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쪽짜리 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논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실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국제세미나를 국토교통부가 서울에서 처음 열렸습니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몽골, 러시아는 차관급이 정부 대표로 참석했지만, 일본, 미국, 북한은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아 반쪽짜리 세미나가 됐습니다.
보도에 조현석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남·북한과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등 동북아 6개국과 미국이 참여하는 협의체로, 철도를 중심으로 인프라 투자와 경제협력 사업을 추진해 평화·번영을 이루자는 구상입니다.
1주년을 기념해 이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국제세미나가 서울에서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인터뷰> 김상균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동아시아철도공동체 추진을 위한 첫 국제세미나로서 참여대상국의 각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세미나에서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 실현 로드맵이 제시됐습니다.
내년까지 참여국 정부 차원의 양자·다자 협의체를 구성하고, 2022년 시범운송사업 등을 추진한 뒤 2023년 말까지 국제기구를 출범시키자는 겁니다.
또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4개 철도노선도 제시됐습니다.
서울∼평양∼선양∼울란바트로∼울란우데, 서울∼평양∼선양∼하얼빈∼치타, 서울∼원산∼나진∼하산∼하바롭스크, 부산∼강릉∼원산∼나진∼히바롭스크 노선이다.
하지만 앞날이 순탄치는 않아 보입니다.
구체적 실현 방안을 논의하는 첫 세미나부터 북한, 미국, 일본 등 핵심 당사국이 불참하면서 반쪽짜리 자리가 됐습니다.
일정 등을 불참 이유로 댔지만, 미중 무역전쟁, 한일 갈등, 남북, 북미관계 경색 등 악화일로인 한반도와 동아시아 정세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철도공동체 사업의 핵심인 남북 철도연결과 북한의 철도시설 현대화 등은 북미 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진 뒤 몇달째 진전이 없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김헌정 국토부 철도정책과장
"중국 러시아 몽골보다도 북한이 더 큰 관심을 갖고 있을 것으로 저희는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힘들지만 그런(물밑협상) 노력들을 러시아 중국들과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첫 국제논의가 1년만에 서울에서 처음 시작됐지만 출발부터 삐걱거리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조현석입니다.
조현석기자 hscho@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실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국제세미나를 국토교통부가 서울에서 처음 열렸습니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몽골, 러시아는 차관급이 정부 대표로 참석했지만, 일본, 미국, 북한은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아 반쪽짜리 세미나가 됐습니다.
보도에 조현석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남·북한과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등 동북아 6개국과 미국이 참여하는 협의체로, 철도를 중심으로 인프라 투자와 경제협력 사업을 추진해 평화·번영을 이루자는 구상입니다.
1주년을 기념해 이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국제세미나가 서울에서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인터뷰> 김상균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동아시아철도공동체 추진을 위한 첫 국제세미나로서 참여대상국의 각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세미나에서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 실현 로드맵이 제시됐습니다.
내년까지 참여국 정부 차원의 양자·다자 협의체를 구성하고, 2022년 시범운송사업 등을 추진한 뒤 2023년 말까지 국제기구를 출범시키자는 겁니다.
또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4개 철도노선도 제시됐습니다.
서울∼평양∼선양∼울란바트로∼울란우데, 서울∼평양∼선양∼하얼빈∼치타, 서울∼원산∼나진∼하산∼하바롭스크, 부산∼강릉∼원산∼나진∼히바롭스크 노선이다.
하지만 앞날이 순탄치는 않아 보입니다.
구체적 실현 방안을 논의하는 첫 세미나부터 북한, 미국, 일본 등 핵심 당사국이 불참하면서 반쪽짜리 자리가 됐습니다.
일정 등을 불참 이유로 댔지만, 미중 무역전쟁, 한일 갈등, 남북, 북미관계 경색 등 악화일로인 한반도와 동아시아 정세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철도공동체 사업의 핵심인 남북 철도연결과 북한의 철도시설 현대화 등은 북미 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진 뒤 몇달째 진전이 없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김헌정 국토부 철도정책과장
"중국 러시아 몽골보다도 북한이 더 큰 관심을 갖고 있을 것으로 저희는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힘들지만 그런(물밑협상) 노력들을 러시아 중국들과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첫 국제논의가 1년만에 서울에서 처음 시작됐지만 출발부터 삐걱거리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조현석입니다.
조현석기자 hscho@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