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었음' 인구 217만명 역대 최다…증가 폭도 8년여만에 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구직단념자 줄고 체감 실업률 하락…고용시장은 활발"
비경활인구 5명 중 1명, 1년내 취업·창업 희망
일할 능력이 있지만 취업 의사가 없는 '쉬었음' 인구가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쉬었음 인구 자체가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구직단념자가 감소로 전환했고 체감 실업률도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이 활발해졌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쉬었음' 인구 217만명…2003년 집계 시작 이래 최대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8월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해당 시기 비경제활동인구(이하 비경활인구)는 1천633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8천명(1.0%) 증가했다.
비경활인구란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 기간에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에 있는 이들을 말한다.
비경활인구의 연령대별 구성비를 보면 60세 이상(39.2%)이 가장 높았다.
이어 15∼19세(14.6%), 20대(14.6%) 등이 뒤를 이었다.
비경활인구 중 대졸 이상은 23.8%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증가했다.
비경활인구를 활동상태로 보면 가사(573만5천명), 재학·수강 등(370만8천명), 연로(222만명) 순으로 많았다.
이러한 활동상태 중 취업을 위한 학원·기관 수강만을 뽑아낸 '취업 준비'는 74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7만4천명 늘어났다.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일할 능력이 있지만 취업 의사가 없는 '쉬었음' 인구다.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34만9천명 늘어난 217만3천명으로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 증가 폭은 2011년 1월(35만4천명) 이후 8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쉬었음의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60세 이상(39.2%), 50대(20.9%), 20대(16.1%), 30대(11.4%) 순으로 높았다.
전년과 비교했을 때 30대(0.9%포인트), 20대(0.4%포인트)에서 비중이 늘었으며, 60세 이상(-2.1%포인트)에서는 줄었다.
쉬었음의 주된 이유는 몸이 좋지 않아서(41.7%),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16.9%), 퇴사(정년퇴직) 후 계속 쉬고 있음(16.3%) 순이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8월 큰 폭으로 줄어든 실업자(-27만5천명)가 취업자와 비경활인구로 나뉘어 들어가면서 쉬었음이 늘었다"며 "쉬었음이 역대 가장 많은 점은 사실이지만 3분기 들어 구직단념자는 감소로 전환했고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확장실업률도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이 활발해졌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 비경활인구 중 1년 이내 취업·창업 희망자 비중 1년 전보다 4.2%p↑ 비경활인구 중 향후 1년 이내 취업·창업 의사가 있는 이들의 비중은 20.9%(340만9천명)로 1년 전보다 4.2%포인트 늘었다.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20대(45.6%)가 가장 높았고, 30대(34.6%), 40대(30.6%) 순이었다.
이들 취업·창업 희망자 중 구체적인 활동 계획이 있는 이들의 비중은 68.0%로 1년 전보다 2.2%포인트 줄었다.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 이들이 취업·창업을 희망하는 이유는 생활비·용돈을 벌려고(70.8%), 자기 계발·자아 발전을 위해(19.5%) 등이 있었다.
이들 가운데 72.4% 전일제 임금근로자를 희망했다.
21.0%는 시간제 임금근로자를, 5.9%는 자영업자가 되기를 원했다.
여성(31.2%)이 남성(8.7%)보다 시간제 희망자 비율이 높았다는 점이 특이점이었다.
1년 이내 임금근로 취업 희망자의 취업 시 주요 고려 사항은 근무여건(27.9%), 수입·임금수준(26.0%), 자신의 적성 및 전공(24.8%) 등으로 나타났다.
희망 월평균 임금은 200만∼300만원(40.7%), 100만∼200만원(35.7%), 300만원 이상(13.3%) 순이었다.
1년 이내 창업 희망자의 주요 고려사항은 수입(48.1%), 자신의 적성 및 전공(25.0%), 이전 일과의 연관성(15.0%) 순이었다.
창업 희망 사유는 연령에 구애받지 않아서(25.1%), 하고 싶은 업종이 있어서(25.0%), 시간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싶어서(23.5%)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업자(구직활동 중)와 비경활인구를 합한 비취업자 1천718만8천명 중 시간제 근로를 희망하는 이의 비중은 지난 8월 12.3%로 1년 전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시간제 희망자 중 전일제 일자리가 있어도 시간제를 희망하는 이의 비율은 50.0%로 1년 전보다 8.6%포인트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일자리가 부족해 비자발적으로 시간제 근로를 했던 과거와 달라진 흐름"이라며 "제도 변화로 고용시장이 유연해지는 동시에 경력단절 여성 등 관련 일자리 수요가 증가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비경활인구 5명 중 1명, 1년내 취업·창업 희망
일할 능력이 있지만 취업 의사가 없는 '쉬었음' 인구가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쉬었음 인구 자체가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구직단념자가 감소로 전환했고 체감 실업률도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이 활발해졌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쉬었음' 인구 217만명…2003년 집계 시작 이래 최대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8월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해당 시기 비경제활동인구(이하 비경활인구)는 1천633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8천명(1.0%) 증가했다.
