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고위험병원체 연구…'긴급상황실' 위기상황 대응
메르스(MERS), 에볼라, 사스(SARS) 등 신종감염병이 끊임없이 발병하면서 국내 감염병 연구와 이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보건의료체계도 점차 진화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6일 '감염병 예방관리 아카데미'를 열고 감염병 대응을 총괄하는 긴급상황실(EOC)과 고위험병원체 검사시설인 생물안전 3등급(Biosafety Level 3, BL3) 실험실을 언론에 공개했다.

올해는 질본의 전신인 위생국이 설립된 지 125년째 되는 해다.

1894년 설립된 위생국은 정부가 최초로 감염병을 관리하기 시작한 기관이다.

과거에는 감염병 가운데도 사람에게 전파되는 '전염병'이 주된 타깃이었다.

광복과 6.25 전쟁으로 전국에 페스트, 콜레라, 결핵 등이 전국에 대대적으로 유행한 것이 감염병의 시작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1963년 국립보건원 설립을 계기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감염병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특히 2000년을 전후해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를 잇따라 겪으며 감염병 연구와 대응 체계가 한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

대표적인 변화가 긴급상황실이다.

긴급상황실은 2015년 메르스가 국내에서 유행한 이후 후속대책의 하나로 설치됐다.

올해 3월에는 위기대응 기반시설을 갖춘 별도 건물을 신축해 공식 개관했다.

이곳에서는 국내외 감염병 위기에 대한 관리·감독, 위기상황 초동대응, 관계기관과의 실시간 소통 등 감염병 위기 지휘본부(컨트롤타워)로서 총괄·조정 역할을 수행한다.

2016년 리우올림픽 당시 지카바이러스 대책반부터 지난해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노로바이러스 감염대책반까지 각종 위기상황 대응이 긴급상황실을 통해 이뤄졌다.

상황실에 들어서면 눈길을 끄는 것은 대형모니터다.

감염병 의심환자 신고 등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상황 접수와 초동대응, 위기평가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위기 규모에 따라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4단계를 판단하는 상황판단실과 진단관리팀, 위기분석팀, 검역관리팀 등 100여명의 직원이 이곳에서 상황을 공유하고 유기적으로 협력한다.

긴급상황실 옆 건물에는 고위험병원체 검사시설인 BL3 실험실이 자리 잡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큰 시설이다.

3등급 연구시설은 인체 위해성이 상당한 미생물을 이용해 실험을 하는 시설이다.

현재 메르스, 지카, 탄저, 결핵 등 40종이 넘는 병원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015년 국내에서 메르스가 발생했을 때도 이곳에서 바이러스의 변이 연구 등이 진행됐다.

연구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병원체를 직접 다루는 셀 실험과 이런 병원체를 동물에 감염 시켜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는 실험이다.

인체 위해성 관련 시설인 만큼 연구자 안전과 실험실 외부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비와 시설 등을 갖추고 있고, 모니터링도 철저하게 이뤄지고 있다.

연구에 사용된 병원체 반출은 '안에 들어간 것은 살아서 못 나온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철저하게 이뤄지고 있다.

연구자 역시 보호복을 입고 음압 처리된 문을 지나야 진입이 가능하다.

질본 관계자는 "일반 기관에서 하지 못하는 연구를 이곳에서 한다고 보면 된다"며 "진단, 백신, 질병 원인의 기저 연구 등 감염병 관련 연구를 총괄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