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유승민 첫 통합행보…'청년이 미래다' 토크 콘서트서 찰떡궁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安·劉 찰떡궁합 과시해 통합 굳히기
젊은정당·대안정당 강조…정부여당 견제
반대파, 행사장 난입 등 통합행보 '반발'
젊은정당·대안정당 강조…정부여당 견제
반대파, 행사장 난입 등 통합행보 '반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는 19일 청년 토크콘서트에서 공동통합행보의 첫 발을 뗐다. 공동선언으로 통합 분위기를 굳힌데 이어 두 대표의 찰떡궁합을 과시해 합당 동력을 밀고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두 대표는 청년과 인연이 깊다. 안 대표는 '희망공감 청춘콘서트'를 계기로 청년층의 지지를 얻어 정치권에 발을 들였다. 유 대표는 젊은 정치·젊은 기수론을 내세워 바른정당을 창당, 청년 보수층의 지지를 받았다.
안 대표와 유 대표는 이날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미래를 위한 통합과 개혁의 정치' 토크콘서트에 참석해 최저임금, 4차 산업혁명, 청년일자리, 교육개혁, 암호화폐, 평창올림픽 등 청년들이 관심갖는 6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나눴다. 두 사람은 서로의 목에 각자의 당을 상징하는 색의 목도리를 둘러주며 유대감을 공고히 했다.
안 대표는 "이 자리에 와 보니 7년 전 청춘콘서트 시절이 생각난다. 당시 저는 카이스트 교수로 청년들, 대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가슴 깊이 뼈저리게 청년들의 절망을 느꼈다"며 토크콘서트에 임하는 소회를 밝혔다.
그는 "청년들의 절망이 지금은 분노로 바뀌었다"며 "7년 전엔 공감과 위로로 치유됐는데 지금이야 말로 해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통합개혁신당을 시작하는데 있어 젊은 분들의 기지를 얻는게 단순히 표가 아닌 저희들이 하고자하는 정치하고 직결되어있다고 생각한다"며 "수많은 학생들과 젊은 분들을 만나 이야기를 하면 그분들의 고민이 국민 전체의 고민"이라고 말했다.
두 대표는 최저임금, 청년일자리 등 경제 관련 이슈에 대해 정부의 미흡한 대응을 지적하며 같은 목소리를 냈다. 안 대표는 "최저임금 인상에 반대하는 사람은 없지만 급격한 인상으로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경제 주체들이 적응할 수 있는 속도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대표는 "최저임금이 상승하면 일자리가 줄어드는 건 당연한건데, 최저임금 상승과 일자리 두 마리를 다 잡을 수 있다는 생각은 환상"이라고 지적했다.
4차산업혁명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는 두 사람의 의견이 다소 갈렸다. 유 대표는 "4차산업혁명이라는 변화 속에서 미리 예측하고 대응하는게 정치가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안 대표는 "4차 산업혁명은 기존 1, 2, 3차 산업혁명과 달라 미래예측이 불가능하다"며 지방분권 개헌과 정부 운영 철학 변화 등 정치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장했다.
교육을 주제로 한 질의응답에서 안 대표는 각계각층의 이해관계자가 모인 사회합의체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유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 번복에 따른 혼란을 비판했다. 유 대표는 "집권 세력들, 운동권 세력의 뇌 속에 뭔가 잘못 들어갔다"며 "대통령을 보좌하는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출신 사람들의 머리 속에 교육이고 경제고 잘못된 생각이 주입됐고 30~40년 전의 시대착오적 생각이 있다"고 꼬집었다.
안 대표는 자신의 관심 분야인 암호화폐에 대해 "거래소 폐쇄 등 극단적인 조치는 안되고 암호화폐 거래를 투명화해 문제 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규제를 만들어 연착륙하게 해야 한다"며 "어떻게 하면 산업 측면들을 적극 도입하고 부작용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지가 남은 과제"라고 역설했다. 유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대응을 비판하고 후속 대책을 조속히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마지막 주제인 평창올림픽과 관련해서는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에 대한 두 대표의 견해를 묻는 질문이 나왔다. 두 대표는 모두 단일팀 구성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다. 특히 유 대표는 "전체주의적인 독재 발상"이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두 대표의 찰떡 행보에도 국민의당 내 통합 반대파의 저항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이날 토크콘서트에는 통합에 반대하는 한 국민의당 당원이 난입해 소동을 빚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통합에 찬성하는 다른 당원과 물리적인 마찰을 빚기도 했다.
