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도는 정부가 주도한 산학협력이 아니다. 기업이 돈을 대고, 대학은 연구성과를 이전하는 일회성 산학협력과도 차원이 다르다. 공동연구 분야가 응용·개발이 아니라 10~20년 뒤를 생각하는 차세대 기초·원천기술이라는 것도 눈길을 끈다. 삼성이 공대가 아니라 자연과학대를 협력 파트너로 선택한 건 더 이상 단기 성과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뜻일 것이다. 한마디로 한국의 산학협력을 한 차원 끌어올렸다.
선진국 기업의 눈부신 혁신성과와 세계적인 연구중심 대학 뒤에는 기업과 대학이 ‘윈-윈’하는 산학협력이 있다. 첨단 기술기업이 넘쳐나는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스탠퍼드대를 따로 떼어 설명할 수 없는 이유다. 이번 모델이 성공하면 기업의 혁신 경쟁력과 대학의 연구 경쟁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한국에서 ‘퍼스트 무버’가 나오지 말란 법도 없다.
정부에 던지는 메시지도 있다. 정부가 말하는 혁신성장은 선진국형 연구문화나 혁신시스템이 뒷받침될 때 가능하다. 기업이 이렇게 진화하는데 정부가 종래의 국책연구소 모델이나 산학협력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 어떻게 하면 기업과 대학 간 이런 협력모델이 중소벤처기업으로도 널리 확산될 수 있을지를 고민해 보기 바란다. 어쩌면 이 과정에서 대학 개혁의 돌파구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동시에 정부는 연구개발(R&D) 예산을 제대로 쓰고 있는지 되돌아봐야 한다. 정부가 모든 걸 다 하겠다는 것은 전략이 아니다. 삼성-서울대 협력에서 보듯 차세대 성장동력 연구는 더 이상 정부의 전유물이 아니다. 기초·원천연구는 모두 정부 몫이라는 사고도 낡은 것이다. 민간과의 전략적 협력이나 역할 분담 등을 고려한 정부 연구투자의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뒤따라야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