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과 중국의 패권싸움이 환율전쟁으로 번지면서 외환시장은 물론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것인지 여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미중 양국의 패권경쟁이 장기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먼저 조연 기자입니다.

<기자>

당초 현지시간 15일 공개될 것으로 예상됐던 미국 재무부의 환율보고서 발표가 늦춰졌습니다.

가장 주목을 끄는 건 과연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것인지 여부입니다.

환율조작국이란 자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가 인위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국가를 일컫습니다.

미 재무부는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200억 달러를 초과하거나 연간 연간 경상수지 흑자가 GDP의 3%를 넘길 경우, 그리고 외환시장내 달러화 매수 개입이 2% 이상일 경우 등을 기준으로 놓고 2개 항목에 해당되면 관찰대상국, 3개 항목에 모두 해당되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합니다.

그동안 중국은 관찰대상국으로 분류돼 왔는데,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 된 이후 위안화 가치가 9% 가까이 떨어지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지정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습니다.

최근 G20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한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도 "위안화가 올해 심각하게(significantly) 하락했다"며 "통화 이슈에 대해 중국과 무역회담 일환으로 논의 하고 싶다"고 밝혀, 결국 이 또한 무역전쟁의 연장선임을 내비쳤습니다.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미국은 중국 기업의 미국 조달시장 진입 금지, IMF를 통한 환율 압박, 무역협정 제한 등 본격적인 제재에 들어갑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실제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면서도, 만약 지정이 될 경우엔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전으로 돌입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위원

"주요 이머징 통화 대비 달러의 초강세 구도는 더 고착화 가능성 높은데, 이 경우 강달러 압력을 나눠서 짊어지게 하는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글로벌 경기 사이클, 증시 측면에서도 상당한 부담 요인으로 작용"

대중무역 규모가 상당한 한국 역시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경우 여파를 피하기 어려운 가운데, 정부는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한편, 지난주 상승세를 내달렸던 원·달러 환율은 미 환율보고서에 대한 경계감으로 하락 반전해 1,128.0원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

조연기자 ycho@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