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방부, '현시점서 北행동, 1월8일 또는 2월16일 가능성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당국자 '불확실성 존재'…韓당국자들 '北, 2·16까지 美태도변화 기다릴수도'"
WSJ "한국측 '노(No)성탄선물' 징후 파악…美 ICBM→'보다 제한된 조치' 전망도"
"美, 대북 정찰비행 2017년 수준으로…동해에 유도 미사일 구축함 배치" 북한이 예고한 '성탄절 선물'이 아직 현실화하지 않은 가운데 미 국방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생일인 내년 1월 8일 또는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무렵인 2월 중순 등을 기점으로 북한의 행동이 이뤄질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또한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인 내년 2월16일(광명성절)까지는 중대 무기 시험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일부 한국 당국자들 사이에서 제기됐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WSJ은 27일(현지시간) '미국과 그 동맹들은 북한으로부터 나올 알려지지 않은 것에 대해 기다리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을 기념하는 2월16일(광명성절)까지는 북한의 주요무기 시험이 없을지도 모른다고 믿는다고 일부 한국 당국자들이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한국 측 판단에 대해 보고를 받은 한 인사는 "북한은 그(내년 2월 16일) 무렵까지 미국의 협상 태도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에 대해 기다릴 것"이라며 "(미국의 협상 태도에서) 변화를 보지 못한다면 북한은 장거리 미사일 또는 잠수함 기반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WSJ은 전했다.
WSJ은 북한의 행동 시점에 대한 미 국방부의 예측이 바뀌었다고 보도했다.
현재로선 북한의 행동이 새해 이후, 즉 어쩌면 김 위원장의 생일인 1월 8일 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즈음인 2월 중순에 이뤄질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보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다만 미 국방 당국자는 "일정 수준의 불확실성이 있다"고 설명했다고 WSJ은 전했다.
WSJ은 또한 북한의 조치와 관련, 미국의 국방 당국자들이 이달 초만 하더라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가능성을 두려워했으나, 성탄절이 다가오면서 국방부가 단거리 미사일 또는 엔진 시험, 해군 훈련 또는 '맹렬한 연설'과 같은, 보다 제한된 것들에 대해 점점 더 이야기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북한이 이달 초 미국에 '성탄절 선물'을 경고한 뒤 태평양 전역의 미 국방 당국자들은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왔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한국의 정책 결정자들은 북한이 성탄절은 중대한 긴장고조 활동 없이 보내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는 징후들을 보기 시작했다고 한국의 판단에 대해 보고 받은 인사들을 인용해 WSJ이 보도했다.
WSJ은 민간 항공 추적 사이트 등에 따르면 북한 인근 지역에 대한 미국의 정찰 비행이 미국이 북한과의 전쟁을 준비하던 2017년과 유사한 수준의 활동으로 돌아갔다면서 한국 내 국가안보 당국자들도 김정은 정권이 중대 무기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징후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국은 유도 미사일 구축함인 USS 밀리어스를 동해에 보냈다고 미 국방 당국자가 말했다고 WSJ은 전했다.
미 국방당국자들은 북한 감시를 위한 정찰기 비행 확대 보도에 관해서는 확인하지 않았지만, 해군이 그런 항공기를 한국시간으로 26일 밤 한반도에 배치했다는 점은 확인했다고 WSJ은 보도했다.
민간항공추적 사이트 '에어 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미 해군 해상초계기 P-3C 등이 이날 밤 남한 상공을 비행한 바 있다.
이제 미국과 한국, 일본 당국자들은 '북한이 언제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직면하게 됐으며, 북한이 도발적인 무기 시험 발사를 재개할지 여부에 대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김 위원장의 신년사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WSJ에 앞으로 몇 달 동안은 외교의 창이 여전히 열려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차 석좌는 북한이 2016과 2017년 단행된 제재 완화를 원하고 있는 상황에서 장거리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다면 북한의 가장 가까운 동맹인 중국을 격노케 할 수 있다면서 "북한도 난처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북한이 사전 경고 없이 불시에 시험 발사를 '명령'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북한이 시험 발사를 한다면 이는 북한의 핵 억지력이 미국이 한 번의 타격으로 파괴할 수 없을뿐더러 북한의 보복을 피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점을 과시하기 위한 목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또는 장거리 미사일용 고체 연료 엔진 시험이 이러한 목적에 들어맞을 것이라고 차 석좌는 내다봤다.