비경활인구란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 기간에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에 있는 이들을 말한다.
비경활인구의 연령대별 구성비를 보면 60세 이상(39.2%)이 가장 높았다.
이어 15∼19세(14.6%), 20대(14.6%) 등이 뒤를 이었다.
비경활인구 중 대졸 이상은 23.8%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증가했다.
비경활인구를 활동상태로 보면 가사(573만5천명), 재학·수강 등(370만8천명), 연로(222만명) 순으로 많았다.
이러한 활동상태 중 취업을 위한 학원·기관 수강만을 뽑아낸 '취업 준비'는 74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7만4천명 늘어났다.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일할 능력이 있지만 취업 의사가 없는 '쉬었음' 인구다.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34만9천명 늘어난 217만3천명으로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 증가 폭은 2011년 1월(35만4천명) 이후 8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쉬었음의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60세 이상(39.2%), 50대(20.9%), 20대(16.1%), 30대(11.4%) 순으로 높았다.
전년과 비교했을 때 30대(0.9%포인트), 20대(0.4%포인트)에서 비중이 늘었으며, 60세 이상(-2.1%포인트)에서는 줄었다.
쉬었음의 주된 이유는 몸이 좋지 않아서(41.7%),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16.9%), 퇴사(정년퇴직) 후 계속 쉬고 있음(16.3%) 순이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8월 큰 폭으로 줄어든 실업자(-27만5천명)가 취업자와 비경활인구로 나뉘어 들어가면서 쉬었음이 늘었다"며 "쉬었음이 역대 가장 많은 점은 사실이지만 3분기 들어 구직단념자는 감소로 전환했고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확장실업률도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이 활발해졌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 비경활인구 중 1년 이내 취업·창업 희망자 비중 1년 전보다 4.2%p↑ 비경활인구 중 향후 1년 이내 취업·창업 의사가 있는 이들의 비중은 20.9%(340만9천명)로 1년 전보다 4.2%포인트 늘었다.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20대(45.6%)가 가장 높았고, 30대(34.6%), 40대(30.6%) 순이었다.
이들 취업·창업 희망자 중 구체적인 활동 계획이 있는 이들의 비중은 68.0%로 1년 전보다 2.2%포인트 줄었다.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 이들이 취업·창업을 희망하는 이유는 생활비·용돈을 벌려고(70.8%), 자기 계발·자아 발전을 위해(19.5%) 등이 있었다.
이들 가운데 72.4% 전일제 임금근로자를 희망했다.
21.0%는 시간제 임금근로자를, 5.9%는 자영업자가 되기를 원했다.
여성(31.2%)이 남성(8.7%)보다 시간제 희망자 비율이 높았다는 점이 특이점이었다.
1년 이내 임금근로 취업 희망자의 취업 시 주요 고려 사항은 근무여건(27.9%), 수입·임금수준(26.0%), 자신의 적성 및 전공(24.8%) 등으로 나타났다.
희망 월평균 임금은 200만∼300만원(40.7%), 100만∼200만원(35.7%), 300만원 이상(13.3%) 순이었다.
1년 이내 창업 희망자의 주요 고려사항은 수입(48.1%), 자신의 적성 및 전공(25.0%), 이전 일과의 연관성(15.0%) 순이었다.
창업 희망 사유는 연령에 구애받지 않아서(25.1%), 하고 싶은 업종이 있어서(25.0%), 시간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싶어서(23.5%)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업자(구직활동 중)와 비경활인구를 합한 비취업자 1천718만8천명 중 시간제 근로를 희망하는 이의 비중은 지난 8월 12.3%로 1년 전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시간제 희망자 중 전일제 일자리가 있어도 시간제를 희망하는 이의 비율은 50.0%로 1년 전보다 8.6%포인트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일자리가 부족해 비자발적으로 시간제 근로를 했던 과거와 달라진 흐름"이라며 "제도 변화로 고용시장이 유연해지는 동시에 경력단절 여성 등 관련 일자리 수요가 증가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