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체감경기 14분기째 비관론 우세… "불확실성 여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상의 4분기 경기전망지수 전분기 대비 1포인트 오른 86
환율변동·노동환경 변화 등 경기 장애물 지적
국내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 전망이 다소 개선됐으나 여전히 부정적 관측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최근 전국 2천100여개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2018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86을 기록해 전분기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고 4일 밝혔다.
제조업 BSI는 지난해 1분기에 68을 기록한 이후 2분기와 3분기에 각각 89와 94로 상승했으나 4분기에 85로 급락했었다.
이로써 BSI는 지난 2014년 3분기(103) 이후 무려 14분기 연속 기준치를 넘어서지 못했다.
BSI가 100을 넘으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는 "세계 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 10년 만에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환율 불안, 글로벌 긴축 기조, 통상마찰 우려, 북핵 변수, 노동환경 변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새해 기업경영의 대외 불확실성 요인에 대한 질문에 환율 변동을 꼽은 기업이 전체의 52.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 글로벌 긴축 기조(35.5%)와 통상마찰 우려(28.6%), 북핵 리스크(24.7%) 등이 뒤를 이었다.
대내 요인으로는 노동환경 변화(68.8%),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52.0%), 가계부채(14.7%), 에너지 믹스 변화(9.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부문별로는 수출기업의 경기전망 지수가 95로, 전분기보다 4포인트 오른 반면 내수기업은 전분기와 같은 84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제주가 113을 기록하면서 유일하게 기준치를 넘어섰으나 충북(96)과 경기(93), 대전(92), 서울(90), 부산(89), 전남(88), 경북(85), 전북(83), 강원(82), 인천(81), 광주(79), 충남(78), 경남(77), 대구(73), 울산(73) 등은 모두 비관론이 우세했다.
업종별로는 식음료(101) 업종만 기준치를 넘었고, IT·가전(99)을 비롯해 기계(93), 철강(81), 정유·석유화학(79), 섬유·의류(79), 자동차부품(75) 등은 경기가 더 나빠질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연합뉴스
환율변동·노동환경 변화 등 경기 장애물 지적
국내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 전망이 다소 개선됐으나 여전히 부정적 관측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최근 전국 2천100여개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2018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86을 기록해 전분기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고 4일 밝혔다.
제조업 BSI는 지난해 1분기에 68을 기록한 이후 2분기와 3분기에 각각 89와 94로 상승했으나 4분기에 85로 급락했었다.
이로써 BSI는 지난 2014년 3분기(103) 이후 무려 14분기 연속 기준치를 넘어서지 못했다.
BSI가 100을 넘으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는 "세계 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 10년 만에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환율 불안, 글로벌 긴축 기조, 통상마찰 우려, 북핵 변수, 노동환경 변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새해 기업경영의 대외 불확실성 요인에 대한 질문에 환율 변동을 꼽은 기업이 전체의 52.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 글로벌 긴축 기조(35.5%)와 통상마찰 우려(28.6%), 북핵 리스크(24.7%) 등이 뒤를 이었다.
대내 요인으로는 노동환경 변화(68.8%),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52.0%), 가계부채(14.7%), 에너지 믹스 변화(9.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부문별로는 수출기업의 경기전망 지수가 95로, 전분기보다 4포인트 오른 반면 내수기업은 전분기와 같은 84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제주가 113을 기록하면서 유일하게 기준치를 넘어섰으나 충북(96)과 경기(93), 대전(92), 서울(90), 부산(89), 전남(88), 경북(85), 전북(83), 강원(82), 인천(81), 광주(79), 충남(78), 경남(77), 대구(73), 울산(73) 등은 모두 비관론이 우세했다.
업종별로는 식음료(101) 업종만 기준치를 넘었고, IT·가전(99)을 비롯해 기계(93), 철강(81), 정유·석유화학(79), 섬유·의류(79), 자동차부품(75) 등은 경기가 더 나빠질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연합뉴스