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文대통령 김원봉 발언 이념갈등` 지적에 "논리적 비약‥통합 취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청와대 제공): 6일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자료)>
청와대는 오늘(7일)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약산 김원봉 선생` 발언 관련 야당의 비판에 대해 "논리적 비약"이라고 일축했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의 김원봉 선생 발언으로 이념 논쟁 촉발했다는 지적`에 대해 "어제 현충일 추념사의 기본적인 핵심적인 메시지는 `애국 앞에서 보수 진보 없다. 정파와 이념을 뛰어넘어서 통합으로 가자`라는 취지이고, 그 취지에 대한 역사적인 사례로 말씀하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임시정부도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어서 구성을 했고, 「백범일지」에 보더라도 김구 선생께서 임시정부에 모두 함께하는 대동단결을 주창한 바가 있다"며 "여기에 김원봉 선생이 호응한 것으로 「백범일지」에 나와 있고, 이 점을 위해 통합을 통해서 임시정부가 구성된 점, 그리고 임시정부가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어서 통합할 것을 위해서 주창하고 노력한 점 등을 강조하는 취지로 말씀하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북한의 6.25전쟁 공로자한테, 이른바 전쟁 가해자한테 대통령이 헌사하고 떠받들었다는 비판에 대한 입장과 현충일에 김원봉 선생을 언급한 배경`을 묻자 "대통령 메시지의 핵심은 애국 앞에서 보수와 진보 없다. 그리고 상식 안에서 애국을 생각하면 통합으로 갈 수 있다는 취지"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김원봉 선생에 대한 역사적인 평가는 역사학계에서 해야 될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다만, 그 메시지의 취지와 맥락으로 보면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자는 것이고, 그렇다고 한다면 독립 과정에 있었던 김원봉 선생의 역할에 대해서 어떤 사례로서, 통합의 사례로서 얘기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어제도 일부 주장에 논리적이 비약이 있었지만 그것이 마치 약산 김원봉 선생이 국군의 뿌리, 혹은 한미동맹의 토대인 것처럼 하는 것은 그 자체가 논리적 비약"이라며 "실제 맥락으로 보더라도 통합된 광복군이 국군 창설의 뿌리이고 한미동맹의 토대가 된다고 분명하게 언급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김원봉 선생의 서훈 추진 의혹`에 대해 "서훈과 연결 짓는 것은 좀 비약이 있다"며 "서훈은 별개의 절차와 기준이 있다"고 발언했습니다.
이어 "그 절차와 기준에 따라서 정하면 될 일이고, 대통령께서 언급하셨다고 또는 여론에 따라서 정할 사안은 아니"라며 "어제 대통령의 말씀의 취지와 서훈 문제는 별개라는 점을 분명하게 밝힌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약산 김원봉>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6일) `제64회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임시정부는 1941년 12월 10일 광복군을 앞세워 일제와의 전면전을 선포했다"며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되어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그 힘으로 1943년, 영국군과 함께 인도-버마 전선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웠고, 1945년에는 미국전략정보국(OSS)과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던 중 광복을 맞았다"며 "김구 선생은 광복군의 국내 진공작전이 이뤄지기 전에 일제가 항복한 것을 두고두고 아쉬워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그러나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되었다"고 발언했습니다.
약산 김원봉 선생은 1919년 의열단을 조직해 무정부주의 투쟁을 전개하다 1942년 광복군 부사령관에 취임했고,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위원 및 군무부장을 지냈으며 1948년 월북해 6·25 전쟁에서 세운 공훈으로 북한의 훈장을 받고 북한의 노동상까지 역임했습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야당들은 `문 대통령이 현충일에 김원봉 발언으로 이념 갈등을 부추겼다"며 거세게 비판하고 있습니다.
권영훈기자 yhkwon@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청와대는 오늘(7일)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약산 김원봉 선생` 발언 관련 야당의 비판에 대해 "논리적 비약"이라고 일축했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의 김원봉 선생 발언으로 이념 논쟁 촉발했다는 지적`에 대해 "어제 현충일 추념사의 기본적인 핵심적인 메시지는 `애국 앞에서 보수 진보 없다. 정파와 이념을 뛰어넘어서 통합으로 가자`라는 취지이고, 그 취지에 대한 역사적인 사례로 말씀하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임시정부도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어서 구성을 했고, 「백범일지」에 보더라도 김구 선생께서 임시정부에 모두 함께하는 대동단결을 주창한 바가 있다"며 "여기에 김원봉 선생이 호응한 것으로 「백범일지」에 나와 있고, 이 점을 위해 통합을 통해서 임시정부가 구성된 점, 그리고 임시정부가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어서 통합할 것을 위해서 주창하고 노력한 점 등을 강조하는 취지로 말씀하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북한의 6.25전쟁 공로자한테, 이른바 전쟁 가해자한테 대통령이 헌사하고 떠받들었다는 비판에 대한 입장과 현충일에 김원봉 선생을 언급한 배경`을 묻자 "대통령 메시지의 핵심은 애국 앞에서 보수와 진보 없다. 그리고 상식 안에서 애국을 생각하면 통합으로 갈 수 있다는 취지"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김원봉 선생에 대한 역사적인 평가는 역사학계에서 해야 될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다만, 그 메시지의 취지와 맥락으로 보면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자는 것이고, 그렇다고 한다면 독립 과정에 있었던 김원봉 선생의 역할에 대해서 어떤 사례로서, 통합의 사례로서 얘기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어제도 일부 주장에 논리적이 비약이 있었지만 그것이 마치 약산 김원봉 선생이 국군의 뿌리, 혹은 한미동맹의 토대인 것처럼 하는 것은 그 자체가 논리적 비약"이라며 "실제 맥락으로 보더라도 통합된 광복군이 국군 창설의 뿌리이고 한미동맹의 토대가 된다고 분명하게 언급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김원봉 선생의 서훈 추진 의혹`에 대해 "서훈과 연결 짓는 것은 좀 비약이 있다"며 "서훈은 별개의 절차와 기준이 있다"고 발언했습니다.
이어 "그 절차와 기준에 따라서 정하면 될 일이고, 대통령께서 언급하셨다고 또는 여론에 따라서 정할 사안은 아니"라며 "어제 대통령의 말씀의 취지와 서훈 문제는 별개라는 점을 분명하게 밝힌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약산 김원봉>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6일) `제64회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임시정부는 1941년 12월 10일 광복군을 앞세워 일제와의 전면전을 선포했다"며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되어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그 힘으로 1943년, 영국군과 함께 인도-버마 전선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웠고, 1945년에는 미국전략정보국(OSS)과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던 중 광복을 맞았다"며 "김구 선생은 광복군의 국내 진공작전이 이뤄지기 전에 일제가 항복한 것을 두고두고 아쉬워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그러나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되었다"고 발언했습니다.
약산 김원봉 선생은 1919년 의열단을 조직해 무정부주의 투쟁을 전개하다 1942년 광복군 부사령관에 취임했고,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위원 및 군무부장을 지냈으며 1948년 월북해 6·25 전쟁에서 세운 공훈으로 북한의 훈장을 받고 북한의 노동상까지 역임했습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야당들은 `문 대통령이 현충일에 김원봉 발언으로 이념 갈등을 부추겼다"며 거세게 비판하고 있습니다.
권영훈기자 yhkwon@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