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진주박물관, 특별전 유물 보존처리 과정서 확인
조선시대 시한폭탄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뚜껑 실물이 처음으로 나왔다.

국립진주박물관은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호남문화재연구원이 지난해 전북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사적 제346호)에서 발굴한 비격진천뢰를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뚜껑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비격진천뢰 뚜껑은 포탄 안에 들어가는 목곡(木谷·골을 판 막대기), 쇳조각, 화약 등 부속품이 낙하지점까지 가는 동안 빠져나가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뚜껑은 직사각형이며, 위쪽 입구로 넣은 뒤 돌려서 고정하도록 했다.

중앙부에 손잡이 같은 꼭지가 있고, 양옆에 심지 구멍 두 개가 있다.

허일권 진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불발 확률을 낮추기 위해서 심지를 두 개 두었을 것"이라며 "조선시대 화포인 완구(碗口)에도 심지 구멍이 두 개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 내부까지 조사하지는 않았는데, 화약이 들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박물관은 무장읍성에서 수습한 비격진천뢰를 컴퓨터 단층촬영(CT)과 감마선 투과 장비로 분석해 내부에서 많은 기공을 확인했다.

아울러 본체는 주조 기법으로 만들고, 뚜껑은 단조 기법으로 제작했다는 사실도 찾아냈다.

허 연구사는 "본체는 잘 깨지도록 주조 기법을 택했고, 상대적으로 얇은 뚜껑은 단조 기법을 통해 질기고 강하게 만들었다"며 "뚜껑이 먼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가 쪼개지면서 쇳조각이 사방으로 흩어지는 효과를 노린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나온 비격진천뢰는 무장읍성 출토품 11점과 보물 제860호로 지정된 '비격진천뢰'를 포함한 기존 유물 5점 등 16점이 있다.

문헌에 따르면 비격진천뢰는 별대, 대, 중으로 나뉘는데, 현존 유물은 모두 중비격진천뢰에 해당한다.

진주박물관은 16일 개막하는 특별전 '비격진천뢰'에서 비격진천뢰 실물을 전시하고, 관련 영상을 선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