/연합뉴스
WSJ "한국측 '노(No)성탄선물' 징후 파악…美 ICBM→'보다 제한된 조치' 전망도"
"美, 대북 정찰비행 2017년 수준으로…동해에 유도 미사일 구축함 배치" 북한이 예고한 '성탄절 선물'이 아직 현실화하지 않은 가운데 미 국방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생일인 내년 1월 8일 또는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무렵인 2월 중순 등을 기점으로 북한의 행동이 이뤄질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또한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인 내년 2월16일(광명성절)까지는 중대 무기 시험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일부 한국 당국자들 사이에서 제기됐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WSJ은 27일(현지시간) '미국과 그 동맹들은 북한으로부터 나올 알려지지 않은 것에 대해 기다리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을 기념하는 2월16일(광명성절)까지는 북한의 주요무기 시험이 없을지도 모른다고 믿는다고 일부 한국 당국자들이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한국 측 판단에 대해 보고를 받은 한 인사는 "북한은 그(내년 2월 16일) 무렵까지 미국의 협상 태도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에 대해 기다릴 것"이라며 "(미국의 협상 태도에서) 변화를 보지 못한다면 북한은 장거리 미사일 또는 잠수함 기반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WSJ은 전했다.
WSJ은 북한의 행동 시점에 대한 미 국방부의 예측이 바뀌었다고 보도했다.
현재로선 북한의 행동이 새해 이후, 즉 어쩌면 김 위원장의 생일인 1월 8일 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즈음인 2월 중순에 이뤄질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보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다만 미 국방 당국자는 "일정 수준의 불확실성이 있다"고 설명했다고 WSJ은 전했다.
WSJ은 또한 북한의 조치와 관련, 미국의 국방 당국자들이 이달 초만 하더라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가능성을 두려워했으나, 성탄절이 다가오면서 국방부가 단거리 미사일 또는 엔진 시험, 해군 훈련 또는 '맹렬한 연설'과 같은, 보다 제한된 것들에 대해 점점 더 이야기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북한이 이달 초 미국에 '성탄절 선물'을 경고한 뒤 태평양 전역의 미 국방 당국자들은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왔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한국의 정책 결정자들은 북한이 성탄절은 중대한 긴장고조 활동 없이 보내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는 징후들을 보기 시작했다고 한국의 판단에 대해 보고 받은 인사들을 인용해 WSJ이 보도했다.
WSJ은 민간 항공 추적 사이트 등에 따르면 북한 인근 지역에 대한 미국의 정찰 비행이 미국이 북한과의 전쟁을 준비하던 2017년과 유사한 수준의 활동으로 돌아갔다면서 한국 내 국가안보 당국자들도 김정은 정권이 중대 무기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징후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국은 유도 미사일 구축함인 USS 밀리어스를 동해에 보냈다고 미 국방 당국자가 말했다고 WSJ은 전했다.
미 국방당국자들은 북한 감시를 위한 정찰기 비행 확대 보도에 관해서는 확인하지 않았지만, 해군이 그런 항공기를 한국시간으로 26일 밤 한반도에 배치했다는 점은 확인했다고 WSJ은 보도했다.
민간항공추적 사이트 '에어 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미 해군 해상초계기 P-3C 등이 이날 밤 남한 상공을 비행한 바 있다.
이제 미국과 한국, 일본 당국자들은 '북한이 언제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직면하게 됐으며, 북한이 도발적인 무기 시험 발사를 재개할지 여부에 대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김 위원장의 신년사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WSJ에 앞으로 몇 달 동안은 외교의 창이 여전히 열려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차 석좌는 북한이 2016과 2017년 단행된 제재 완화를 원하고 있는 상황에서 장거리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다면 북한의 가장 가까운 동맹인 중국을 격노케 할 수 있다면서 "북한도 난처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북한이 사전 경고 없이 불시에 시험 발사를 '명령'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북한이 시험 발사를 한다면 이는 북한의 핵 억지력이 미국이 한 번의 타격으로 파괴할 수 없을뿐더러 북한의 보복을 피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점을 과시하기 위한 목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또는 장거리 미사일용 고체 연료 엔진 시험이 이러한 목적에 들어맞을 것이라고 차 석좌는 내다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