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중·고 교사 10명 중 8명은 통일 후 언어 차이로 인해 남북한 학생을 한 교실에서 가르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필요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충분한 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봤다.

교사 81% "통일후 南·北 학생 한 교실서 수업 힘들 것"
교육출판 전문기업인 미래엔과 한국경제신문이 전국 초·중·고 교사 161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1.4%(1315명)는 “통일 후 남북 학생이 함께 생활하는 교실에서 언어 차이로 인해 학생들 사이의 이해가 부족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답했다. 84.1%(1358명)는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전체 응답자의 82.3%(1329명)는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정작 학교 현장에선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78.4%(1265명)는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이 현장에서 충분히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49.1%), ‘전혀 그렇지 않다’(29.3%)고 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한 초등학교 교사는 “언어 차이로 인해 학생들 사이에 편가르기가 생기면 교실 붕괴로 이어지기 때문에 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68.8%(1110명)의 교사들은 남북 학생의 언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교육으로 ‘정서적·문화적 차이 극복’을 꼽았다. ‘문법 및 어휘 일원화’(23.9%)와 ‘교육 과정 및 난이도 조절’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그나마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는 통일 대비 국어 교육으로 교사들은 ‘어휘 차이’(42.3%)라고 답했다.

신헌재 통일국어교육연구회장(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명예교수)은 “교과서에 전래동요나 동화 등 한민족 정통성을 갖는 소재와 세계 보편적 가치를 많이 담아 남북 학생들 사이의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