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기후 비상사태" 153개국 과학자 1만1천명 시국성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허비할 시간 없다…지구 구하려면 삶의 방식 바꿔야"
세계생태기금 "주요국 대응노력, 파리협약 목표치 크게 미달"
비상사태 수준으로 치달은 기후변화를 멈추기 위해 인류가 긴급 행동에 나서지 않으면 파멸적인 재앙이 닥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이 경고하고 나섰다.
영국 BBC,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세계 153개국의 과학자 1만1천명은 5일(현지시간) 발간된 국제 과학학술지 '바이오사이언스'에 공동 성명을 내고 "지구를 보존하기 위한 즉각적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면, 기후 위기는 인류에 막대한 고통을 가져올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과학자들은 "이제 허비할 시간이 없다"며 "기후 위기는 이미 우리 앞에 도달했고, 과학자 대다수의 예상보다 훨씬 빨리, 심각하게 진행되면서 생태계와 인류의 운명을 위협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논의가 지난 40년 동안 이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위기를 해결하는 데 실패했다"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서 인류는 삶의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과학자들은 기후 변화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석연료를 저탄소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메탄 등 오염 물질의 배출을 줄이며 ▲지구 생태계를 보호하고 ▲육식보다는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하며 ▲탄소 제로 경제를 구축하고 ▲인구를 억제한다는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성명을 주도한 미국 오리건 대학의 윌리엄 리플 교수는 "눈 앞에 펼쳐지고 있는 극단적인 기후의 급증 때문에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나섰다"며 "우리는 인류에게 어떠한 심각한 실존적 위협이라도 명확히 경고할 도덕적 책무를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탄소 배출과 지표 온도 상승뿐 아니라 기후 이상의 원인과 결과의 중요한 지표들을 전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인구 증가, 육류 소비, 산림 감소, 에너지 소비, 화석연료 보조금을 포함한 광범위한 기후 위기의 지표들을 면밀히 감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성명은 전 세계가 기후 변화를 의제로 1979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처음 머리를 맞댄 지 꼭 40년 만에 나온 것이다.
과학자들은 또한 성명에서 "기후 위기는 고급스러운 생활방식에서 비롯된 과도한 소비와도 밀접히 연관돼 있다"며 비행기 승객 수의 급증, 각국 국내총생산(GDP)의 성장 등도 기후 위기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았다.
세계 200여개 나라가 기후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파리협약)을 채택했지만, 주요 국가들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은 파리협약의 목표치에 크게 미달하고 있다고 지적한 보고서도 이날 공개됐다.
환경 분야 비정부기구인 세계생태기금(UEF)은 파리협약을 비준한 나라 184개국 가운데 약 4분의 3에 해당하는 136개국의 이행 노력이 목표치에 터무니없이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UEF에 따르면, 현재 유럽연합(EU) 회원국 28개국과 노르웨이, 스위스, 우크라이나 등 소수의 국가만이 파리협약에 따른 이행 약속을 준수하고 있다.
반면, 전 세계 탄소배출의 절반을 중국, 미국, 인도, 러시아 등 4개 국가가 차지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정부는 파리협정 탈퇴를 위한 공식 절차에 착수했고, 러시아는 파리협약 준수를 위한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고 보고서는 개탄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등 주요 산유국들도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아무런 목표도 세우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중국과 인도의 경우 에너지 체계를 정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긴 하지만, 가파른 경제 성장으로 향후 10년간 탄소 배출을 계속 늘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협정을 아예 탈퇴한 미국,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 취임 이후 환경 보호 정책에 역행하고 있는 브라질 등은 다른 나라들이 파리협정에 따른 약속을 이행하는 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UEF는 예상했다.
또한, 미국과 호주가 기후 변화 대처를 위한 기여금 공여를 중단하면서 빈국들의 기후변화 억제 노력에도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UEF는 지적했다.
파리협약에서 각국은 기온상승을 2도 미만으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기후 억제를 위해 자발적인 노력을 약속했다.
그러나, 현재 추세대로라면 기온 상승 폭이 재앙적 수준인 3∼4도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보고서는 경고했다.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협의체(IPCC)의 전 의장인 로버트 왓슨은 "현재까지 지구의 평균 기온이 고작 1도 올라갔지만, 우리는 이미 심각한 결과를 목도하고 있다"며 "3-4도의 기온 상승은 전 세계에 걸쳐 매우 심대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제임스 매카시 하버드대 교수는 "온실 가스 배출을 급속도로, 그리고 급격하게 줄이지 못하면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에 의해 환경과 경제에 재앙이 닥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절반으로 감축하는 데 실패하면 허리케인과 심각한 폭풍, 산불, 가뭄이 2배로 늘고, 그 강도도 배가돼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가져올 것"이라며 "이를 막으려면 기후 변화에 대한 대처 노력을 2배, 3배로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세계생태기금 "주요국 대응노력, 파리협약 목표치 크게 미달"
비상사태 수준으로 치달은 기후변화를 멈추기 위해 인류가 긴급 행동에 나서지 않으면 파멸적인 재앙이 닥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이 경고하고 나섰다.
