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지난해 전 세계 600여개 항만, 1천500여개 컨테이너 터미널의 선석 생산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시간당 89.6회로 5위에 그쳤다.
2017년에는 시간당 89.8회로 세계 3위였다.
KMI는 지난해 세계 컨테이너 항만들의 생산성은 전반적으로 상승했지만, 우리나라는 후퇴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세계 컨테이너항만의 선석 생산성을 권역별로 보면 동북아시아가 시간당 평균 85.5회로 비교 대상 8개 권역 가운데 가장 높았다.
동남아시아 69.2회, 북미 동안 58.3회, 북미 서안 52.1회였고 라틴아메리카는 51.3회로 가장 낮았다.
국가별로는 2017년에 이어 2018년에도 아랍에미리트가 시간당 118.5회로 세계 1위를 기록했고, 오만(107.6회), 사우디아라비아(98.9회), 중국(92.5)이 뒤를 이었다.
중국은 2015년 2위를 기록한 이후 국가 순위가 하락해 정체 상태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최대 무역항인 부산항은 2018년 선석 생산성이 시간당 93.6회로 2017년보다 1.6% 증가했지만, 세계 순위는 2017년과 동일한 10위를 유지했다.
1위인 사우디아라비아 킹압둘라항(154회), 2위 아랍에미리트 제벨알리항(126.3회), 3위 중국 상하이항(117.7회) 등과는 격차가 크다.
부산항 터미널들의 지난해 생산성은 신항 3부두(HJNC)를 제외하고는 2017년보다 하락했거나 정체했다.
신항 1부두(PNIT)의 지난해 선석 생산성은 시간당 107.2회로 국내에서 가장 높았지만, 2017년보다 4.2% 감소했다.
세계 순위도 8위에서 12위로 하락했다.
신항 2부두(PNC)도 지난해 생산성이 2017년보다 20.3% 감소한 78.0회에 그쳐 세계 순위가 19위에서 47위로 떨어졌다.
신항 3부두(HJNC)는 지난해 106.0회로 2017년보다 10.9% 증가해 순위를 24위에서 14위로 끌어올렸다.
8천TEU급(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이상 초대형 선박을 대상으로 한 선석 생산성에서 부산항은 시간당 116.7회로 2017년보다 6.1% 증가했지만, 세계 순위는 10위로 동일했다.
1위는 사우디아라비아 킹압둘라항(154.0회)이었고, 말레이시아 탄중팔레파스항, 중국 양산항과 샤먼항, 칭다오항 등이 부산항을 앞섰다.
해양수산개발원은 부산항 터미널들의 선석 생산성이 정체 내지 감소한 것은 시설이 지속적인 물동량 증가를 따라가지 못해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했다.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는 장치 공간의 부족으로 인한 하역능력 저하로 이어지고, 이는 선석 생산성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부산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감한 투자와 시설 확충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해양수산개발원은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