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이틀간의 이번 행사에서 500억 달러(약 58조1천7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비롯한 '경제 우선'의 중동평화안을 설명하고 관련국의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그러나 정작 이번 워크숍에 중동 분쟁 당사자인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측은 참석하지 않기로 해 실효를 거둘지는 불분명하다.
25일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바레인 수도 마나마에서는 이날(이하 현지시간)부터 이틀간 쿠슈너 선임보좌관 주재로 중동평화 문제를 논의할 국제회의가 열린다.
미국은 동맹이자 미 해군 5함대의 근거지인 바레인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에서 '번영을 향한 평화'(Peace to prosperity)로 명명한 트럼프 행정부의 중동평화 청사진을 제시할 예정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마련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 방안의 청사진은 '경제 우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경제 개발을 통해 분쟁을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향후 10년간 500억 달러(약 58조1천75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 팔레스타인의 국내총생산(GDP)을 배로 늘리고 100만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하는 한편, 실업률과 빈곤율을 획기적으로 줄인다는 것이 이 구상의 핵심이다.
총 투자 유치액 가운데 절반이 넘는 280억 달러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점령지에, 75억 달러는 요르단, 90억 달러는 이집트, 60억 달러는 레바논에 배정한다.
미국이 제시한 179개의 인프라 건설 사업 중에는 예루살렘이 있는 요르단강 서안지구와 팔레스타인 남서부 가자 지구를 연결하는 50억 달러(약 5조8천억원) 규모의 교통 회랑 계획도 들어 있다.
이런 미국의 구상에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 부국들이 얼마나 관심을 보이고 투자 약속을 할지 주목된다.
쿠슈너는 앞서 로이터 통신에 "그들이 이 구상을 '세기의 거래'라고 비판할 때 나는 웃는다"라며 "그들이 이 구상을 밀고 나갈 용기가 있다면 세기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중동평화 구상의 성패는 분쟁 당사자인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의지에 달려있다.
그러나 예루살렘의 국제적 지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국경 문제, 이스라엘의 안보 우려, 팔레스타인의 국가 인정 요구와 같은 복잡다단한 문제에 대한 정치적 해결이 우선시되어야만 평화구상이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은 미국도 인정한 부분이다.
따라서 경제 개발을 통해 중동 분쟁을 해결한다는 미국의 구상은 실현 가능성이 작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더욱이 중동 분쟁 당사자인 팔레스타인은 일찌감치 행사 자체를 보이콧했고, 다시 총선을 치르기로 한 이스라엘도 개막식에 불참한다고 통신은 전했다.
팔레스타인은 미국의 구상이 이스라엘의 영토 점령을 받아들이도록 하려는 '매수 전략'이라고 비판해왔다.
그뿐만 아니라 레바논과 이라크 등도 회의에 불참하기로 했다.
회의를 앞둔 쿠슈너는 알자지라 방송과 한 인터뷰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합의는 '아랍평화안'(Arab Peace Initiative)과 유사한 방식으로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만약 합의가 이뤄진다면 그것은 아랍평화안과 유사한 방식이 아니라 아랍평화안과 이스라엘의 입장 사이 어딘가에서 이뤄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아랍평화안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처음 제안한 아랍권-이스라엘 분쟁 종식 안으로, 동예루살렘을 비롯한 점령지에서 이스라엘의 전면적인 철군을 조건으로 한 양측간 관계 정상화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익명을 요구한 걸프 지역의 한 고위 외교관리는 이번 회의가 이란에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미국에 대한 연대의 성격으로도 비치기를 걸프 지역 아랍권 국가들이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