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조총련계로 여겨지는 '조선적' 동포 중 일본 또는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례가 급증한 결과로 동포 사회는 추정했다.
1일 일본 법무성이 내놓은 재일외국인통계에 따르면 2018년 12월 기준 '조선적'은 2만9천559명으로 3년 전인 2015년 12월보다 11.5%(4천380명) 감소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15년 대북제재의 일환으로 '조선적' 통계를 처음 발표했다.
이전에는 한국 국적자와 구분 없이 하나로 묶어 수치를 내놨다.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관계자는 조선적 감소에 대해 "조선적 동포들은 그동안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소속이거나 사상적으로 가까운 이들이 많아 일본 사회에서 살아가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며 "최근에는 남북 화해 무드 등으로 사상대립이 유연해지면서 일본으로 귀화하거나 한국 국적을 취득하는 사례가 많아졌다"고 전했다.
이구홍 해외교포문제연구소 이사장은 "조선적 동포가 전부 총련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며 남북 구분 없이 하나의 국적을 지지한다는 신념으로 버텨온 동포도 일부 있다"면서도 "(조선적 동포의) 귀화나 한국 국적 취득은 시대를 역행할 수 없는 흐름이며 앞으로 감소세는 가팔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 법무성은 '조선적'을 무국적에 포함한다.
일본은 2차 세계대전 패망 후 일본에 남은 한국인들에 대해 1947년 일본강점기 때 부여했던 일본 국적을 박탈했고, 행정 편의를 위해 식민지 시대 이전의 국호인 '조선'을 따와 조선적으로 칭했다.
이후 남한에 한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1950년부터 대한민국 국적으로 변경이 가능해졌고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를 계기로 대한민국 국적자가 늘어났다.
1970년부터는 한국 국적자가 재일동포의 절반을 넘어섰고 이후 조선적 보유자는 조금씩 줄어왔다.
일본과 북한은 수교를 맺지 않아 일본 내 북한 국적의 재일동포는 없는 상황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