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대입정책포럼서 학생·학부모·교사, 개선책 제안 잇따라
"팔방미인 요구는 학종 모순…세부능력·특기사항은 성적 우수자만 기재"
'학종전형' 개선요구 빗발… "합격사례 공개하고 객관성 높여라"
학생부종합전형이 '깜깜이 전형'이라는 불명예를 벗으려면 대학이 합격사례를 공개하고 학교생활기록부 기재·평가의 객관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입제도 개선안을 마련 중인 교육부는 8일 오후 4시 서울교대에서 제3차 대입정책포럼을 열었다.

포럼에 참석한 학생·학부모·교사들은 학종전형이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교생활을 유도하는 등 장점이 있지만 공정성 논란 등 한계점도 적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 참가자가 제시한 것이 바로 선발 기준이나 합격사례 공개다.

고2 자녀를 둔 강봉근 씨는 "(학종전형이) '금수저 전형'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객관적 지표를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교육부와 대학이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게끔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보의 접근성도 중요하므로 사교육 컨설턴트에게 의지하지 않게 교육청이 학부모들에게 학종전형 관련 정보를 전달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진해고 박재현 교사는 "대학이 합격·불합격 이유를 학교 측과 공유하는 경우는 극히 일부"라며 "대학이 적극적으로 평가 결과를 설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입시 당사자인 학생들도 비슷한 의견을 냈다.

학종전형을 통해 올해 교원대에 입학하는 대전 성모여고 박혜린 학생은 "대학이 공개하는 학종전형 서류평가 기준은 매우 추상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은 공개하지 않는다"며 "그래서 학생들은 모든 방면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올해 3학년이 되는 인천 도림고 오승진 학생도 "현재 대학들이 발표하는 이례적인 합격 정보가 아닌 일반 합격사례도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학종전형이 3년간 학생들의 스펙 관리를 부추기기 때문에 모집 비율을 조정하거나 보완책으로 대학별 고사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고2 자녀를 둔 박귀옥 씨는 "(중간·기말고사에서) 한 번의 실수가 학생부에 영향을 미치므로 1학년의 결과가 아이의 목표를 결정해버리는 것 같다"며 "학종전형과 정시전형의 비율을 적절하게 개선하고, 학교에서 다양한 학종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창영 휘문고 교사는 "학종전형은 준비된 학생만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전형이기 때문에 학교도 '전 영역이 우수한 학생 만들기'에 매진한다"며 "대학별 고사를 통해 (내신) 2.5등급 이하 학생들도 재평가받을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학생들은 학생부 신뢰도를 높일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혜린 학생은 "학기 말이 되면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일정 부분 학생부에 기재할 내용을 적어오라고 하거나 특정 등급 이내의 학생들에게 세특(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똑같이 기입해준다"며 "학생부 항목과 글자 수를 줄여 객관적 사실만 작성하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학종전형으로 5개 교대에 합격했다는 북평고 김세현 학생은 "세특은 공부 잘하는 학생만 적어주는 항목으로 변질되고 있다"며 "학교생활기록부의 진실성을 확보할 방안을 마련해야 학종전형이 바로 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교사들은 입학사정관제 개선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조진태 안산 강서고 교사는 "5%에 머무는 전임 사정관 수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고, 박재현 교사는 "5∼8월 계약직으로 뽑힌 입학사정관에게 9월부터 (학생) 선발을 맡기는 경우도 있다"며 입사관의 전문성 강화를 주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