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턱 제거·안전 손잡이 등 갖춰…주거 코치가 생활 지원
2022년까지 총 278호 공급 목표…독립생활·지역사회 정착 지원
장애인 32명, 수십년 시설 생활 벗어나 서울시 지원주택 첫 입주
서울의 발달장애인 32명이 수십년간 생활했던 장애인 거주 시설을 벗어나 서울시가 제공하는 '장애인 지원주택'에서 독립생활을 시작한다.

서울시는 2일 장애인 지원주택에 32명이 입주한다고 1일 밝혔다.

장애인 지원주택에 입주하는 첫 사례다.

장애인 지원주택은 서울시가 시설을 벗어나 지역사회에 정착하려는 장애인에게 제공하는 공공임대주택이다.

서울시는 분리수거, 금전 관리 등 생활하는 데 필요한 서비스도 함께 지원한다.

첫 입주 주택은 커뮤니티 시설(3호)을 포함해 총 24호이다.

동대문구 장안동에 8호(10명), 구로구 오류동에 5호(10명), 양천구 신정·신월동에 8호(12명)가 있다.

각 주택은 현관과 욕실의 문턱을 없애고, 안전 손잡이·센서등 리모컨·음성인식 가스차단기·핸드레일 등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췄다.

입주자들이 아직 독립생활이 서툰 만큼 전문 인력인 '주거코치'가 설거지, 분리수거 같은 일상생활 지원부터 투약 관리, 은행 업무, 관계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에 입주하는 32명은 시설 폐지를 앞둔 장애인 거주 시설에서 살던 장애인들이다.

이들은 짧게는 11년, 길게는 33년, 평균 23년을 시설에서 보냈다.

시설 장애인들은 기초생활 보장 수급자가 80%에 이르고 무연고 1인 세대도 절반에 달해 공공임대주택조차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시설이 폐지되면 다른 시설로 강제로 옮겨져 시설 생활을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했다.

서울시는 지원주택을 통해 장애인이 본인이 사는 지역에 계속 거주하며 독립생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애인 지원주택은 서울시가 '제2차 장애인거주시설 탈시설화 추진계획(2018∼2022)'에 따라 추진하는 정책이다.

2022년까지 장애인 800명이 시설에서 벗어나 독립생활을 하도록 하는 게 골자다.

서울시는 올해 68호를 시작으로 매년 70호씩 2022년까지 장애인 지원주택 총 278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올해 남은 44호(구로·양천·노원·강동)는 이달 중 입주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입주 대상자는 독립생활을 위해 주거 서비스가 지속해서 필요한 만 18세 이상 장애인이다.

1인 1주택이 원칙이며 보증금, 임대료, 관리비, 생활비 등은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거주 기간은 최장 20년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장애인 지원주택은 장애인들의 희망이자 꿈인 탈시설을 현실화한 정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장애인 지원주택이 개인별 특성에 맞는 거주 정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운영 모델을 다양화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