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임기가 두 달밖에 남지 않았는데 아직 차기 총재 인선은 오리무중이다. 청와대가 학계와 한은 출신뿐 아니라 관료 출신 등을 대상으로 후보군을 물색하고 있지만 제대로 된 검증 작업은 손도 못 대고 있다는 후문이다. 세계 각국은 물론 한국도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의 불확실성으로 금융시장 불안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통화당국 수장의 공백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 총재의 임기 만료는 오는 3월 말이다. 대통령의 인사청문 요청부터 국회 인준까지 최장 30일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문재인 대통령은 늦어도 다음달 말까지 차기 총재를 지명해야 한다. 하지만 유력하게 거론되던 조윤제 전 KAIST 금융전문대학원 초빙교수가 주미 대사로 임명된 이후 뚜렷한 후보군 윤곽이 나오지 않고 있다.
임기 두 달 남았는데… 차기 한국은행 총재 '안갯속'
‘OB냐, 외부 출신이냐’

한은 내부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한은 내부 출신과 외부 출신이 번갈아 총재직을 맡은 전례에 비춰볼 때 차기 총재는 외부 인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가 많다”고 전했다. 외부 출신 인사로는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과 신현송 국제결제은행 조사국장이 국제금융 전문가로서 여전히 물망에 오르내린다. 다만 이 국장은 이명박 정부 때 공직(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맡은 경력이 걸림돌이라는 평이 많다. 신 국장도 이명박 정부 때 청와대 국제경제보좌관을 지냈다.

관료 출신으로는 노무현 정부 때 활동한 박봉흠 전 기획예산처 장관(전 청와대 정책실장), 윤대희·이영탁 전 국무조정실장 등이 거론된다. 박 전 장관은 한은 금통위원까지 지내 능력과 자질 면에서 후보군으로 추천됐지만 본인이 고사했다는 얘기가 들린다. 한은 금통위원을 경험한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도 단골 후보다. 다만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가 본격 활동을 시작한 지 얼마 안됐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학계에선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라인’으로 통하는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도 거명된다.

한은 출신 ‘OB(올드보이)’ 중에선 장병화 전 부총재와 김재천 전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전 한은 부총재보), 이광주 전 부총재보가 언급된다. 장 전 부총재와 김 전 사장은 한은 내에서 신망이 높지만 장 전 부총재는 ‘TK(대구·경북)’ 이미지가 강한 것, 김 전 사장은 한은을 떠난 지 오래됐다는 것이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전 부총재보는 2008년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을 실질적으로 이끈 주역인 데다 글로벌 네트워크가 뛰어나 국제 정세에 밝다는 장점이 있다.

인사청문회가 변수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통화정책 역량이 중대 변수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이 통화정책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어서다.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 잇따라 금리를 올리고 있지만 한국은 속내가 복잡하다. 내수 활성화와 불확실한 성장 회복세를 감안하면 마냥 금리를 추가로 올리기 어렵다. 하지만 미국과 금리 차에 따른 자금 유출, 급증한 가계부채를 보면 추가 금리 인상을 늦추기만도 쉽지 않은 딜레마에 놓여 있다.

인사청문회 통과 여부도 관건이다. 2013년 말 한은법 개정으로 총재도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는 자리로 바뀌었다. 2014년에도 당초 거론되던 유력 인사들이 청와대 인사 검증에서 잇따라 낙마하면서 이 총재가 발탁됐다. 한은 출신은 상대적으로 개인 관리에 철저해 인사청문회에 유리하다는 평가가 많다.

구정모 한국경제학회장(강원대 경제학과 교수)은 “하락한 잠재성장률을 회복하고 통화정책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의지와 역량을 갖춘 인물을 발탁해야 한다”며 “글로벌 공조 체제를 짜는 데 유리한 국제 감각도 중요한 자질”이라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