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크로마>

최근 금융감독원이 국내 한 금융지주 사외이사들에게 전한 말,

"법적 리스크가 우려 된다"

이어서 덧붙인 한 마디, "이러한 의견 전달은 당연한 소임이다"

채용 비리로 재판을 받고 있는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의 연임에 대해 금융회사를 감독하는 기관으로서 `해야 할 일`을 강조한 건데요.

조 회장 연임과 관련해 앞서 금융위원장은 "투명한 절차에 따라 진행하는지 살펴보는 게 당국의 의무"라고 말했습니다.

금융당국의 이 같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신한금융의 회장 선임 과정은 여전히 투명성과는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어회조 (어차피 회장은 조용병)`

오히려 조 회장의 연임이 `9부 능선`을 넘었다는 관측들만 무성할 뿐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지난 2월에도 똑같이 있었습니다.

대상만 달랐었지요.

같은 채용비리 혐의로 재판을 받았던 함영주 당시 KEB하나은행장의 3연임 도전에 대해 그 때도 금감원은 법적 리스크 우려를 표했습니다.

과거 국가의 그늘 아래 있을 당시, 은행들은 대한민국 산업의 도약과 성장을 이끈 주역들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IMF 시절 이후 은행의 주인이 국가가 아닌 주주로 바뀌면서 주된 역할이었던 `공적 기능` 자리에 `수익 우선주의`가 대신하고 있습니다.

채용 비리, 대출금리 조작, 최근 DLF 사태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논란을 일으킨 사건이 한, 둘이 아니지만 연말 금융수장 인사의 전제는 마치 관행처럼 당연하다는 듯이 `리딩 뱅크 탈환`, `1조 클럽 달성`과 같은 말들로 도배될 뿐입니다.

관치 금융과 경영권 간섭을 경계한다는 여론에 기대 이른바 `깜깜이 절차`로, 오히려 연임을 밀어붙이는 분위기입니다.

[인터뷰]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

"연임을 하겠다고 나서는 것 자체가 참으로 염치가 없는 짓이죠. 예전 기준으로 본다면 기소되면 다 물러났고 직원은 업무에서 배제하는데 회장은 연임을 한다, 이건 형평성에도 안맞죠."

비판 여론을 의식한 듯 최근 금융권은 영업 방식부터 직원 평가에 이르기까지, 너도나도 쇄신과 혁신의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선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쇄신과 혁신의 대상에 여전히 `사람`은 보이지 않습니다.

한국경제TV 임원식입니다.

임원식기자 ryan@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