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81% "통일후 南·北 학생 한 교실서 수업 힘들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언어·교육과정 차이로 의해 부족
"통일 대비 국어교육 필요" 지적
"통일 대비 국어교육 필요" 지적
전국 초·중·고 교사 10명 중 8명은 통일 후 언어 차이로 인해 남북한 학생을 한 교실에서 가르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필요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충분한 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봤다.
교육출판 전문기업인 미래엔과 한국경제신문이 전국 초·중·고 교사 161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1.4%(1315명)는 “통일 후 남북 학생이 함께 생활하는 교실에서 언어 차이로 인해 학생들 사이의 이해가 부족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답했다. 84.1%(1358명)는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전체 응답자의 82.3%(1329명)는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정작 학교 현장에선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78.4%(1265명)는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현장에서 충분히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49.1%), ‘전혀 그렇지 않다’(29.3%)고 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한 초등학교 교사는 “언어 차이로 인해 학생들 사이에 편가르기가 생기면 교실 붕괴로 이어지기 때문에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68.8%(1110명)의 교사들은 남북 학생의 언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교육으로 ‘정서적·문화적 차이 극복’을 꼽았다. ‘문법 및 어휘 일원화’(23.9%)와 ‘교육 과정 및 난이도 조절’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그나마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는 통일 대비 국어 교육으로 교사들은 ‘어휘 차이’(42.3%)라고 답했다.
신헌재 통일국어교육연구회장(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명예교수)은 “교과서에 전래동요나 동화 등 한민족 정통성을 갖는 소재와 세계 보편적 가치를 많이 담아 남북 학생들 사이의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교육출판 전문기업인 미래엔과 한국경제신문이 전국 초·중·고 교사 161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1.4%(1315명)는 “통일 후 남북 학생이 함께 생활하는 교실에서 언어 차이로 인해 학생들 사이의 이해가 부족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답했다. 84.1%(1358명)는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전체 응답자의 82.3%(1329명)는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정작 학교 현장에선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78.4%(1265명)는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현장에서 충분히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49.1%), ‘전혀 그렇지 않다’(29.3%)고 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한 초등학교 교사는 “언어 차이로 인해 학생들 사이에 편가르기가 생기면 교실 붕괴로 이어지기 때문에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68.8%(1110명)의 교사들은 남북 학생의 언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교육으로 ‘정서적·문화적 차이 극복’을 꼽았다. ‘문법 및 어휘 일원화’(23.9%)와 ‘교육 과정 및 난이도 조절’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그나마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는 통일 대비 국어 교육으로 교사들은 ‘어휘 차이’(42.3%)라고 답했다.
신헌재 통일국어교육연구회장(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명예교수)은 “교과서에 전래동요나 동화 등 한민족 정통성을 갖는 소재와 세계 보편적 가치를 많이 담아 남북 학생들 사이의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