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투운동` 때 여성실종 급증했다"…상관관계 있을까
국내에서 미투(#Metoo)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될 무렵 여성들이 실종 비율이 많이 늘어났으며, 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외국 전문가가 주장했다.

영국 범죄학자 앤서니 해거티는 26일 대검찰청 주관으로 인천 중구 파라다이스시티 호텔에서 열린 `먀약범죄 피해방지를 위한 열린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이렇게 밝혔다.

해거티는 한국 경찰청 자료를 인용해 2007~2018년 만 18~30세 실종여성 현황을 제시하며 미투 운동이 국내에서 퍼지던 2018년 실종자가 294명으로 급증했다고 했다. 2017년에는 195명, 2016년은 118명이었다.

같은 기간 만 31~50세 실종여성 현황을 보면 2018년에 237명이었다. 2017년에는 135명, 2016년에는 112명이었다.

해거티는 "미투 운동의 의도치 않은 결과를 (통계치에서) 볼 수 있다"며 "특히 클럽에 갈 만한 여성들의 나이대인 만 18~30세의 여성들이 많이 실종돼 대부분 돌아오지 못했다"고 말했다.

즉 미투 운동으로 범죄가 밝혀질 것을 우려한 가해자들이 최음제의 일종인 이른바 `물뽕`으로 불리는 GHB로 완전 범죄를 계획하면서 피해 여성의 실종 및 사망으로까지 이어졌을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다.

해거티는 "GHB를 술에 타는 비율에 따라 안전한 양과 치사량은 종이 한 장 차이가 된다"며 "술에 탔을 때 비율 조절이 어려운데 마시는 사람의 신체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투 운동과 여성 실종의 관련성은 추정만 할 수 있을 뿐"이라며 "미투 운동만이 설명할 수 있는데 성폭행범의 행동 패턴과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버닝썬 사건`을 언급하며 "가장 두려워할 것은 대중이 마약과 성폭력 문제에 충격을 받지 않고 익숙해지는 것"이라며 "(이런 문제가) 묻혀있는 동안 마약과 성범죄 수치는 올라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매년 더 많은 수준의 예산이 쓰이고 있다"며 "우리 사회에 암과 같은 존재이기 때문에 치료하지 않으면 계속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해거티는 미투 운동에 대해서도 "더 많은 여성과 아동을 피해자가 될 수 있도록 몰고 있다"며 "의도는 좋지만 실패하고 있다"고 쓴소리를 했다.

해거티는 "성범죄를 관리하는 경찰이 성폭력에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해결책을 한정된 기관이나 비정부기구(NGO) 내에서 찾으려고 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해거티에 이어 `드럭 어딕션`의 저자 남경애 약사, 조성남 국립법무병원장, 최혁재 대한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 총무이사 등은 마약의 위험성과 치료, 남용 등에 대해 발표했다.

김주리기자 yuffie5@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