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위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 심의
장병규 위원장 "중기 근로환경 개선으로 양질의 청년 일자리 확대할 것"


정부가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2022년까지 전국에 2만 곳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 7만5천개를 창출한다.

스마트공장은 생산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에너지효율과 자동화 비율을 높인 지능형 공장을 뜻한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8일 광화문 KT빌딩에서 제5차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포함한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을 심의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공장의 스마트화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돕기로 했다.

2022년까지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으로 활용하는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을 5만명에게 실시하고,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개발과 운영설계 고도화를 위한 석·박사 교육과정을 확대키로 했다.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곳, 일자리 7만5000개 만든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확산을 현행 정부 주도에서 민간·지역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지원 모델을 바꾸기로 했다.

스마트공장의 민간과 정부 주도 구축 비율은 올해는 30% 대 70%이지만, 2022년까지 이를 50% 대 50%로 조정키로 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도 도입한다.

이럴 경우 재원 부담 비율은 정부가 30%, 대기업이 30%, 중소기업이 40%다.

또 지방자치단체-지방중소기업청-테크노파크(TP·지역별 산업기술단지) 등이 유관기관 협의체를 구성해 현장수요를 발굴하는 한편,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기업에 연구개발(R&D)과 자금 등 정책수단을 연계 지원키로 했다.

지역별로 스마트공장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6개 국가산업단지를 확산거점으로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정부는 아울러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센서·로봇·솔루션 등 요소기술 및 AI·VR 등 고도화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을 강화키로 했다.

업종별·지역별 시범공장을 올해 6개에서 2022년까지 50개로 늘리고 대표공장을 확대해 중소기업의 벤치마킹을 유도할 방침이다.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공장도 구축해 공동 활용키로 했다.

또 스마트공장을 이미 구축한 기업들을 위한 전용사업을 올해 142억 규모로 신설하는 등 고도화에 힘쓰기로 했다.

스마트공장 기술과 솔루션을 공급하는 기업 육성과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선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들이 '스마트공장 얼라이언스'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솔루션, 센서, 컨트롤러, 로봇 등 관련기업 30∼40개사를 선정해 선단형 해외진출, 공동 R&D, 표준화 등 공동 대응을 유도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구상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조주현 기술인재정책관은 "현재 구축된 스마트공장을 조사해보면 공장당 평균 2.2명씩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된다"며 "스마트공장에 투입되는 설비 등까지 고려하면 스마트공장 2만개를 만들 때 7만5천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업 1개당 5천만원을 잡으면 재원은 1조원 정도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들 사례를 바탕으로 민간 차원에서도 스마트공장 확산 노력이 자발적으로 생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스마트공장 확산을 통해 생산성 향상,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 등을 통해 청년이 찾아오는 양질의 일자리가 확대된다는 목표 하에 정책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향후 세부적인 과제들이 효과적으로 추진되도록 중기벤처부, 산자부, 과기정통부 등 관계 부처와 지원기관, 기업, 지자체 등의 유기적 협업을 촉진하는 '스마트공장 추진체계'가 중요하다"며 전략의 이행 상황을 TF와 위원회를 통해 주기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고용노동부 등이 준비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도 보고받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