(1.5%), 유럽연합(EU·1.4%), 프랑스(1.3%), 영국(1.2%), 러시아(1.1%), 일본 등이 1%대의 성장세를 유지하겠지만, 한국 성장세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OECD의 각국 전망에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은행(WB) 전망, 유럽연합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전망을 더해 비교한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