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전 169조원 투입한 공적자금… ⅓은 여태 미수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997년 'IMF 사태' 당시 부실 금융기관을 정리하려고 투입했던 공적자금의 ⅓이 여태껏 회수되지 않고 있다.
1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공적자금은 115조6천억원 회수됐다.
투입된 자금(168조7천억원) 대비 회수율은 68.5%다.
2016년 말 공적자금 회수율은 67.8%였다.
1년 동안 회수율은 0.7%포인트(p) 상승했다.
지난해 4분기 중에는 0.1%p 오르는 데 그쳤다.
블록세일(대량 분산매각) 방식의 한화생명 지분매각으로 1천591억원, 콜옵션(매수청구권) 행사 방식의 우리은행 지분매각으로 83억원을 회수했지만, 경남은행의 부실 여신으로 BNK금융지주와의 손해배상소송에서 패소해 634억원을 잃었다.
공적자금은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사태로 은행, 종합금융사, 증권사, 투자신탁사, 보험사 등이 대거 부실해지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해 1997년 11월 조성됐다. /연합뉴스
1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공적자금은 115조6천억원 회수됐다.
투입된 자금(168조7천억원) 대비 회수율은 68.5%다.
2016년 말 공적자금 회수율은 67.8%였다.
1년 동안 회수율은 0.7%포인트(p) 상승했다.
지난해 4분기 중에는 0.1%p 오르는 데 그쳤다.
블록세일(대량 분산매각) 방식의 한화생명 지분매각으로 1천591억원, 콜옵션(매수청구권) 행사 방식의 우리은행 지분매각으로 83억원을 회수했지만, 경남은행의 부실 여신으로 BNK금융지주와의 손해배상소송에서 패소해 634억원을 잃었다.
공적자금은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사태로 은행, 종합금융사, 증권사, 투자신탁사, 보험사 등이 대거 부실해지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해 1997년 11월 조성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