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명문고 육성 구상에 '암운'…"대응책 찾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고교서열화 해소 방안, 충북도 구상과 '정반대'
지역 내에 자사고 등 명문고를 육성하겠다는 충북도의 구상에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정부가 7일 2025년 자율형 사립고(자사고)를 일반고로 전환하고 전국 단위 학생 선발 일반고의 모집 특례도 폐지하기로 발표하면서다.
충북도가 명문고 육성 구상을 밖으로 꺼내놓은 때는 작년 11월이다.
이시종 지사가 선두에 서서 자사고 설립 주장을 펼쳤고 충북민간사회단체총연합회가 지원사격에 나섰다.
전국적으로 58개나 되는 자사고, 영재고, 국제고가 충북에 1개만이라도 설립된다면 고교 평준화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도내 학생들의 명문대 진학률을 높일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12월에는 충북교육청과 '자율학교 지정, 명문고 육성을 포함한 다양한 미래형 학교 모델을 창출한다'는 합의서까지 만들었다.
이 지사는 올해 2월 유은혜 교육부 장관을 만나 자사고 설립 허용을 요청했다.
이것이 어렵다면 전국 모집이 가능한 자율학교 2∼3개 설립을 인가해 주거나 도내 공공기관 등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경우 주소지를 충북으로 옮기지 않고도 도내 고교에 자녀를 입학시킬 수 있는 특례를 부여해 달라고 건의했다.
충북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직원 2천798명 중 가족 동반 이주율은 올 3월 기준 18.2%에 불과했다.
나머지 81.8%는 홀로 충북에 내려와 생활하거나 주소지를 옮기지 않고 수도권에서 출퇴근하고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한 이들의 주된 답변은 "명문고가 충북에 없다"는 것이었다,
청주 오송에서 살다가 세종시로 이사한 주민이 최근 4년간 4천319명에 달하는데, 그 이유가 자녀들을 세종시의 영재고·국제고에 입학시키겠다는 것이었다고 한다.
도와 도교육청은 지난 6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을 교육부에 건의했다.
현 시행령으로는 입학 특례 부여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다.
그런 만큼 '자사고가 없는 시·도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부모 또는 친권자의 자녀들은 해당 지역 소재 고등학교에 입학을 지원할 수 있다'는 조항을 신설하자는 게 도와 교육청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교육부가 자사고 등을 한꺼번에 일반고로 바꾸는 내용의 '고교서열화 해소방안'을 발표하면서 충북도와 도교육청 건의가 수용될 가능성은 작아졌다.
자사고 설립에 난색을 보였던 도교육청은 정부의 이번 발표를 반기겠지만 도와 함께 전국 단위 특례 모집에 나섰던 상황에서 다소 아쉬울 수 있다.
그나마 도교육청이 지역 인재 육성 종합대책을 준비 중인 점은 다행이다.
김 교육감은 지난 6일 기자간담회에서 "지역 인재를 어떻게 길러낼지, 인재 육성을 위한 학교 유형까지 고민한 종합 대책을 1월 초에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충북도 관계자는 "교육부가 발표한 내용을 검토하면서 교육청과 함께 대응책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지역 내에 자사고 등 명문고를 육성하겠다는 충북도의 구상에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정부가 7일 2025년 자율형 사립고(자사고)를 일반고로 전환하고 전국 단위 학생 선발 일반고의 모집 특례도 폐지하기로 발표하면서다.
충북도가 명문고 육성 구상을 밖으로 꺼내놓은 때는 작년 11월이다.
이시종 지사가 선두에 서서 자사고 설립 주장을 펼쳤고 충북민간사회단체총연합회가 지원사격에 나섰다.
전국적으로 58개나 되는 자사고, 영재고, 국제고가 충북에 1개만이라도 설립된다면 고교 평준화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도내 학생들의 명문대 진학률을 높일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12월에는 충북교육청과 '자율학교 지정, 명문고 육성을 포함한 다양한 미래형 학교 모델을 창출한다'는 합의서까지 만들었다.
이 지사는 올해 2월 유은혜 교육부 장관을 만나 자사고 설립 허용을 요청했다.
이것이 어렵다면 전국 모집이 가능한 자율학교 2∼3개 설립을 인가해 주거나 도내 공공기관 등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경우 주소지를 충북으로 옮기지 않고도 도내 고교에 자녀를 입학시킬 수 있는 특례를 부여해 달라고 건의했다.
충북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직원 2천798명 중 가족 동반 이주율은 올 3월 기준 18.2%에 불과했다.
나머지 81.8%는 홀로 충북에 내려와 생활하거나 주소지를 옮기지 않고 수도권에서 출퇴근하고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한 이들의 주된 답변은 "명문고가 충북에 없다"는 것이었다,
청주 오송에서 살다가 세종시로 이사한 주민이 최근 4년간 4천319명에 달하는데, 그 이유가 자녀들을 세종시의 영재고·국제고에 입학시키겠다는 것이었다고 한다.
도와 도교육청은 지난 6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을 교육부에 건의했다.
현 시행령으로는 입학 특례 부여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다.
그런 만큼 '자사고가 없는 시·도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부모 또는 친권자의 자녀들은 해당 지역 소재 고등학교에 입학을 지원할 수 있다'는 조항을 신설하자는 게 도와 교육청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교육부가 자사고 등을 한꺼번에 일반고로 바꾸는 내용의 '고교서열화 해소방안'을 발표하면서 충북도와 도교육청 건의가 수용될 가능성은 작아졌다.
자사고 설립에 난색을 보였던 도교육청은 정부의 이번 발표를 반기겠지만 도와 함께 전국 단위 특례 모집에 나섰던 상황에서 다소 아쉬울 수 있다.
그나마 도교육청이 지역 인재 육성 종합대책을 준비 중인 점은 다행이다.
김 교육감은 지난 6일 기자간담회에서 "지역 인재를 어떻게 길러낼지, 인재 육성을 위한 학교 유형까지 고민한 종합 대책을 1월 초에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충북도 관계자는 "교육부가 발표한 내용을 검토하면서 교육청과 함께 대응책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