영국 BBC,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세계 153개국의 과학자 1만1천명은 5일(현지시간) 발간된 국제 과학학술지 '바이오사이언스'에 공동 성명을 내고 "지구를 보존하기 위한 즉각적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면, 기후 위기는 인류에 막대한 고통을 가져올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과학자들은 "이제 허비할 시간이 없다"며 "기후 위기는 이미 우리 앞에 도달했고, 과학자 대다수의 예상보다 훨씬 빨리, 심각하게 진행되면서 생태계와 인류의 운명을 위협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논의가 지난 40년 동안 이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위기를 해결하는 데 실패했다"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서 인류는 삶의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과학자들은 기후 변화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석연료를 저탄소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메탄 등 오염 물질의 배출을 줄이며 ▲지구 생태계를 보호하고 ▲육식보다는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하며 ▲탄소 제로 경제를 구축하고 ▲인구를 억제한다는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성명을 주도한 미국 오리건 대학의 윌리엄 리플 교수는 "눈 앞에 펼쳐지고 있는 극단적인 기후의 급증 때문에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나섰다"며 "우리는 인류에게 어떠한 심각한 실존적 위협이라도 명확히 경고할 도덕적 책무를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탄소 배출과 지표 온도 상승뿐 아니라 기후 이상의 원인과 결과의 중요한 지표들을 전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인구 증가, 육류 소비, 산림 감소, 에너지 소비, 화석연료 보조금을 포함한 광범위한 기후 위기의 지표들을 면밀히 감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성명은 전 세계가 기후 변화를 의제로 1979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처음 머리를 맞댄 지 꼭 40년 만에 나온 것이다.
과학자들은 또한 성명에서 "기후 위기는 고급스러운 생활방식에서 비롯된 과도한 소비와도 밀접히 연관돼 있다"며 비행기 승객 수의 급증, 각국 국내총생산(GDP)의 성장 등도 기후 위기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았다.
세계 200여개 나라가 기후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파리협약)을 채택했지만, 주요 국가들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은 파리협약의 목표치에 크게 미달하고 있다고 지적한 보고서도 이날 공개됐다.
환경 분야 비정부기구인 세계생태기금(UEF)은 파리협약을 비준한 나라 184개국 가운데 약 4분의 3에 해당하는 136개국의 이행 노력이 목표치에 터무니없이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UEF에 따르면, 현재 유럽연합(EU) 회원국 28개국과 노르웨이, 스위스, 우크라이나 등 소수의 국가만이 파리협약에 따른 이행 약속을 준수하고 있다.
반면, 전 세계 탄소배출의 절반을 중국, 미국, 인도, 러시아 등 4개 국가가 차지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정부는 파리협정 탈퇴를 위한 공식 절차에 착수했고, 러시아는 파리협약 준수를 위한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고 보고서는 개탄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등 주요 산유국들도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아무런 목표도 세우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중국과 인도의 경우 에너지 체계를 정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긴 하지만, 가파른 경제 성장으로 향후 10년간 탄소 배출을 계속 늘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협정을 아예 탈퇴한 미국,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 취임 이후 환경 보호 정책에 역행하고 있는 브라질 등은 다른 나라들이 파리협정에 따른 약속을 이행하는 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UEF는 예상했다.
또한, 미국과 호주가 기후 변화 대처를 위한 기여금 공여를 중단하면서 빈국들의 기후변화 억제 노력에도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UEF는 지적했다.
파리협약에서 각국은 기온상승을 2도 미만으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기후 억제를 위해 자발적인 노력을 약속했다.
그러나, 현재 추세대로라면 기온 상승 폭이 재앙적 수준인 3∼4도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보고서는 경고했다.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협의체(IPCC)의 전 의장인 로버트 왓슨은 "현재까지 지구의 평균 기온이 고작 1도 올라갔지만, 우리는 이미 심각한 결과를 목도하고 있다"며 "3-4도의 기온 상승은 전 세계에 걸쳐 매우 심대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제임스 매카시 하버드대 교수는 "온실 가스 배출을 급속도로, 그리고 급격하게 줄이지 못하면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에 의해 환경과 경제에 재앙이 닥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절반으로 감축하는 데 실패하면 허리케인과 심각한 폭풍, 산불, 가뭄이 2배로 늘고, 그 강도도 배가돼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가져올 것"이라며 "이를 막으려면 기후 변화에 대한 대처 노력을 2배, 3배로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