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권과 강북 한강변 아파트값 강세가 지속되면서 서울의 주간 아파트값이 2012년 이후 최대치로 상승했다. 18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 15일 조사 기준 0.39% 올랐다. 한국감정원이 주간 단위 통계를 집계한 2012년 5월7일 이후 5년8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한강변 강남 날고 마용성 뛰고… 외곽은 '잠잠'
지역별 온도차는 갈수록 뚜렷해지는 양상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양천구 등 초강세권역 △강북 한강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강세권역 △도심과 떨어진 자치구의 약세권역 등 3개 그룹으로 나뉘는 추세다.

◆서울, 5주째 상승세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39%(15일 기준)로 5주째 오름세를 키웠다. 지난주(0.29%)보다 0.10%포인트 더 상승한 것으로 한국감정원 집계 사상 최대치다. ‘8·2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기 직전인 지난해 7월31일 상승폭(0.33%)도 뛰어넘었다.

시세를 주도하는 지역은 강남3구다. 송파구는 지난주(1.1%)에 이어 이번주에도 1.39% 오르며 2주 연속 1% 이상 높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강남구도 0.75% 상승해 지난주(0.7%) 상승률보다 높았다. 최근 상승세가 미미했던 서초구도 이번주 0.81%로 전주(0.26%) 대비 세 배 이상 오름폭이 확대됐다. 강여정 한국감정원 주택통계부장은 “특정 지역의 국지적 상승이 서울 아파트 최대 상승폭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양천구도 재건축 기대주로 떠오른 ‘목동신시가지’ 등에 매수세가 몰리며 같은 기간 0.77%에서 0.93%로 크게 올랐다.

초강세를 띠는 강남3구의 뒤를 바짝 좇고 있는 지역은 한강변에 접한 마포·용산·성동구다. 성동구는 같은 기간 0.4%에서 0.59%로, 마포구는 0.23%에서 0.43%로 뛰었다. 용산구도 0.16%에서 0.38%로 서울 평균 상승률 수준으로 올랐다.

재건축 호재가 있는 광진구도 0.34%에서 0.49%로 급등했다. 도심 접근성이 양호한 장점에 힘입어 역세권 신축 단지 중심으로 강남과 ‘갭(gap) 좁히기’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김연화 기업은행 WM사업부 부동산팀장은 “특목고 폐지로 인한 학군 이슈, 정비사업 개발 호재 등이 복합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똘똘한 한 채’를 매수하려는 심리 때문에 아직 주요 지역을 제외한 곳까지 상승세가 퍼지진 않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외곽, 경기·지방은 ‘잠잠’

서울의 나머지 자치구는 변동 폭이 크지 않다. 강남3구나 ‘마·용·성’ 지역으로 투자자들이 몰리는 데다 특별한 호재나 이슈가 없는 까닭이다.

같은 기간 종로구는 0.28%에서 0.05%로, 서대문구는 0.13%에서 0.05%로, 강서구는 0.07%에서 0.04%로 내렸다. 노원구는 4주째 0.06% 상승에 그쳤다. 중구는 0.13%에서 0.16%, 금천구는 -0.02%에서 보합(0%)으로, 은평구는 0.04%에서 0.08%로 올라섰지만 서울 아파트 평균 상승치(0.39%)엔 턱없이 부족했다.

수도권도 신도시 등의 상승폭은 커지는 반면 외곽 지역은 힘을 쓰지 못하는 등 양극화가 심해지는 양상이다. 과천은 3주째 0.21% 상승폭을 유지하다 이번주 0.62%로 세 배 급등했다. 지난주 0.35% 오른 분당은 두 배 이상 뛰어 0.71%의 변동률을 보였다.

입주 물량이 많은 경기 남부 등 외곽 지역은 내리거나 상승폭이 미미하다. 평택은 같은 기간 -0.1%에서 -0.18%로 하락폭이 커졌다. 화성은 지난주(-0.1%)에 이어 이번주 0.11% 떨어졌다. 용인(-0.01%)은 14주 연속 내리거나 보합이다.

지방 시장은 대구 등 일부 광역시와 세종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부산(-0.03%)은 18주, 제주(-0.07%)는 12주, 강원(-0.05%)은 9주 연속 내리거나 보합이다. 경북(-0.17%)은 114주, 경남(-0.13%)은 101주, 충북(-0.09%)은 117주, 충남(-0.06%)은 14주째 보합 또는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