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 감소폭, 톱10 국가 중 '최악'
올 들어 한국의 수출 감소세가 수출 상위 10개국 중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경기 둔화의 충격을 가장 크게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21일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10대 수출국 중 올해 1~4월 수출액이 작년 대비 늘어난 나라는 ‘G2’인 미국과 중국뿐이었다. 나머지 8개국은 수출이 모두 감소했다.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1~4월 수출액은 7445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2% 늘었다. 2위 미국의 수출액은 0.5% 증가한 5436억달러였다.

상위 10개국 중 수출 감소세가 가장 큰 곳은 수출 규모 7위인 한국이었다. 1815억달러에 그쳐 1년 전보다 6.9% 줄었다. 세계 3위 수출국 독일이 6.4% 감소로 그 뒤를 이었다. 4위였던 일본도 5.6% 감소세를 보이며 네덜란드에 밀려 5위로 내려갔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의 라지브 비스와스 이코노미스트는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이 미·중 분쟁으로 역풍을 맞은 상태에서 한·일 간 긴장까지 고조돼 수출 전망이 더 어두워졌다”고 평가했다.

韓, 무역분쟁 직격탄…2%대 성장도 '흔들'

한국의 수출 부진이 심상치 않다. 올 2분기 또는 3분기부터 회복세로 전환할 것이라던 당초 예상과 달리 감소폭이 오히려 커지고 있어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42%(작년 기준)에 달하는 수출은 경제 성장의 엔진이다. 하반기 ‘한·일 경제갈등’이란 돌출 변수로 수출 회복 전망은 더 어두워졌다. 한국은행이 최근 제시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2.2%) 달성도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상위 10개국 중 꼴찌’ 성적표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한국의 올 1~4월 수출액은 1815억달러에 그쳤다. 작년 같은 기간(1949억달러)보다 6.9% 감소한 수치다. 다음으로 감소폭이 큰 나라는 독일(-6.4%) 일본(-5.6%) 이탈리아(-5.2%) 홍콩(-3.9%) 영국(-2.4%) 등이었다. 일본의 수출 규모는 작년 4위에서 올해 5위로 밀렸다. 네덜란드가 상대적으로 선방하면서 ‘수출국 4위’에 올랐다.

한국 수출이 줄어든 원인으로는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영향이 지목됐다. 대외 비중이 높은 한국이 세계 교역 축소의 유탄을 가장 많이 맞았다는 분석이다. 수출 구조가 반도체 등 특정 품목에 편중돼 있는 데다 노동비용 상승으로 가격 경쟁력이 약해진 것도 약점으로 꼽혔다.

시장조사기관인 IHS마킷의 라지브 비스와스 아시아태평양지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수출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의 주된 성장 엔진인데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이 악영향을 주고 있다”며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와 WTO 등 무역 자유화를 위한 수십 년간의 노력이 무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역분쟁 속에서도 미국과 중국의 올해 수출액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의 1~4월 수출액은 7445억달러, 미국은 5436억달러로 각각 0.2%, 0.5% 증가했다. 미·중이 전략적으로 제3국 수출을 확대했기 때문이란 게 무역업계 설명이다.

‘3분기 회복 전망’ 접은 정부

한국의 수출 감소폭은 상반기 전체로 확대하면 훨씬 크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6월 수출액은 2716억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8.5% 줄었다. 무역수지는 196억달러로, 작년 상반기(311억달러) 대비 37.0% 감소했다.

이달 1~10일 수출 역시 작년 동기보다 2.6% 감소한 136억달러에 그쳤다. 조업일수를 감안한 하루평균 수출액으로는 14.0% 줄어든 수치다. 이달 말까지 감소세를 지속하면 2015년 1월부터 1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최장 기간이다. 일본이 다음달부터 한국을 수출 우대국(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할 방침이어서 하반기 수출 전망은 더욱 어둡다. 정부 관계자는 “반도체와 석유화학 등 주력 품목의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는 데다 일본과의 분쟁 등 돌출 변수도 생겼다”며 “올해 6000억달러를 넘겠다는 목표를 접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수출 부진이 올해 성장률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작년 경제성장률은 2.7%였는데, 이 중 수출 기여도는 1.7%포인트(약 63%)였다. 국내 성장률의 절반 이상을 수출이 차지했다는 얘기다.

올 1분기 성장률이 -0.4%(전 분기 대비)에 그친 상황에서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2분기 성장률 속보치를 내놓는다. 앞서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5%에서 2.2%로 하향 조정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