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띠 해 태어나면 재물복·영특함·부지런함 타고난다 속설
전국 곳곳에 쥐 관련 조형물 설치해 2020년 경자년 기념

2020년은 경자년(庚子年), 쥐의 해다.

쥐는 십이지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동물로, 방위의 신이자 시간의 신이다.

쥐는 예로부터 풍요·다산·근면·지혜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쥐띠해에 태어난 인물은 재물복과 영특함, 부지런함을 타고난다는 속설이 있다.

우리 조상은 쥐를 혐오하면서도 의인화해 관직을 붙여 서생원(鼠生員)이라고 불렀다.

쥐는 전국 각지의 지명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충남 서산 운산면 용장천 물줄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강당골이라 불리는 곳에 쥐바위가 있다.

[2020 쥐띠해] 지명에 스민 풍요·다산·근면의 상징 '쥐'
강당골은 쥐를 닮은 형국으로 100여개의 사찰이 모였을 만큼 불교의 성지로 불렸다.

이 일대에는 국보로 지정된 마애삼존불상을 비롯해 많은 불교 문화재가 남아있다.

강당골 옆 하천을 사이에 두고 한쪽에는 쥐바위가 있고 다른 한쪽에는 고양이 바위가 있었다고 한다.

하천 다리가 없던 시절 쥐 모양을 닮았던 강당골 사찰들은 번성했지만, 고양이 바위가 있는 절에는 스님들만 남을 정도로 쇠퇴해 갔다.

하지만, 하천에 다리가 생기자 쥐 바위가 있던 강당골 사찰들은 망했고 고양이 바위가 있는 사찰에 신도들이 모여들었다.

고양이가 다리를 건너 쥐를 모두 잡아먹으면서 강당골 사찰들이 망했다는 말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다.

강원도 강릉시 서지(鼠地)는 쥐가 흙을 파는 형국이라 쥐의 땅(서지)으로 불린다.

동해시 두타산 삼화사에서 서쪽 1.4km 학소대골 상류에 두타산성과 마주한 관음사는 산쥐들이 길을 인도해 암자를 창건했다고 해 쥐조암이라고도 한다.

광주광역시 남구 노대동과 동구 지원동 경계에 펼쳐진 분적산(해발 414.5m) 북서쪽에는 쥐봉(해발 191.5m)이 자리 잡고 있다.

보름 때 쥐불등에서 쥐불놀이를 했다고 해 붙여진 지명이다.

쥐봉의 오른쪽에는 벼를 베어 일시적으로 쌓아놓은 모양처럼 생긴 노적봉(해발 235.6m)이 있고, 왼쪽에는 쥐봉의 쥐를 쫓는 고양이 형국이라고 해서 이름이 붙은 괘봉(해발 240.1m)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전북 익산시 삼기면 원서두 마을은 한자의 해석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원서두(原西豆)라는 말도 있고, 원서두(原鼠頭)라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전자는 뜻풀이가 직관적인데 삼기면 서쪽에 있는 마을에서 콩을 많이 심었다는 뜻으로 쓰인다.

현재도 주민들이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있어 이쪽에 무게를 두는 이들이 많다.

후자는 '쥐의 머리'라는 뜻인데 먹이를 물어다가 한곳에 모아놓는 쥐의 습성을 본떠지었다고 한다.

주민들이 재물을 차곡차곡 모아 부자가 되길 바라는 뜻에서 마을 이름을 지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영민하고 친근한 쥐는 각종 조형물로 형상화되기도 했다.

[2020 쥐띠해] 지명에 스민 풍요·다산·근면의 상징 '쥐'
부산 해운대와 송정 해수욕장에는 쥐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 포토존이 조성됐다.

가로·세로 각각 2m 크기 액자형 포토존 옆으로 쥐 캐릭터 3마리가 '2020'과 화살표 모형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액자 위에는 '해운대랑 2020 경자랑'이라는 재치 있는 문구도 쓰였다.

포항 영일대해수욕장에는 포항지역 설화 주인공인 연오랑세오녀 형상과 쥐띠해를 알리는 새해맞이 포토존을 만들었다.

포항시는 또 해맞이 행사를 하는 호미곶에 호미곶의 상징인 '상생의 손' 크기만 한 쥐 모형을 세워 경자년을 기념한다.

(양영석 박영서 이승형 장아름 정경재 김선호 김동철 기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