국민의당 내 통합 반대파는 2·4 전당대회를 앞두고 개정된 당규에 반발, 전당대회 당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접수한 상태다. 이들은 별도의 창당 작업에 착수하고 반대파 비례대표 의원들의 출당을 요구하는 등 신당창당 절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김소현 기자 ksh@hankyung.com
두 대표는 청년과 인연이 깊다. 안 대표는 '희망공감 청춘콘서트'를 계기로 청년층의 지지를 얻어 정치권에 발을 들였다. 유 대표는 젊은 정치·젊은 기수론을 내세워 바른정당을 창당, 청년 보수층의 지지를 받았다.
안 대표와 유 대표는 이날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미래를 위한 통합과 개혁의 정치' 토크콘서트에 참석해 최저임금, 4차 산업혁명, 청년일자리, 교육개혁, 암호화폐, 평창올림픽 등 청년들이 관심갖는 6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나눴다. 두 사람은 서로의 목에 각자의 당을 상징하는 색의 목도리를 둘러주며 유대감을 공고히 했다.
안 대표는 "이 자리에 와 보니 7년 전 청춘콘서트 시절이 생각난다. 당시 저는 카이스트 교수로 청년들, 대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가슴 깊이 뼈저리게 청년들의 절망을 느꼈다"며 토크콘서트에 임하는 소회를 밝혔다.
그는 "청년들의 절망이 지금은 분노로 바뀌었다"며 "7년 전엔 공감과 위로로 치유됐는데 지금이야 말로 해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통합개혁신당을 시작하는데 있어 젊은 분들의 기지를 얻는게 단순히 표가 아닌 저희들이 하고자하는 정치하고 직결되어있다고 생각한다"며 "수많은 학생들과 젊은 분들을 만나 이야기를 하면 그분들의 고민이 국민 전체의 고민"이라고 말했다.
두 대표는 최저임금, 청년일자리 등 경제 관련 이슈에 대해 정부의 미흡한 대응을 지적하며 같은 목소리를 냈다. 안 대표는 "최저임금 인상에 반대하는 사람은 없지만 급격한 인상으로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경제 주체들이 적응할 수 있는 속도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대표는 "최저임금이 상승하면 일자리가 줄어드는 건 당연한건데, 최저임금 상승과 일자리 두 마리를 다 잡을 수 있다는 생각은 환상"이라고 지적했다.
4차산업혁명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는 두 사람의 의견이 다소 갈렸다. 유 대표는 "4차산업혁명이라는 변화 속에서 미리 예측하고 대응하는게 정치가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안 대표는 "4차 산업혁명은 기존 1, 2, 3차 산업혁명과 달라 미래예측이 불가능하다"며 지방분권 개헌과 정부 운영 철학 변화 등 정치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장했다.
교육을 주제로 한 질의응답에서 안 대표는 각계각층의 이해관계자가 모인 사회합의체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유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 번복에 따른 혼란을 비판했다. 유 대표는 "집권 세력들, 운동권 세력의 뇌 속에 뭔가 잘못 들어갔다"며 "대통령을 보좌하는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출신 사람들의 머리 속에 교육이고 경제고 잘못된 생각이 주입됐고 30~40년 전의 시대착오적 생각이 있다"고 꼬집었다.
안 대표는 자신의 관심 분야인 암호화폐에 대해 "거래소 폐쇄 등 극단적인 조치는 안되고 암호화폐 거래를 투명화해 문제 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규제를 만들어 연착륙하게 해야 한다"며 "어떻게 하면 산업 측면들을 적극 도입하고 부작용은 최소화시킬 수 있는지가 남은 과제"라고 역설했다. 유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대응을 비판하고 후속 대책을 조속히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마지막 주제인 평창올림픽과 관련해서는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에 대한 두 대표의 견해를 묻는 질문이 나왔다. 두 대표는 모두 단일팀 구성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다. 특히 유 대표는 "전체주의적인 독재 발상"이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두 대표의 찰떡 행보에도 국민의당 내 통합 반대파의 저항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이날 토크콘서트에는 통합에 반대하는 한 국민의당 당원이 난입해 소동을 빚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통합에 찬성하는 다른 당원과 물리적인 마찰을 빚기도 했다.
국민의당 내 통합 반대파는 2·4 전당대회를 앞두고 개정된 당규에 반발, 전당대회 당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접수한 상태다. 이들은 별도의 창당 작업에 착수하고 반대파 비례대표 의원들의 출당을 요구하는 등 신당창당 절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김소현 기자 ks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