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교수와 황정은 울산의대 교수팀이 1993년부터 20년 동안 대표적인 유명인 자살 사례 10건을 분석했더니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베르테르 효과라고도 불리는 모방 자살은 유명인 또는 자신이 선망하던 사람이 자살했을 때 그 인물을 따라 자살을 시도하는 현상을 말한다.
인터넷으로 뉴스를 쉽게 접할 수 있고 개인 방송, 온라인 커뮤니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뉴스의 확산성이 높아지면서 세계적으로 모방 자살의 위험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김남국·황정은 교수팀은 1993~2013년 언론을 통해 가장 많이 보도된 유명인 자살 사례 여성 5건, 남성 5건을 추렸다. 이후 같은 기간 국내 만 10~69세 자살 사례를 성별, 연령별 소집단으로 나눠 모방 자살 강도와 사망률을 분석했다. 모방 자살 강도는 연도별 자살 건수 증가율을 고려해 평균적으로 예상되는 자살 건수 대비 실제 발생한 모방 자살 건수다. 모방 자살 사망률은 10만 명당 모방 자살 사망자 수다.
그 결과 국내 20대 여성의 모방 자살 강도가 평균 2.31배, 모방 자살 사망률은 22.7명 증가했다. 모방 자살 위험에 가장 민감한 연령대였다. 모방 자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생각됐던 50대 남성은 모방 자살 강도가 1.29배로 다른 집단보다 높지 않았지만 모방 자살 사망률은 20.5명으로, 20대 여성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증가했다.
연예인 소식에 민감할 것으로 예상됐던 10대는 성인보다 모방 자살 민감도가 높지 않았다. 김 교수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모방 자살을 처음 정량적으로 비교한 연구”라며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예방적 교육이 중요한데 여러 집단 간 모방 자살 취약성을 비교해 국가적으로 맞춤 전략을 세우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바란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