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의 담판' 앞서 문 대통령 만나는 트럼프… '빅뱅 해법' 짜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괄타결 모색하는 트럼프, 김 위원장과 간극 좁힐 '묘수찾기' 주목
문 대통령, 트럼프에 제시할 '중재안' 주목…트럼프 전략에 큰 영향 오는 22일 백악관에서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세기의 담판'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있어 '비핵화 해법'을 최종적으로 가다듬는 중대 계기가 될 전망이다.
지난달 27일 판문점에서 김 위원장을 직접 대면해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큰 틀의 합의를 이뤄낸 문 대통령의 경험과 조언이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의미있는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으로부터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와 이행 태도를 직접 확인하면서 협상전략을 가다듬는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자신이 협상테이블 위에 올릴 '비장의 카드'가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가늠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김 위원장과의 첫 대면에서 확실한 '비핵화 로드맵'을 끌어내는게 당면한 목표다.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에 달성하겠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구상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완전한 비핵화' 약속을 받아내는 차원을 넘어 핵폐기 목표를 분명히 하고 그 이행경로와 단계별 실행계획을 '압축'한 청사진을 만들어내는데 주력할 것이라는게 외교가의 관측이다.
향후 1년 또는 2년 등 구체적인 시간표가 제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트럼프 대통령도 이미 "핵 폐기 날짜를 못 박는 게 목표"라고 분명히 했다.
이는 협상 초기에 속전속결식으로 일괄타결하는 이른바 '빅뱅 접근법'으로 불린다.
백악관 안보사령탑인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이 '리비아식 모델'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물론 핵 개발 초기였던 리비아와, 핵은 물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프로그램까지 '고도화'한 북한의 상황에 맞춰 '제3의 모델'도 검토하고 있지만, 선(先) 핵폐기, 후(後) 관계정상화 방식을 지켜나간다는게 트럼프 행정부 내부의 컨센서스다.
오히려 북한에 대해 '더 강한' 압박을 가해야 한다는 기류가 형성돼있다.
김 위원장에게 신속하게 핵무기 폐기를 촉구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어떠한 보장이나 제재 완화는 없다는 일관된 메시지를 보낸 것은 이 같은 리비아식 모델에 터잡고 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을 포함하는 비핵화 검증 완료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면 북한이 거절하기 어려운 '선물'을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종전선언, 평화체제 전환, 국교정상화 등 '통 큰 양보'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단계별로 비핵화 수순을 밝으면서 경제 발전을 위해 가장 절실한 제재 해제, 체제 보장 등을 시작으로 차근차근 반대급부를 챙겨나가는 동시적 접근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맞서 "이전 행정부의 실패를 답습하지 않겠다"고 배수진을 치며, 과거의 단계별 보상은 불가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달 말 또는 6월 초·중순으로 예상되는 북미정상회담에선 비핵화 프로세스를 둘러싸고 두 정상간 수싸움이 치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김 위원장과 사실상 '예비 비핵화 협상'을 진행한 문 대통령의 의견을 깊이 경청하고 조언을 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문 대통령은 일괄타결식 해법과 단계적 접근법을 충족시키는 '포괄적 합의, 단계적 이행' 개념의 중재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전략에 커다란 영향을 줄 가능성이 커보인다.
한반도의 운명을 가를 중차대한 회담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김 위원장과 '비핵화 빅딜'을 성사시킬 묘수를 발견해 낼지에 관심이 쏠린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이번 북미정상회담을 '이벤트' 성격으로 치르는 방안을 검토하다가 강경파 참모들의 의견을 반영해 실질적 비핵화라는 '성과'를 중시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미정상회담 날짜가 이달 중순에서 하순으로 늦춰지면서 북미정상회담 일정도 순연되고, 판문점 개최 가능성이 다시 유동적으로 흐르고 있는 것은 이와 맞물려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 트럼프에 제시할 '중재안' 주목…트럼프 전략에 큰 영향 오는 22일 백악관에서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세기의 담판'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있어 '비핵화 해법'을 최종적으로 가다듬는 중대 계기가 될 전망이다.
지난달 27일 판문점에서 김 위원장을 직접 대면해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큰 틀의 합의를 이뤄낸 문 대통령의 경험과 조언이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의미있는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으로부터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와 이행 태도를 직접 확인하면서 협상전략을 가다듬는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자신이 협상테이블 위에 올릴 '비장의 카드'가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가늠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김 위원장과의 첫 대면에서 확실한 '비핵화 로드맵'을 끌어내는게 당면한 목표다.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에 달성하겠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구상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완전한 비핵화' 약속을 받아내는 차원을 넘어 핵폐기 목표를 분명히 하고 그 이행경로와 단계별 실행계획을 '압축'한 청사진을 만들어내는데 주력할 것이라는게 외교가의 관측이다.
향후 1년 또는 2년 등 구체적인 시간표가 제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트럼프 대통령도 이미 "핵 폐기 날짜를 못 박는 게 목표"라고 분명히 했다.
이는 협상 초기에 속전속결식으로 일괄타결하는 이른바 '빅뱅 접근법'으로 불린다.
백악관 안보사령탑인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이 '리비아식 모델'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물론 핵 개발 초기였던 리비아와, 핵은 물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프로그램까지 '고도화'한 북한의 상황에 맞춰 '제3의 모델'도 검토하고 있지만, 선(先) 핵폐기, 후(後) 관계정상화 방식을 지켜나간다는게 트럼프 행정부 내부의 컨센서스다.
오히려 북한에 대해 '더 강한' 압박을 가해야 한다는 기류가 형성돼있다.
김 위원장에게 신속하게 핵무기 폐기를 촉구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어떠한 보장이나 제재 완화는 없다는 일관된 메시지를 보낸 것은 이 같은 리비아식 모델에 터잡고 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을 포함하는 비핵화 검증 완료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면 북한이 거절하기 어려운 '선물'을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종전선언, 평화체제 전환, 국교정상화 등 '통 큰 양보'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단계별로 비핵화 수순을 밝으면서 경제 발전을 위해 가장 절실한 제재 해제, 체제 보장 등을 시작으로 차근차근 반대급부를 챙겨나가는 동시적 접근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맞서 "이전 행정부의 실패를 답습하지 않겠다"고 배수진을 치며, 과거의 단계별 보상은 불가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달 말 또는 6월 초·중순으로 예상되는 북미정상회담에선 비핵화 프로세스를 둘러싸고 두 정상간 수싸움이 치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김 위원장과 사실상 '예비 비핵화 협상'을 진행한 문 대통령의 의견을 깊이 경청하고 조언을 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문 대통령은 일괄타결식 해법과 단계적 접근법을 충족시키는 '포괄적 합의, 단계적 이행' 개념의 중재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전략에 커다란 영향을 줄 가능성이 커보인다.
한반도의 운명을 가를 중차대한 회담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김 위원장과 '비핵화 빅딜'을 성사시킬 묘수를 발견해 낼지에 관심이 쏠린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이번 북미정상회담을 '이벤트' 성격으로 치르는 방안을 검토하다가 강경파 참모들의 의견을 반영해 실질적 비핵화라는 '성과'를 중시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미정상회담 날짜가 이달 중순에서 하순으로 늦춰지면서 북미정상회담 일정도 순연되고, 판문점 개최 가능성이 다시 유동적으로 흐르고 있는 것은 이와 맞물려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