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때문에 만남 피하고 식사 거르는 '빈곤청년'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권위 실태조사…응답자 67% "돈 때문에 사람 만나는 것 꺼려진 적 있다"
10명중 3명꼴 "부채 있어"…청년 지원금 정책에는 74% 찬성 실업이나 저임금 상태에 처한 취약계층 청년 상당수는 사람을 만나는 것을 꺼리게 되거나 식사를 거르게 되는 등 일상에서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5일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인권위가 평택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진행한 '빈곤청년 인권상황 실태조사'에서 66.9%가 '돈 때문에 사람을 만나는 것이 꺼려진 적 있다'고 답했다.
조사는 전국 만 19세∼34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청년 취약계층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의 40% 이상은 실업 상태에 있거나 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을 받는 저임금 근로자에 할당했다.
'가족 생일 등 기념일을 챙기는 것이 부담스럽다'(49.6%), '돈 때문에 식사를 거르거나 양을 줄인 경험이 있다'(49.5%)는 답변도 절반에 육박했다.
'생활필수품을 줄일 정도로 어려운 적이 있다'(31.2%), '매월 공과금을 내는 게 힘든 적이 있다'(30.8%)는 답변도 작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응답자의 10명 중 3명은 현재 부채가 있다고 답했다.
만 19∼24세 청년의 경우 학자금 대출(60.3%), 만 25∼29세는 생활비(25.0%), 만 30∼34세는 주거비(53.9%)가 채무 발생의 주된 요인이었다.
온라인 응답자 중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조사에서도 청년들은 "나에게 필요한 건 1초도 망설임 없이 '돈'이다", "학자금을 절반 정도 갚았는데 다른 신용카드 대출도 있다"고 언급하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조사팀은 "대학 졸업과 동시에 등록금 상환의 의무를 지고 상당한 취업 준비 기간을 거치면서 이들의 '마이너스 인생'이 길어진다"며 "바로 취업이 가능한 직장을 선택하면 또 고용불안과 저임금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고 '빈곤 청년'들이 겪는 악순환을 지적했다.
청년들은 일상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안정적 일자리 마련'(37.5%)과 '주거·임대 등을 위한 주거비용 조달'(18.0%)을 꼽았다.
이어 생활비 마련(17.5%), 대학 등 교육문제(6.1%), 결혼 및 연애(5.3%) 등 순이었다.
청년층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정부가 마련한 청년정책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도 많았다.
심층 면접에 참여한 A(23·남)씨는 "정부 취업지원센터는 교육 질이 낮아 차라리 유료 학원을 알아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했다.
현재 구직 중인 B(23·여)씨 역시 "국가가 하는 프로그램인데도 시스템이 체계적이지 않고 센터마다 기준이 달랐다"고 말했다.
주거 관련 정책인 '청년 공공주택'에 대해서도 "위치나 주거환경이 청년층 선호와 다르다", "경쟁이 치열하므로 지원하는 데 시간을 들이지 말고 얼른 전세금을 마련하는 게 낫다" 등 부정적 반응이 이어졌다.
정부나 지자체가 청년들에게 지급하는 청년수당· 청년배당·청년구직활동지원금 등의 수혜 경험은 8.6%에 불과했다.
그러나 청년 지원금 정책에는 74%가 찬성 의견을 밝히는 등 응답자들은 청년을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청년에게 지원해야 할 사항(중복응답)으로는 '주거 안정'(32.1%)이 가장 많았고, '일자리 창출'(17.5%)과 '생활비 지원'(17.1%), '학비·등록금 대출'(4.6%)이 뒤를 이었다.
조사팀은 "청년 대상 직업 훈련 프로그램 등 지원책은 많지만 참여율이 저조하다"며 "관련 정책의 실효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청년층 대다수가 몰라서 혜택받지 못한 것"이라며 "프로그램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홍보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0명중 3명꼴 "부채 있어"…청년 지원금 정책에는 74% 찬성 실업이나 저임금 상태에 처한 취약계층 청년 상당수는 사람을 만나는 것을 꺼리게 되거나 식사를 거르게 되는 등 일상에서의 어려움을 겪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5일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인권위가 평택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진행한 '빈곤청년 인권상황 실태조사'에서 66.9%가 '돈 때문에 사람을 만나는 것이 꺼려진 적 있다'고 답했다.
조사는 전국 만 19세∼34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청년 취약계층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의 40% 이상은 실업 상태에 있거나 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을 받는 저임금 근로자에 할당했다.
'가족 생일 등 기념일을 챙기는 것이 부담스럽다'(49.6%), '돈 때문에 식사를 거르거나 양을 줄인 경험이 있다'(49.5%)는 답변도 절반에 육박했다.
'생활필수품을 줄일 정도로 어려운 적이 있다'(31.2%), '매월 공과금을 내는 게 힘든 적이 있다'(30.8%)는 답변도 작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응답자의 10명 중 3명은 현재 부채가 있다고 답했다.
만 19∼24세 청년의 경우 학자금 대출(60.3%), 만 25∼29세는 생활비(25.0%), 만 30∼34세는 주거비(53.9%)가 채무 발생의 주된 요인이었다.
온라인 응답자 중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조사에서도 청년들은 "나에게 필요한 건 1초도 망설임 없이 '돈'이다", "학자금을 절반 정도 갚았는데 다른 신용카드 대출도 있다"고 언급하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조사팀은 "대학 졸업과 동시에 등록금 상환의 의무를 지고 상당한 취업 준비 기간을 거치면서 이들의 '마이너스 인생'이 길어진다"며 "바로 취업이 가능한 직장을 선택하면 또 고용불안과 저임금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고 '빈곤 청년'들이 겪는 악순환을 지적했다.
청년들은 일상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안정적 일자리 마련'(37.5%)과 '주거·임대 등을 위한 주거비용 조달'(18.0%)을 꼽았다.
이어 생활비 마련(17.5%), 대학 등 교육문제(6.1%), 결혼 및 연애(5.3%) 등 순이었다.
청년층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정부가 마련한 청년정책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도 많았다.
심층 면접에 참여한 A(23·남)씨는 "정부 취업지원센터는 교육 질이 낮아 차라리 유료 학원을 알아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했다.
현재 구직 중인 B(23·여)씨 역시 "국가가 하는 프로그램인데도 시스템이 체계적이지 않고 센터마다 기준이 달랐다"고 말했다.
주거 관련 정책인 '청년 공공주택'에 대해서도 "위치나 주거환경이 청년층 선호와 다르다", "경쟁이 치열하므로 지원하는 데 시간을 들이지 말고 얼른 전세금을 마련하는 게 낫다" 등 부정적 반응이 이어졌다.
정부나 지자체가 청년들에게 지급하는 청년수당· 청년배당·청년구직활동지원금 등의 수혜 경험은 8.6%에 불과했다.
그러나 청년 지원금 정책에는 74%가 찬성 의견을 밝히는 등 응답자들은 청년을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청년에게 지원해야 할 사항(중복응답)으로는 '주거 안정'(32.1%)이 가장 많았고, '일자리 창출'(17.5%)과 '생활비 지원'(17.1%), '학비·등록금 대출'(4.6%)이 뒤를 이었다.
조사팀은 "청년 대상 직업 훈련 프로그램 등 지원책은 많지만 참여율이 저조하다"며 "관련 정책의 실효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청년층 대다수가 몰라서 혜택받지 못한 것"이라며 "프로그램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홍보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